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146) 일제강점기 때 훼손돼 100년 만에 제 모습 찾은 광화문 ‘월대’

지난 16일 오후 시민들이 100년 만에 복원된 광화문 월대의 서수상 앞을 지나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일제강점기 때 훼손된 월대가 약 100년 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월대는 궁궐이나 사찰 등의 위계를 높이기 위해 건축물 밑에 놓는 넓은 기단 형식의 대(臺)이다. 고종 때 경복궁 중건과 함께 조성된 광화문 월대는 조선 후기 강력한 왕권 회복과 법궁으로서 권위를 표현하는 상징적 공간이었다.

 

문화재청은 서울시의 협조로 지난해부터 발굴조사를 진행, 본격적인 월대 복원에 착수했다. 청은 광화문 앞 도로에 묻힌 역사성을 회복해 월대를 되살려 지난 15일 일반에 공개했다.

 

◆우여곡절 끝에 돌아온 '월대'

 

16일 오후 시민들이 100년 만에 복원된 광화문 월대의 서수상 앞에서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지난 16일 오후 광화문 앞 '월대'를 찾았다.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2번 출구에서 경복궁 방향으로 472m(도보로 약 10분 소요)를 걸어 목적지에 도착했다. 이날 경복궁 앞은 월대 복원 소식을 듣고 찾아온 시민들로 발 디딜 틈 없이 붐볐다.

 

월대 앞에서 손가락으로 '브이'를 하고 기념사진을 찍는 관광객과 망원렌즈가 달린 카메라로 월대 이곳저곳을 촬영하는 전문 사진가들의 모습이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과거 사신을 접대하거나 왕과 백성의 소통 공간으로 사용됐던 월대가 오늘날 시민들의 역사문화향유 공간으로 되살아난 것이다.

 

광화문 앞에 드넓게 펼쳐진 월대 마당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어도(임금이 다니는 길)의 제일 앞부분을 장식한 '서수상(상상 속 상서로운 동물상)' 석조각 2점이다. 고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생전에 소장했던 것으로, 유족이 기증 의사를 전해옴에 따라 국립고궁박물관의 수증 절차를 거쳐 현 위치에 놓이게 됐다.

 

이달 16일 오후 광화문 앞 해치상 주위로 안전 가림막이 설치돼 있다./ 김현정 기자

크고 넙대대한 코, 부리부리한 눈, 양쪽 입꼬리 옆에 툭 튀어나온 송곳니가 퍽 귀엽다. 보고만 있어도 웃음이 나는 재밌는 모습을 한 서수상은 바로 옆에 있는 해치상과도 비슷하게 생겼다. 두 석조각을 비교하면서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했다.

 

문화재청은 작년 9월부터 본격적인 발굴조사를 실시해 고종 때 중건한 월대의 구조·규모와 조선 전기 광화문 앞 공간이 어떻게 사용됐는지 추정할 수 있는 흔적을 확인했다.

 

구리 동구릉에 보관된 월대의 부재는 연구·조사를 거쳐 이번 월대 복원을 계기로 제 자리를 찾게 됐다. 월대의 서수상은 시민 제보를 통해 그 존재가 알려지고 소장자가 기증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복원의 실마리를 풀었다.

 

홍승재 문화재위원회 궁능분과위원장은 "월대 복원은 오랫동안 진행된 경복궁 복원 중심축의 마지막 완성이라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면서 "또 그동안 단절됐던 광화문과 전면에 육조거리를 연결함으로써 한양도성의 중심축을 회복하고 유적과 유적을, 도시의 조직과 골격을 회복하는 또하나의 출발점이라고 얘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홍 위원장은 "새롭게 탄생한 광화문과 월대는 경복궁을 위시해 육조거리의 장소성과 역사성을 회복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온 국민이 자긍심을 느끼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월대의 변천사

 

광화문 월대가 특별한 이유는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주변에 난간석을 두르고 계단을 화려하게 치장했다는 것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의하면, 경복궁 근정전, 창덕궁 돈화문, 덕수궁 대한문 등에서 월대의 존재가 확인되는 데 궁궐 정문에 난간석을 두른 경우는 광화문 월대가 유일하다.

 

문헌에서 월대의 기록을 찾기는 쉽지 않다. 세종실록 51권 1431년 3월 29일자에는 '예조 판서 신상이 아뢰기를, "광화문 문밖에 본래 섬돌이 없어서 각품 관리들이 문 지역까지 타고 와서야 말에서 내리오니, 이는 매우 타당치 못한 일입니다. 또 이 문은 명나라 사신이 출입하는 곳으로서 (중략) 돌을 채취해 계체를 쌓고, 양쪽 곁으로 둘레를 쌓아야 하며···"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지금 바야흐로 농사철에 접어들었는데, 어찌 민력을 쓰겠는가."하고 윤허하지 아니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광화문 월대 발굴 조사를 담당한 양숙자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장은 "월대에 대한 본격적인 기록이라고 할 수 있는 건 1866년 경복궁을 짓는 과정을 일기로 적은 영건일기"라며 "여기에 처음으로 광화문 앞에 월대를 쌓았다는 기록이 등장한다"고 했다.

 

지난 16일 오후 시민들이 100년 만에 복원된 광화문 월대의 서수상 앞을 지나나고 있다./ 김현정 기자

국립문화재연구원은 2007년 발굴조사에서 월대의 동서 폭이 29.7m란 사실을 밝혀냈고, 작년 9월부터 실시한 조사에서는 남북 길이가 48.7m이고, 월대 모양이 '凸자'를 뒤집은 '역 철자'형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원은 월대의 정확한 크기와 모양을 확인한 것 외에, 광화문 월대의 변화 과정을 밝혀낸 것을 발굴조사의 최대 성과로 꼽았다.

 

연구원은 월대 변천사를 4단계로 나눠 설명했다. 1단계는 정면에 어도 계단이 그대로 살아 있는 형태로 1866년 월대를 처음 만들었을 때 당시의 모습이다. 2단계 시기에는 1895년 혹은 1904~1905년 즈음에 어도 계단이 없어지고 경사화됐다. 3단계는 전면이 경사화되고 전차 선로가 처음으로 시설되는 단계이고, 1923년 난간석까지 다 헐리고 전체가 도로화돼 복원 전까지 유지된 모습이 4단계이다.

 

연구원은 월대 아래에 있는 유적을 조사하다가 어도지로부터 약 120cm 밑에서 철제 고정쇠가 박힌 방형석재(76x56x25cm) 양쪽으로 너비 85cm의 남북방향 석렬을 확인했다. 돌의 정체는 차일고리석.

 

양 실장은 "저희가 처음에는 이 돌이 뭔지 몰랐다. 그런데 경복궁 근정전에 가니까 이 돌들이 많이 있었다"며 "궁중에서 행사 등을 할 때 치는 차양을 고정하는 돌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통해 조선 전기에도 광화문 앞 월대 공간이 궁중의 특별한 행사 때 사용됐다는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고종 중건(1888년) 당시 경복궁에는 약 500여동의 건물이 조성됐다. 문화재청은 600여년간 고도서울을 상징하는 대표문화유산으로 민족의 기상과 문화적 정수를 담은 경복궁을 되살리고자 33년 전부터 복원 사업을 추진해왔다.

 

지난 1990~2010년 1차 사업을 통해 89동을 복원했고, 2011년부터 현재까지 22동을 되살렸다. 청은 2045년까지 58동의 전각을 추가로 지어 전체의 40%를 복원한다는 목표다.

 

양 실장은 "발굴을 하면서 '이렇게까지 월대를 복원할 필요가 있느냐'는 말을 많이 들었다"며 "월대는 광화문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기도 하고 경복궁 중심축의 마지막, 혹은 처음 시작이기도 하다"면서 "이런 공간을 복원하지 않고 만들었을 때와 전부 복원했을 때의 경복궁 모습에는 큰 차이가 있다. 복원 후 달라질 모습을 기대해달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