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152) 고종과 명운을 함께한 宮, '덕수궁'

7일 오후 시민들이 덕수궁 중화전에서 산책을 즐기고 있다./ 김현정 기자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의주까지 피난 갔던 선조가 1년 반 뒤 한양에 돌아왔을 땐 궁궐들은 모두 불에 탄 상태였다. 선조는 궁궐이 지어지기 전까지 월산대군의 후손들이 살던 집과 주변 민가 여러 채를 합쳐 '시어소'(임금이 임시로 거처하는 곳)로 삼았다. '정릉동 행궁'은 광해군 때 정식 궁궐로 상향돼 '경운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고 경운궁의 규모가 대폭 축소됐다. 인조가 즉위한 후에는 즉조당과 석어당을 제외한 나머지 건물들을 행궁이 되기 전 원래의 주인에게 돌려줬다. 이후 270여년간 궁궐로 존재감이 없던 경운궁은 고종이 황제의 자리에 오르면서 다시 역사에 등장하게 된다.

 

◆덕수궁의 흥망성쇠사

 

지난 7일 오후 덕수궁을 찾았다. 지하철 1호선 시청역 2번 출구로 나와 매표소로 향했다. 표값으로 1000원을 지불한 뒤 입장권을 받아 대한문 안으로 들어섰다. 대한문은 1906년 전까지 '대안문'으로 불렸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과거 궁궐의 정문은 남쪽의 인화문이었는데 환구단 건립 등으로 경운궁의 동쪽이 새로운 도심이 되자 동문이었던 대안문을 정문으로 삼았다고 한다.

 

1895년 일본인들이 명성황후를 시해한 을미사변이 벌어지자 신변에 위협을 느낀 고종은 이듬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한다. 아관파천 1년 뒤인 1897년 2월 고종은 경운궁으로 환궁하고 같은 해 10월 환구단에서 황제로 즉위하며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선포한다. 이때부터 경운궁은 대한제국의 으뜸 궁으로 격상돼 전각들이 세워지면서 궁궐로서 격식을 갖춰나가게 된다.

 

지난 7일 오후 시민들이 덕수궁 대한문 안으로 들어가고 있다./ 김현정 기자

대한문을 지나 함녕전으로 향했다. 함녕전은 대청마루 양옆에 온돌방을 들이고, 사방 툇간에 방을 두른 침전 건물로, 고종이 잠을 자는 공간으로 이용됐다. 이날 오후 함녕전 뒤편에 마련된 아담한 계단식 정원에 눈이 소복이 쌓여 아름다운 풍광을 연출했다. 고종의 침소 옆엔 고위 관료와 외교 사절을 접견하는 곳인 덕홍전이 설치됐다. 한국 전통 양식으로 지은 건물이나, 천장에 샹들리에를 다는 등 내부는 서양풍으로 꾸몄다.

 

광명문 옆 중화문으로 들어가 덕수궁에서 가장 화려한 건물인 중화전을 감상했다. 정전에는 집 속의 집이라는 의미를 가진 '닫집'(당가)이 있고, 그 안엔 임금이 앉는 어좌가 놓였다. 어좌 뒤엔 세 번 꺾여서 '삼절곡병'으로 불리는 병풍과 왕을 상징하는 '일월오악도'가 배치됐다.

 

7일 오후 한 외국인 관광객이 휴대폰 카메라로 중화전 곳곳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있었다. 엄동설한의 추위에 손이 빨갛게 변해 버렸지만, 한국의 아름다운 궁전을 추억으로 남기겠다는 의지를 꺾진 못했다.

 

이달 7일 오후 시민들이 덕수궁 중화전에서 산책을 즐기고 있다./ 김현정 기자

덕수궁의 정전인 중화전의 앞마당 '조정'에서는 국가 행사가 치러졌다. 이곳은 임금이 신하들과 조회 의식을 행하던 장소로도 사용됐다. 건물 앞에는 2단으로 된 월대가 설치됐고, 기단의 답도에는 용 문양이 새겨졌으며, 창호는 황금색으로 칠해졌다.

 

삼도 양옆에 세워진 품계석도 볼거리 중 하나다. 문무백관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로, 정1품부터 정9품까지 동, 서에 각각 12개를 두었다. 문관은 동쪽에 자리해 동반, 무관은 서쪽에 위치해 서반이라 하며, 동과 서를 합쳐 양반이라고 한다.

 

7일 오후 덕수궁 중화전 내부를 둘러봤다./ 김현정 기자

박석(바닥에 깔린 돌)이 울퉁불퉁 투박한 이유가 궁금해 찾아봤다. 문화재청에 의하면, 표면이 매끄러운 돌을 깔지 않은 이유는 장시간 서 있을 때 빛이 반사되는 일을 막고, 우천시 미끄러움을 방지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또 여기엔 임금님이 계시는 곳에서 몸가짐을 조심하고 신중하게 천천히 걸으라는 의미도 담겼다고. 목마른 나그네가 물을 청하자 버드나무 잎을 띄운 물바가지를 건넸다는 '버들잎 설화'가 떠올랐다.

 

◆조선시대 만들어진 서양식 건물 볼 수 있는 곳

 

지난 7일 오후 석조전을 찾았다./ 김현정 기자

덕수궁을 거닐다 보면 현대에 지어진 것처럼 생긴 서양식 건물들을 만나게 된다. 미국의 백악관과 비슷하게 생긴 '석조전', 2층짜리 붉은 벽돌 건물인 '중명전', 청록색 창살이 인상적인 '돈덕전'이 바로 그것.

 

이달 7일 오후 덕수궁 돈덕전을 방문했다./ 김현정 기자

'돌로 지은 집'이란 뜻의 석조전은 침전 겸 편전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1900년 착공해 1910년 준공했다.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만든 서양식 건축물에 '오얏꽃'을 얹어 대한제국 시대의 건물임을 드러냈다. 중명전은 황실도서관 용도로 건립된 지하 1층, 지상 2층의 벽돌조 건물이고, 돈덕전은 고종이 즉위 40주년 칭경예식에 맞춰 서양식 연회를 위해 신축한 것이다. 고종 재위 당시 대한제국의 위상에 걸맞는 전각들이 세워지고 영역이 확장되면서 경운궁은 황궁의 면모를 완성하게 된다. 1907년 고종은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되는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보냈다. 일제는 이를 빌미 삼아 고종황제를 강제로 퇴위시켰고, 순종이 왕위에 올랐다. 일본은 순종황제가 고종의 영향을 받지 못하게 하기 위해 그를 경운궁에 머물게 하고 순종을 창덕궁으로 이어하게 했다. 고종이 황제의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경운궁의 이름이 덕수궁으로 바뀌었다. 궁명에는 덕을 누리며 오래 살라는 뜻이 담겼다.

 

고종은 1919년 세상을 뜨기 전까지 덕수궁에서 지냈다. 고종 승하 후 덕수궁 권역은 빠르게 해체·축소됐다. 일제에 의해 훼손된 덕수궁은 현재 본래 면적의 3분의 1로 줄었고, 전각은 10%밖에 남아 있지 않다. 덕수궁의 관람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이며, 매주 월요일은 휴궁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