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출시 앞둔 청년도약계좌…2030 반응 ‘글쎄’

예치기간 5년과 월 납입액 70만원 부담
청년 "고정지출 나가면 납입 금액 없어"
청년도약계좌 재원 3678억…부담감↑
"보완책 만련해 중도해지 방지하겠다"

/금융위원회

목돈을 모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다음 달 출시를 앞두고 있다. 5년간 5000만원을 만들어 준다는 정부의 의도지만 정작 대상자들은 긴 시간과 월 납입액이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오는 6월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할 예정이다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국정과제로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고자 추진돼 왔다.

 

가입대상은 만 19~34세 청년으로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다.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청년은 정부기여금 지급·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고, 총급여 기준 6000만~7500만원은 정부기여금 지급 없이 비과세만 적용받는다.

 

가입자는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고, 만기는 5년이다. 정부 기여금 규모는 월 납입액 40만~70만원, 정부매칭 최대 6% 기준으로 편성된다.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이다.

 

다만 청년도약계좌 출시를 두고 대상자들은 미지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서울 양천구에 거주중인 직장인 A씨는 "300만원의 월급을 받고 밥값, 교통비, 핸드폰요금, 주택청약, 적금이 나가면 청년도약계좌에 넣을 돈이 없다"며 "70만원이라는 돈이 청년들에게는 큰 액수로, 최소 금액인 40만원 저축하려고 금리가 낮은 청년도약계좌를 이용하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 마포구에 거주중인 직장인 B씨도 "자취생들은 월세를 포함한 한 달 고정비용만 130만원이 넘게 나가기 때문에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할 엄두도 내지 못 한다"며 "5년이라는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중도 해지 할 경우 시중은행과 비슷한 이자액을 받게 되는데 정책상품이라는 이점이 없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금융위원회

정부가 자산형성 기회를 준다지만 고물가 시대에 경제적 어려움으로 가입을 하지 못하거나 상품이 이득이 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청년들이 많다.

 

실제 문재인정부 당시 정책상품이던 청년희망적금 역시 중도 해지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서민금융진흥원이 발표한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해 2월 청년희망적금 출시 당시 가입자는 286만8000명에 달했지만 지난해 말 기준 적금 유지자는 241만4000명으로 줄어들었다. 10개월 사이 45만4000명이 경제적 어려움을 견디지 못하고 해지한 것이다.

 

청희망적금의 예치기간은 2년, 월 납입액은 50만원으로 윤 대통령의 청년도약계좌보다 예치기간과 납입액이 적었다.

 

청년도약계좌가 청년희망적금보다 부담이 높기 때문에 청년들의 반응이 미지근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청년도약계좌는 올해 정부기여금으로 편성된 재원만 3678억원으로, 정책 첫 해 유의미한 성과가 필요한 상황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관련기관과 협의해 청년도약계좌 가입자가 긴급자금이 필요할 때 계좌를 유지한 상태에서 자금 수요를 해결할 방안 등을 찾아보고 있다"며 "계좌유지가 가장 큰 핵심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