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AI 트레이너' 해외에선 고소득 직업… 韓,, '인프라·인재 부족' 현실

해외 경쟁력 강화 위한 필수 과제
인재양성 교육체계 정책 지원 절실
정부·기업, 지속적 협력과 투자 필요

챗GPT에 의해 생성된 인공지능(AI)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AI 모델 성능을 개선하고 오류를 줄이는 인간 'AI 트레이너'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AI 이미지

인공지능(AI)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AI 모델 성능을 개선하고 오류를 줄이는 인간 'AI 트레이너'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해외에서는 AI 트레이너의 시급이 200달러에 달하는 등 고소득 직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인프라,교육 체계 미흡 등의 문제로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AI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AI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AI 트레이너'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은 생성형 AI의 답변을 검토하고 환각 오류(hallucinations)나 데이터 오류를 찾아내 피드백을 제공해, AI가 더 정교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초기에는 이미지가 자동차인지 당근인지 구별하는 단순한 작업 수준에 불과해 학부생이나 저임금(시급 약 2만원) 인력이 대부분이었으나, 현재는 고도화된 AI 기술로 역사학자, 과학자 등 전문 인력까지 요구될 정도다. 심지어 일부는 박사 학위까지 소지해야 한다.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MS)와 같은 빅테크들은 이미 의학, 금융, 물리학 등 여러 분야에서 AI 트레이너들을 적극 고용하고 있다. 이들은 전문성에 따라 시급이 최대 40~50달러(약 5~6만6000원)에 이르며, 일부 전문 분야에서는 시급이 26만원에 달하기도 한다.

 

오픈AI는 '휴먼 데이터 팀(Human Data Team)'이라는 이름의 연구팀을 구성해 AI 트레이너들과 협력하고 있다. 이들은 환각 오류를 줄이고 AI의 글쓰기 스타일을 개선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양한 실험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한국의 상황은 이와 다르다. AI 개발과 연구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나, AI 트레이너라는 직업에 대한 인식 자체가 부족해 인프라와 교육 체계가 미비한 상황이다. 설령 이러한 시스템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다.

 

한 업계 관계자는 "AI 모델을 효과적으로 훈련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고급 인재의 중요성이 한국에서도 커지고 있지만, 아직 인재풀(pool)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고용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 AI 트레이너뿐만 아니라 AI 연구원과 개발자 등 AI 관련 직군 전체에 걸친 인재 부족이 심각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AI 트레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 정책도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물론 정부와 업계가 손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부터 AI 이노베이션 스퀘어를 통해 AI· 빅데이터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허브를 운영하는 등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삼성, LG, 네이버 등 민간 기업들도 AI 캠프와 인턴십을 통해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고 있으며, KAIST, 고려대, 성균관대 등 일부 대학에서 AI 관련 전공을 신설하는 등 학문적 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체계적인 교육과 정책적 지원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AI 트레이너와 같은 실무형 인재를 길러낼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갖춘 기관이 부족하고, 관련 정책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지원이 미흡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산업 현장과 교육 간의 괴리가 커 배운 내용을 실제로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지적했다.

 

AI 전문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글로벌 경쟁력에서 한국이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한 업계 전문가는 "AI 모델의 성능을 좌우하는 데이터 관리와 피드백 작업이 중요해질수록 AI 트레이너의 역할도 커질 것"이라며 "한국도 해외처럼 AI 트레이너와 연구자를 양성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의 지속적인 협력과 투자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