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안상미의 와이 와인]<290>伊 풀리아 '리베라'…와인을 마시고 입맛을 다시다

<290>이탈리아 풀리아 '리베라'

 

안상미 기자

최고의 와인이란? 비싼 와인도, 유명한 와인도 아니다. 바로 빈 병이 된 와인이다. 정말 직관적이지 않은가.

 

이탈리아 와이너리 리베라의 오너 세바스티아노 데 코라토는 최근 한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풀리아에 위치한 포도밭과 리베라의 와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안상미 기자

와인을 마시고 쩝쩝 입맛을 다시게 될 줄이야. 한 모금 더 하라는 신호다. 이탈리아 풀리아 지역의 위상을 바꿔놓은 와이너리 리베라의 와인이다. 리베라의 오너 세바스티아노 데 코라토는 최근 한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최고의 와인은 첫 모금만 인상적이고 멈추는 와인이 아니라 차분하되 끝까지 비울 수 있는 와인"이라며 "리베라는 신선하면서 골격이 잡 잡혀 한 모금 마시고 '쩝쩝' 입맛을 다시며 어느새 한 병을 다 비우게 되는 와인을 추구한다"고 설명했다.

 

리베라는 이탈리아 풀리아에 위치했다. 사실 풀리아라는 지역은 낯설지 않다. 이탈리아에서 밀은 물론 올리브 오일의 최대 산지로 유명하다. 부라타 치즈가 유래한 곳이기도 하다.

 

와인 역시 풀리아가 이탈리아 전체 생산량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은 높지만 품질에서는 그다지 인상적이지 않았다. 역사는 오래됐지만 벌크 와인이나 대량으로 내보내던 곳이었다. 와인은 농축된 과실로 묵직하면서 달콤했고, 한 모금은 맛있지만 금새 질렸다. 이런 풀리아에서는 처음으로 좋은 품질의 와인을 만들어낸 곳이 바로 리베라다. 네로 디 트로이아나 알리아니코, 프리미티보 등 잊혀졌던 토착품종을 살려냈고, 풀리아에서는 처음으로 샤도네이 와인도 선보였다.

 

(왼쪽부터)리베라 프렐루디오 넘버 원 샤도네이 2023, 리베라 라마 데이 꼬르비 샤도네이 2022, 리베라 프리미티보 2022, 리베라 일 팔코네 2023 & 2009, 리베라 푸에르 아풀리에. /안상미 기자

40년 전 풀리아에 샤도네이를 처음으로 식재한 이가 세바스티아노의 아버지다. 샤도네이는 가장 많이 재배되는 화이트 품종이고, 환경 적응성도 좋지만 풀리아에서는 쉽지 않았다. 더운 날씨에 자칫하면 과숙돼 산도라곤 죽어버린 납작한 와인이 될 수 있어서다.

 

그래서 카스텔 델 몬테 DOC에서도 가능한 높이 올라갔다. 고급 샤도네이로 유명한 프랑스 부르고뉴와 같이 석회암 바위가 많은 곳이었다. 흙이라곤 없는 땅에 커다란 암석을 모두 분쇄한 아버지의 '미친 아이디어' 덕분에 풀리아에서는 처음으로, 그것도 좋은 품질의 샤도네이 와인이 탄생하게 됐다.

 

'리베라 프렐루디오 넘버 원 샤도네이 2023'은 신선하고 좋은 과실미를 지니면서 복합미가 균형을 이뤘다. 고소한 견과류향이 오크 숙성을 떠올리지만 리베라는 스틸탱크로만 발효를 한다. 효모 앙금과 같이 숙성한 효과다. 넘버 원은 풀리아 지역에 처음으로 심어진 샤도네이란 의미다.

 

프렐루디오는 서곡이란 뜻이다. 그럼 본 곡이 연주될 차례다. '리베라 라마 데이 꼬르비 샤도네이 2022'다. 서곡보다 진지하게 부르고뉴 스타일의 샤도네이를 만들고자 했다.

 

세바스티아노는 "일부 오크통에서 숙성을 하지만 오크가 주연이 아닌 조연이 될 수 있도록 만든다"며 "버터 풍미와 질감이있지만 여운에서는 침샘을 자극하는 정확한 산미가 있어 다음잔에 또 손이 가는 와인"이라고 강조했다.

 

'리베라 푸에르 아풀리에'는 리베라가 만드는 최고 등급 와인이자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네로 디 트로이아 품종 100%인 와인이다. 타닌이 워낙 강하다보니 다른 곳에서는 엄두를 못내지만 리베라는 다스리는데 성공을 했다. 검은 과실미에 꽃과 향신료 향이 어우러지고, 치즈나 살라미는 물론 한국 바베큐와도 잘 어울릴 맛이다.

 

'리베라 일 팔코네'는 리베라가 설립된 1950년부터 만든 와인이다. 지역 대대로 내려온 네로 디 트로이아 70%와 몬테풀치아노 30%의 비율로 블렌딩했다. 미디엄 바디에도 구조감이 잘 잡혔다. 좋은 산도와 타닌으로 숙성잠재력은 이미 검증됐다. 와이너리가 첫 빈티지인 1950부터 100병씩 보관했는데 1950에서도 약간의 타닌이 느껴지는 상태다. 2013 빈티지는 10년이 지났지만 과실미가 생동감이 있었고, 2009 빈티지도 좋은 산도가 여전했다.

 

그는 "리베라 일 팔코네는 매우 천천히 숙성돼 뛰어난 복합미를 보여준다"며 "기차로 비유하면 속도는 느리지만 안정적으로 괘도를 따라가며 정해진 시점에 정확히 도착하는 완행열차"라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