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정책

금감원 "금융 IT리스크 선제 대응"

금감원 올해 디지털부문 금융감독 업무 설명회
"금융분야 AI 활용 기반 조성할 것"
"핀테크 기업 역량 발휘 전폭 지원"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전경./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이 올해 디지털부문 검사·감독시 정보기술(IT) 및 소비자보호 위험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또 업계의 본격적인 디지털 금융혁신을 지원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21일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디지털부문 금융감독 업무설명회를 열었다. 설명회에는 금융회사, 전자금융업자, 협회 및 유관기관 관계자 약 370명이 참석했다.

 

이날 참석한 김병칠 금감원 부원장보는 "올해 우리 경제를 둘러싼 상황이 녹록지 않아 우려스러운 마음이 크지만 금융회사와 신(新)산업·핀테크 기업들이 어려운 대·내외 경제상황을 잘 극복하고 혁신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금융의 디지털화에 따른 위험요인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IT 리스크 및 소비자보호 위험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금감원은 ▲데이터 인프라 확충 및 건전영업환경 조성 ▲디지털금융 확산에 따른 리스크 관리 및 혁신지원 ▲잠재적 IT리스크에 대한 사전예방적 검사 및 자율점검 등을 강화할 계획이다.

 

먼저 인공지능(AI)이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고려해 데이터 인프라를 확충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날 설명회에서 외부전문가로 초청된 오순영 KB국민은행 금융AI센터장은 "인공지능(AI) 기술은 일상에 혁명을 가져다 줄 것이며, AI의 금융산업 내 영향력도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내 금융회사들이 국제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금융데이터를 비롯한 금융분야 AI 활용에 대한 감독당국의 적극적인 지원과 규제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데이터 전문기관을 추가로 지정해 금융·비금융 데이터 결합을 촉진할 예정이다. 마이데이터 사업자들이 신사업을 신속히 추진할 수 있도록겸영·부수업무 체계도 손본다.

 

한편으론 AI 리스크 관련 내부통제 현황을 점검해 새로운 유형의 리스크에도 대비할 계획이다. 소비자 보호를 위해 전자금융업자의 건전경영과 선불업자의 수수료율 공시가 시장에 안착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다.

 

특히 반복적 IT 사고의 원인별로 금융사가 갖춰야 할 최소 요구사항을 업권과 함께 만들고, 자체 점검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또 디지털자산 리스크 협의회를 통해 리스크를 사전에 진단하고, 디지털자산시장과 전통적 금융시장 간 연계성 확대에 따른 잠재리스크 관리방안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금융사의 디지털 금융혁신 지원에도 나선다. 지난해 6월 마련된 디지털자산 리스크 협의회를 통해 리스크를 사전에 진단하고, 가상자산에 대한 규율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건전한 전자금융업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제3자에 대한 업무위탁과 서비스 융·복합에 따른 리스크 요인을 점검해 대응방안도 마련한다. 또 전자금융업자의 건전경영기준 및 이용자보호기준 강화와 선불업자의 수수료율 공시가 시장에서 안착되도록 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디지털전환 가속화에 대응하고 업계의 디지털 금융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오늘 업무설명회에서 제시된 의견과 건의사항은 향후 금감원의 감독·검사 업무 등에 적극적으로 참고하고 향후에도 다양한 채널을 통해 활발한 소통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