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새벽을 여는 사람들] 김진곤 영화감독 “지역영화 발전이 곧 영화 발전”

김진곤 영화 감독.

최근 4년 사이 한국영화가 위기에 빠졌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비싸진 티켓 가격과 넷플릭스와 같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플랫폼으로 인해 극장 관객의 발길이 뜸해지고 있다. 자연스럽게 독립영화계도 역풍을 피해가지 못하면서 제작비지원과 관심도가 낮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지역영화를 기반으로 지역주민들의 관심을 높이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김진곤 감독이 연출한 영화 포스터./김진곤 감독

◆ 지차체가 외면하는 지역영화의 중요성

 

지역영화는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렵지만 지역의 역사와 정서에 맞는 콘텐츠를 영화로 제작하고, 지역주민들이 같이 공감할 수 있는 영화라고 생각한다.

 

지역의 콘텐츠라 함은 지역의 역사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삶의 이야기로, 시나 소설 등의 문학과 음악, 미술, 배우 등의 예술인의 삶 이야기로 만들어진 문화콘텐츠라고 설명할 수 있다.

 

김진곤 영화감독은 올해 은평뉴타운 도서관에서 영화 '녹번리' 상영회를 통해 지역주민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았다.

 

"영화 '녹번리'는 불안한 청년시대의 고뇌를 정지용 시인의 '녹번리'라는 시를 투영해 만들었다"며 "은평구 지역영화인과 정화예술대 학생들이 참여해 영화를 촬영했다"고 말했다.

 

김진곤 감독(왼쪽 두번째)이 '녹번리' 시사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김진곤 감독

또한 "사람들이 영화를 봤을 때 녹번동에 있었던 당시의 시대상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시와 시인, 그리고 1950년 1월. 시의 발표 후 벌어졌던 참혹했던 역사를 기억해 주길 바랬다"고 했다.

 

다만 이런 영화인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자체에서의 지원은 없는 것이 현재 독립영화의 현실이다.

 

그는 "지역 영화 제작을 해야 된다는 영화감독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고, 실제 제작을 해도 지자체와 관공서는 이를 알지도 못하고 관심이 없다"며 "행정적 지원과 예산적 지원을 못 받는 영화가 대다수인 걸 감안하면, 문화에 비해 각 행정관청은 뒤쳐져 있기 일쑤다"라고 답답한 마음을 전했다.

 

또한 지역축제 역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감독은 "지역축제를 보면 10여전이나 지금이나 달라진 게 없고 먹거리와 물건을 판매하고 가수를 초빙해 노래를 부르는 행사가 전부다"라며 "지역축제라며 지역적 특색 없는 축제를 진행하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고 했다.

 

이어 "지역축제인 만큼 지역주민들이 즐길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해야하고 지역 영화제나 영화 상영회 등을 통해 주민간의 소통이 일어나고, 그 곳에서 살고 있는 것에 대해 자부심을 갖게 해야 한다"며 "그들은 다시 지역문화와 행정에 적극적 참여를 통해 지역성장을 이루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런 결과를 기대한다면, 예산 편성에 있어서 지역영화 지원 폭을 높여야 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진곤 감독이 영화 촬영 현장에서 배우들과 소통하고 있다./김진곤 감독

◆ "지역 미디어센터 활성화 필요"

 

영화인과 예술업종에 종사하는 많은 아티스트들 역시 '지역 콘텐츠'에 관심을 갖고, 지역 국회의원 역시 이를 개발하는 일에 힘써야 한다. 그래야만 지자체에서도 관심을 갖기 때문이다. 국가적인 지원이 없으면 자연스럽게 지자체의 지원이 사라지게 되면서 영화를 만들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는 "영화는 감독이 혼자 한다고 해서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촬영지와 장소, 배우 등이 섭외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것 처럼 다방면의 지원과 협업으로 영화가 만들어지게 된다"며 "독립영화가 성장 할 때까지는 지자체의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현실이고, 지역 미디어센터와 같은 공간을 예산부족이란 명목으로 폐쇄시키는 것은 지역영화인을 낭떠러지로 미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

 

김 감독의 이 같은 발언은 이달 말 폐쇄되는 의정부영상미디어센터 때문이다.

 

의정부영상미디어센터(센터)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한 지역영상미디어센터 설립 정책의 일환으로 의정부시가 2017년 개관했다.

 

센터는 연간 평균 5만명의 시민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고, 장비와 시설, 공간 대여, 영화 상영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해 경기 북부 문화 거점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지난 9월 의정부시는 내년도 정부 예산 삭감을 이유로 센터를 2023년 12월까지 운영하고 오는 2024년 폐관한다고 통보했다.

 

김 감독은 "현재 우리나라가 미디어 부분에서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상황에서 예산이 사라진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BTS, 오징어게임 등으로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도 많아져 관광수익도 크게 늘어난 상황에서 예산을 이유로 센터폐쇄는 말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

 

또한 "영화진흥위원회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영화지원금, 홍보예산 등을 모두 알 수는 없지만 영화와 문화예산 관련 정부예산이 대다수가 삭감됐다"며 "영화진흥위원회만 예를 들면 2023년 220억원 예산이 내년에는 100억원으로 50% 이상 줄었다"고 말했다.

 

김 감독은 우리나라 영화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선 정치권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전략적 자산이 문화 콘텐츠라고 생각하고 정치적 규제를 좀 더 완화하고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며 "독립영화 지원 시 예산을 삭감하는 것이 아닌 예산을 더 확대시키고, 지역만의 특화된 영화콘텐츠가 개발될 수 있게 연구개발비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