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142) 도시사와 동시대 미술이 살아 숨 쉬는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지난 14일 오후 시민들이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으로 들어가고 있다./ 김현정 기자

국립현대미술관은 1969년 경복궁(현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둥지를 틀었다. 1973년 덕수궁 석조전 동관으로 터를 옮겼다가 1986년 현재의 과천 부지에 국제적 규모의 시설과 야외조각장을 겸비한 미술관을 개관하면서 한국 미술문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1998년엔 덕수궁 석조전 서관을 리모델링해 분관인 덕수궁관을 만들었다. 2013년에는 종로구 소격동에 서울관을 지었고, 2018년엔 충청북도 청주시 옛 연초제조창을 증·개축해 청주관을 개관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서울관, 과천관, 덕수궁관, 청주관의 4관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향후 대전관이 완공되면 5관 체제로 진입하게 된다. 서울관 건물 규모는 지하 1층~지상 3층, 연면적 5만2000여㎡이며, 총 8개의 전시실로 구성됐다.

 

◆미래로 귀환

 

14일 오후 시민들이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백 투 더 퓨처' 전시를 둘러보고 있다./ 김현정 기자

지난 14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을 찾았다.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로 나와 경복궁 쪽으로 764m(도보 약 12분 소요)를 걸어 목적지에 도착했다. 가장 먼저 보이는 건물은 디지털정보실이었다. 유리창 뒤로 책이 잔뜩 꽂힌 서가가 질서정연하게 늘어서 있었다. 정보실 옆엔 교육동이 들어섰다. 두 건물을 지나 안내판을 따라 전시동으로 이동했다.

 

표를 끊기 위해 1층 안내데스크로 갔다. 티켓 창구에서는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참가 대원들을 환영합니다!'라는 안내푯말을 볼 수 있었다. 이날 서울관에서는 '백 투 더 퓨처: 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성 탐험기'와 '게임사회' 전시가 진행 중이었다.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백 투 더 퓨처 전시 관람권을 발권받아 1층 전시실로 입장했다.

 

백 투 더 퓨처는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 작가적 정체성을 구축한 아티스트들의 당시 작업과 최근으로 이어진 그들의 작품 활동 ▲20세기 말~21세기 초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교차·혼재하던 시기를 관통하며 성장해 현대미술계 주요 작가로 자리매김한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선보이는 전시다.

 

이달 14일 오후 시민들이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김두진 작가의 '모세, 죽어가는 노예, 승리' 작품을 감상하고 있다./ 김현정 작가

전시실에서 가장 눈에 띄는 작품은 김두진 작가의 '모세, 죽어가는 노예, 승리'였다. 아무런 사전 정보 없이 작품을 감상했을 때는 그리스 로마 신화 속 등장인물이 화산 폭발과 함께 탄생하는 장면을 묘사한 줄로만 알았다. 거인들이 역동적인 포즈로 화산재를 뚫고 나오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미켈란젤로의 조각 중 '모세', '죽어가는 노예', '승리'의 이미지를 차용해 만든 디지털 회화로, 3D 모델링 기법으로 초식동물의 뼈를 수차례 덧붙이는 방식으로 표현했다고 한다.

 

작품 설명에 따르면 백인, 남성 예술가의 권력, 종교적 영향력으로 헤게모니적 우위를 점한 미의식에 물음을 던지는 디지털 페인팅 '모세, 죽어가는 노예, 승리'는 소멸과 죽음을 의미하는 화면 속 무수히 많은 머리뼈와 뼛조각들이 이상적 아름다움의 인물상에 대한 이미지를 무너뜨리며 당연하게 여겨졌던 관습적 가치와 판단의 잣대를 재고하도록 만든다고 한다.

 

14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 박이소 작가의 작품 '베니스 비엔날레'가 전시돼 있다./ 김현정 기자

이날 미술관에서는 프란츠 카프카가 말했던 내면의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도끼와 같은 작품도 만날 수 있었다. 처음에는 각목 몇 개가 우뚝 솟아 있길래 작품을 지지하기 위해 만든 가설 구조물인 줄 알았다. '전시 시작한 지 두 달이 다 돼 가는데 아직도 세팅이 덜 끝난 건가'라며 머리를 갸웃거리다가 작품 소개문을 보고 전시작의 일부란 걸 깨닫게 됐다.

 

작품명은 '베니스 비엔날레'였다. 2003년 제50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작가로 선정된 박이소는 각목으로 만든 위태로운 구조물(베니스 비엔날레)을 한국관 건물 앞마당에 설치했다. 직사각형 구조의 각목은 물이 찬 4개의 세숫대야에 각각 다리를 내려 버티고 있는데 대야를 채운 물은 베니스 바다를 의미하고, 각목의 사각 틀은 비엔날레를 개최하는 베니스시를 상징한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자신의 욕망 표출 창구인 동시에 문화 패권주의의 표상인 비엔날레 국가관과 비엔날레의 권위에 물음을 던졌다고.

 

지난 14일 오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이용백 작가의 '기화되는 것들(포스트 아이엠에프)' 작품이 상영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양복을 입은 중년 남성이 수영장 물속에서 힘겹게 걷는 장면을 찍은 영상도 기억에 남았다. 이 작품은 이용백 작가의 '기화되는 것들(포스트 아이엠에프)'이다. 작가는 IMF 상황에서 "숨 쉬기도 어렵다"는 지인의 말에 영감을 얻어 포스트 아이엠에프를 구상했다고 한다. 정장을 입은 남성이 수심 10m의 물속을 구조용 호흡기 하나에 의지한 채 힘겹게 버텨내는 모습이 표현됐다. 남자는 걷다 서다를 반복하다가 물속으로 사라졌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역사

 

14일 오후 시민들이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금혜원 작가의 작품인 '푸른 영토' 시리즈를 감상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은 조선시대에 종친부(조선 국왕의 친인척 사무 담당 기관), 규장각(조선 문치주의를 대표하는 왕실 도서관), 사간원(국왕에 대한 간쟁과 논박을 담당한 관청)이 있던 자리에 세워졌다. 일제강점기 때는 의학 교육과 연구 목적의 환자 진료를 수행하는 경성의학전문학교 부속의원으로 사용됐다. 1971~2008년엔 국방부 소속 기구인 '국군기무사령부'로 이용됐다. 이후 2009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조성 계획을 발표하고 2011년 5월 토목공사에 들어갔다. 이듬해 1월 건축공사를 착공하고 2013년 6월 준공해 130여일의 준비 과정을 거쳐 같은 해 11월 12일 서울관을 개관했다.

 

서울관은 ▲역사 깊은 주변의 환경과 어울리는 미술관 ▲전통적인 건축의 구조를 도입한 마당 중심의 미술관 ▲평범한 삶 속에서 미술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열린 미술관 ▲국민과 함께 호흡하는 미술관을 표방한다. 월, 화, 목, 금, 일요일엔 오전 10시~오후 6시에 문을 열고, 수요일과 토요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영된다. 1월 1일과 설날, 추석엔 휴관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