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2024 100세 포럼] 김동엽 본부장 "노후대비, 현금흐름 파악부터"

현금흐름, 연금종류 정확하게 파악하고 노후 설계해야
현금 부족하면 '주택연금' 주목...부동산 '현금화' 합리적인 판단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본부장이 2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메트로경제 주최로 열린 '2024 100세 플러스 포럼'에 참석해 강연 하고 있다. / 손진영기자 son@

"자산관리란 험지를 해쳐 나가는 것과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평탄한 인생을 원하지만 사실상 불가능하다. 돌을 만나면 터널을 뚫고 물을 만나면 다리를 놓아야 한다."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본부장은 지난 20일 메트로신문(메트로경제) 주최로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4 100세 플러스 포럼'에서 '고령화 시대 재테크전략'을 제시했다. 자신과 자산의 수명을 맞추는 것이 핵심이다.

 

김 본부장은 ▲노후생활비 얼마나 필요한가? ▲내 연금 얼마나 되나? ▲절세와 노후 준비를 한 번에 하는 연금계좌 ▲연금계좌를 활용한 세액공제 전략 등 은퇴 후 효율적인 자산관리 비법을 공유했다. 태풍에 대비하는 캘리포니아 주민처럼 불확실한 위험에 대응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김 본부장에 따르면 서울시에 거주하는 부부의 최소 노후생활비는 월 232만원이다. 이를 필요 적정 노후 생활비로 확대하면 월 330만원으로 늘어난다. 퇴직한 부부가 서울에서 양질의 삶을 지양한다면 매달 330만원이 필요하단 의미다. 이어 광역시 기준 부부의 최소 노후생활비는 203만원, 적정 노후 생활비는 279만원이다.

 

문제는 은퇴 후 자금을 마련할 창구가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김 본부장은 직업이 있을 때 부부가 맞벌이를 했다면 은퇴 후에는 효율적인 '연금 맞벌이'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장 먼저 본인과 배우자가 수령할 연금의 종류를 파악해야 한다.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공무원연금 등이다. 부부의 연금이 최소 노후생활비에만 근접해도 현금 흐름 파악 등 별도로 노력을 기울일 필요성은 떨어진다.

 

부부가 연금을 합쳐도 최소 노후 생활비를 마련하지 못했다면 '주택연금'으로 눈을 돌릴 수 있다. 특히 현금 보유량이 동년배 대비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거주하고 있는 부동산의 가치 하락 전망이 우세하다면 주택연금을 통해 자산을 현금화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연금 수령 전 '소득공백' 시기가 분수령이다. 소득이 급감하는 시기가 노후대비의 '첫 고비'기 때문이다. 김 본부장은 반드시 퇴직금을 개인형퇴직연금(IRP)계좌에 보관하라고 당부했다. 퇴직연금을 투자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은 일반계좌와 동일하지만 건강보험료 면제 및 절세혜택을 누릴 수 있어서다.

 

김 본부장은 "해발 8800m의 에베레스트에서 가장 많이 사망하는 지점은 올라갈 때가 아니라 내려 올 때인 정상에서 800m 지점"이라며 "주로 하산할 때 사고가 발생하는데 퇴직 후 소득공백 시기가 하산과 똑같다고 인식하시면 된다"고 했다.

 

본인이 수령할 연금의 종류를 파악하지 못했다면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통합연금포털'을 활용하면 된다. 본인과 배우자의 정보를 입력하면 3일 이내 연금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부부가 받을 연금의 종류와 월 수령액을 확인했다면 '현금흐름표'를 만들어야 한다. 단, 연금수령 외 추가적인 수익을 만들기 어렵다면 소비 수준을 줄여야 한다고 했다.

 

김 본부장은 "생애주기별 수령 가능한 현금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노후 전략을 세워야 한다"며 "실천에 옮겨야만 조금 더 나은 내일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