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정책

기업 신입채용, 학벌보다 직무능력… 서류·필기보다 면접보고 뽑아

고용부-한국고용정보원, '2023년 하반기 기업 채용동향조사 결과' 발표
기업 신규채용 결정요소 1위는 '직무관련 일경험'
서류·필기보다 면접 중심전형으로 뽑아
챗GPT로 쓴 자소서 확인되면, 감점·불합격 등 '불이익'

500대 기업 신규 채용 결정 요소 /자료=고용노동부 제공

기업들은 신입사원을 뽑을 때 출신 학교 등 스팩보다는 직무관련 일경험을 더 비중있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방식은 서류·필기보다 면접 중심전형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하반기 기업 채용동향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매출액 기준 상위 500대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작년 11월20일~12월22일 중 실시했으며, 315개 기업이 응답했다.

 

조사 결과, 기업들의 직무중심 채용 경향이 뚜렸했다. 우선 평가기준은 학교·전공·학점 등 스펙(36.2%)보다는 직무경험·경력 등 직무능력(96.2%)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또 채용전형 중 서류·필기보다는 면접 중심(92.1%)으로 채용한다는 대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특히 기업들은 신규채용 결정요소를 묻는 질문에 '직무관련 일경험(35.6%)', '일반직무역량(27.3%)을 1,2번째로 많이 꼽았다.

 

응답기업 중 79%는 작년 하반기 정기공채와 수시특채를 병행했는데, 기업들은 향후 채용방식에 대해 수시특채(81.6%), 경력직 채용(70.8%)이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추세에 따라, 기업들은 가장 필요한 취업지원으로 '일 경험 기회 지원'(76.2%)을 꼽았고, 취업에 필요한 일경험 방식으로 '장기(3~6개월) 인턴십'(74.0%), '기업 프로젝트에 참여·성과 제출'(68.9%) 등을 선택했다.

 

기업과 청년 모두 미래의 채용에서 가장 큰 변화에 대해 'AI 활용 증가'(기업 29.5%, 청년 52.4%)로 예상했다. 다만, 청년들은 기업보다 AI 활용 채용, 비대면 면접 도입 등에 대한 체감도가 높았고, 기업들은 이보다는 '4차산업혁면 분야 채용 증가'(24.8%)의 영향이 클 것으로 봤다.

 

구직자들이 챗GPT로 작성한 자기소개서에 대해 기업 인사담당자들의 64.1%는 '독창성·창의성이 없어 부정적이다'라고 답했고, 챗GPT 작성 자기소개서가 확인되면 해당 전형에서 감점(42.2%)·불합격(23.2%) 등 불이익을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대부분(73.0%)의 기업들은 아직 자기소개서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됐는지 판별하지는 않고 있지만, 향후 자기소개서 선별역량을 강화(51.1%)하거나 다른 전형 비중을 높이게(41.0%)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응답기업들은 연간 신규입사자 중 평균 16.1%가 1년 이내 퇴사하며, 퇴사자 중에는 신입이 조금 더 많다(신입 57.2%, 경력 42.8%)고 답했다. 주된 퇴직 사유는 '더 좋은 근로조건으로 취업'(신입 68.6%, 경력 56.2%)이 가장 많았다. 기업들의 75.6%는 조기 퇴사로 인해 기업의 손실비용(1인당 채용·교육 비용 등)이 2000만원 이상이라고 답해, 경제적 비용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들은 입사자 적응을 돕는 온보딩 프로그램을 보편적으로 운영(미운영 3.8%)하고 있었고, 그 효과에 대해 79.4%가 '조기퇴사 방지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이정식 장관은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일경험 사업, K-디지털 트레이닝, 청년성장 프로젝트(온보딩 지원) 등 최근 집중하고 있는 청년정책들이 직무중심 채용 수요와 청년들의 취업준비 방향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대학·자치단체 등과 적극 협업해 청년정책 효과를 높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