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새벽을 여는 사람들] 전형준 유리공예가 "공예는 손으로 완성하는 아름다운 예술의 세계"

전형준 유리공예가가 뜨거운 유리를 파이프에 말고있다. / 차현정 기자

"유리공예는 나를 계속 도전하게 만든다. 물성을 이해하고 기술적인 부분을 아무리 연마해도 새로운 형태와 새로운 방식을 할 때면 다시 연습해야 한다."

 

유리 공방에서 만난 전형준 유리공예 작가(29)는 유리공예의 매력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유리의 특성과 공정을 이해하고 기술을 연마하는 등 꾸준한 도전을 통해 공예가로서 성장해 나간다는 의미다.

 

전 작가가 가진 유리공예에 대한 열망은 그가 14살 때 베네치아를 방문해 유리공예 시연을 본 것에서 시작했다. 평소 손으로 만드는 것을 좋아하는 그에게 베네치아 공법이 담긴 작품들은 인상적이게 다가와 유리공예의 세계를 엿보게 해줬다. 이후 공예를 해보겠다는 꿈을 갖고 남서울대학교 유리공예 학과에 진학했다. 특히 전통 베네치안글라스 기술을 동경하며 자신만의 베네치안 스타일을 담기 위해 노력 중이다.

 

그는 본인이 만들고 싶은 것들을 손으로 구현하기 위해 기술 연마에도 오랜 시간 투자를 해오고 있다. 자기가 원하는 어떤 작품이든 본인 손으로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어야 비로소 심미적 가치와 작가의 가치관을 담아 작품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 작가는 "대학 시절 공예 실습실 관리자직에 임하면서 전문적으로 유리공예 기법을 배우게 됐다"면서 "처음엔 열기에 적응도 해야 하고 파이프를 돌리는 것조차 힘들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적응해 나갔다"고 말했다.

 

전형준 유리공예가의 작품 '가블렛' / 전형준 작가

유리는 실생활에 밀접한 소재다. 유리는 1000°C 이상으로 가열하면 완전한 액체 상태가 된다. 마치 벌꿀과 유사하다. 이후 액체 상태의 유리를 파이프에 말아서 유동적인 상태에서 점점 고체화될 때 입김과 손으로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원하는 형태로 성형을 하고 이후 완성을 하면 500°C 정도의 서냉가마에 넣어 천천히 약 12시간 식혀주어야 비로소 완성작이 된다.

 

전 작가가 가장 주력하는 기법은 '블로잉 기법'으로 고체상태의 유리를 1200°C의 용해로에 녹여 성형하는 기법이다. 블로잉 기법은 파이프 회전운동과 중력을 이용하고 유리의 성질을 잘 파악해야 되는 기법이다. 그만큼 오랜 시간 동안 기술을 연마하고 실습해야 유리를 자유롭게 다룰 수 있다.

 

특히 그는 블로잉 기법 중에서도 색유리에 투명유리를 말아 뽑아내는 유리막대(cane)를 사용하는 작업을 주로 한다. 이는 유리 막대를 뽑아 선 패턴을 연구하고 만든 패턴들을 조합한 뒤, 다시 가마에서 파이프에 롤업해 유리를 만드는 기법이다.

 

전형준 유리공예가가 '2023 공예트렌드페어'에서 개인 부스를 개최했다. / 전형준 작가

그는 자신의 작품 중에서도 '가블렛'에 애정을 보였다. 가블렛은 손잡이가 달린 잔을 의미한다. 가블렛 글라스는 컵, 손잡이, 바닥 등 각 파트들을 만들어 결합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이때 각 부분들의 고유한 형태를 고려해 작품의 전체적인 미적인 효과를 형성한다.

 

전 작가는 "전통 베네치안 스타일 기반으로 가블렛을 제작했으며 다양한 패턴 연구를 결합으로 디자인했다"면서 "블랙 패턴과 화이트 패턴을 연구해 잔에 적용했고, 유리 케인을 통해 형성되며 나타나는 뚜렷한 대비를 통해 시각적 효과와 어둠과 빛, 형태와 공백 등을 통해 상반된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탐구할 것"이라 설명했다.

 

전형준 유리공예가가 뜨거운 유리를 파이프에 말고있다. / 차현정 기자

특히 그는 작품을 만들 때 시각적으로 즐거움을 담는 데 매진한다. 전 작가는 "본인만의 개성을 비롯해 유리가 갖는 투명하고 빛나는 느낌을 작품에 담아 어디에 둬도 시선이 가게 만들려고 한다"라며 "심미적으로 아름다운 잔이 가지는 보는 즐거움과 사용했을 때 희소성 있고 가치 있는 잔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유리공예를 하면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는 '작품이 깨지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를 안받는 자세'를 꼽았다. 유리 소재 특성상 온도에 엄청 민감하고 작업하는 행동 모든 것들에서 바로 반영이 되는 예민한 소재라 언제든지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 작가는 "아무리 실력좋은 유리공예가라도 유리가 깨지는 것은 피해 갈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유리가 깨지거나 파이프에서 떨어져서 실패하는 일이 속상할지라도 담담히 받아들이고 다시 파이프를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파이프를 돌리는 모든 순간을 집중한 뒤 완성을 해내 가마에 넣는 순간에 가장 희열을 느낀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공예가의 자질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을 읽고 공예가 가지는 의미와 기술적 장인정신을 가지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공예는 실생활에 밀접하게 다가갈수록 실용적 기능도 담고 있어야 하며 심미적 가치도 표현해야 한다는 의미다.

 

전 작가의 향후 목표는 자신만의 유리잔 브랜드를 만드는 것이다. 그는 "오는 5월에 전시회가 있어 준비중이고 앞으로 꾸준히 활발하게 공예가로서 활동하려고 노력 중이다"라며 "앞으로 저의 작품들이 더욱 관심을 받게 되면 저만의 유리잔 브랜드를 만들 것"이라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