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업계가 따뜻해진 봄 날씨에 입맛을 돋궈줄 '리프레시 푸드'를 선보인다. 제철·특산 식자재를 활용하거나 조리법에 변화를 줘 입맛을 한층 산뜻하게 깨워주는 것이다. 특히 제철 봄나물 메뉴가 주목받고 있다. 신선한 봄나물은 맛 뿐 아니라 풍부한 비타민과 영양소를 갖추고 있어 소비자의 관심이 높다.
◆미나리·냉이로 맛·건강 다 잡아
먼저, 아워홈의 푸드엠파이어는 냉이, 부추, 참나물, 돌나물, 죽순, 미나리와 같은 봄나물을 활용한 신메뉴를 출시했다. '봄나물 우삼겹 된장찌개' '봄나물 연두부 비빔밥' '봄 담은 유산슬 덮밥' '봄 미나리 불오징어 반상' 등 총 4종이다.
봄나물 우삼겹 된장찌개는 육수 베이스에 백합, 우삼겹을 함께 넣고 얼큰하게 끓인 뒤 냉이와 부추를 듬뿍 넣었으며, 봄나물 연두부 비빔밥은 밥 위에 참나물, 돌나물, 부추를 올리고 연두부, 궁채(상추대)절임, 적양파, 간장 소스를 곁들였다. 봄 담은 유산슬 덮밥은 죽순, 부추를 먹기 좋게 손질해 해삼채, 돼지고기 등과 볶아냈다. 봄 미나리 불오징어 반상은 매콤한 오징어볶음과 싱그러운 미나리를 함께 즐기는 메뉴다.
프리미엄 분식 프랜차이즈 스쿨푸드도 '미나리제육덮밥'을 출시했다. 매콤한 제육볶음에 다량의 비타민을 함유한 향긋한 미나리가 더해져 자극적이지 않고 깔끔한 맛과 식감을 즐길 수 있으며 특히, 풍성한 양파와 당근 등 야채와 함께 반숙으로 올려진 계란 노른자를 터뜨려 비벼 먹으면 입 안 가득 퍼지는 고소한 맛도 추가로 느낄 수 있다.
입맛을 끌어올리는 봄나물에 냉이가 빠질 수 없다. 봄 냉이를 활용한 라면 신메뉴로 집에서도 봄나물 라면을 즐길 수 있게 됐다. 오뚜기는 프리미엄 전통장 브랜드 죽장연과 협업하여 봄 시즌 한정 제품인 '죽장연 빠개장면'을 선보였다. 죽장연 빠개장면은 전통 빠개장과 봄 냉이가 만나 구수하고 향긋한 국물 맛이 특징이다. 신제품에는 청정지역 죽장연 마을 주민들이 직접 만든 재래식 빠개장이 들어가고, 국산 냉이를 사용해 향긋함을 더했다.
◆중식당에도 찾아온 봄
크리스탈 제이드는 제주도 식자재를 활용한 시즌 한정 메뉴를 출시했다. '탐라성찬'을 콘셉트로, 제주 흑돼지와 제주 딱새우, 제주 모자반과 톳 등 봄의 미각을 깨워줄 청정 식자재를 통해 새 봄의 만찬 의미를 담았다는 설명이다. 메뉴는 신선한 바지락에 제주산 딱새우, 모자반을 넣어 깊고 진한 맛을 살린 '제주 바지락 탕면', 제주산 톳을 전복장과 함께 볶아내 고소함을 더한 '제주 톳 전복장 볶음밥', 중국 산둥 지방의 '무쉬러우'를 크리스탈 제이드만의 스타일로 재해석한 '제주 흑돼지 무슈포크' 등 3종이다.
봄동의 아삭한 식감을 살린 중식도 있다. 한화 더테이스터블의 중식 브랜드 3곳(도원스타일, 티원, 백리향스타일)은 봄동을 주재료로 '봄동 대합탕면' '봄동 우육탕면' '봄동 새우탕면' '사천식 봄동 짬뽕' 총 4가지 메뉴를 선보였다.
◆달콤한 디저트로 봄 피크닉 기분 가득
메가MGC커피는 따뜻한 봄 햇살의 피크닉 타임을 가진다는 의미를 담아 '후루츠 주스프링'을 선보였다. 상큼한 블렌딩 주스 4종과 든든하게 배를 채울 수 있는 디저트 3종으로 구성됐다. 블렌딩 주스는 과일의 싱그러움에 건강함을 담아냈으며, 디저트 메뉴는 블렌딩 주스와 곁들이기에 제격이다. '미트파이'는 풍미가 가득한 치즈와 바비큐 소스로 맛을 낸 소고기의 조화가 인상적이며, 크로크무슈는 고소한 식빵 윗면에 햄과 치즈를 더한 든든함이 매력적이다.
던킨은 부드러운 연유를 활용해 기분 좋은 달콤함을 선사하는 시즌 신제품 3종을 선보였다. '딸기 연유 러블리 하트' 도넛 1종과 '딸기 연유 쿨라타' '연유폼 라떼' 등 음료 2종으로 구성됐다. 딸기 연유 러블리 하트는 딸기 필링과 연유 필링이 어우러져 부드러우면서도 상큼하고 달콤하게 즐길 수 있다. 딸기 연유 쿨라타는 딸기와 연유에 우유, 얼음을 함께 갈아 넣어 부드러움을 한껏 끌어 올렸으며, 연유폼 라떼는 달콤한 연유를 넣은 라떼에 부드러운 연유폼를 추가해 한층 달달한 풍미를 연출했다. 한편, 이번 신제품은 도넛 패키지와 컵홀더에 후지야의 인기 캐릭터인 페코, 포코 캐릭터 그려 넣어 사랑스러운 분위기를 더했다는 점 또한 돋보인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