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배터리3사만 있는 거 아니야"…폐배터리 재활용 치열

IRA와 CRMA 속에서도 건제한 사업군
성일하이텍, 아이에스티엠씨(ISTMC) 등 국내 기업 선도 분야

인터배터리 2023에 참여한 성일하이텍 부스에 관람객들이 몰려있다./허정윤 기자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유럽연합(EU) '탄소중립산업법과 핵심원자재법(CRMA)'이 윤곽을 드러내는 가운데 배터리 재활용 시장도 커지고 있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배터리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만큼이나 폐배터리의 용도와 수요가 다양해지고 있는 것이다.

 

◆ CRMA 앞세워 배터리 재활용 중요시하는 EU

 

16일 서울 코엑스에서 '인터배터리 2023'과 함께 개최된 '더 배터리 컨퍼런스'에서는 '배터리의 재탄생'이라는 주제 발표가 이뤄졌다. 이 자리에서 조르지오 코르베타(Giorgio Corbetta) 유럽 배터리 제조연합(EUROBAT), 유럽연합(EU) 담당 사무국장은 '신(新) EU 배터리 규제 현황과 대응 전략'에 대해서 발표했다.

 

그는 "배터리에서 코발트 재활용 비중은 2031년 16%에서 2046년 26%로 늘어날 것"이며 "리튬은 6%에서 12%로, 니켈은 6%에서 15%로 비중으로 재활용 비중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EU는 16일(현지시각) CRMA 초안 발표를 앞두고 있다. 이 법의 골자는 EU가 추진하는 CRMA는 역내에서 최소 10% 이상의 원자재를 조달하고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해 원자재 회수율을 높이는 것으로 재활용 시장은 역설적이게도 '규제'로 인해 더 이목을 끌고 있다. 조르지오 사무국장은 "2031년 배터리 소재 중 재활용 의무 물질과 비율은 85%(납), 16%(코발트), 6%(리튬), 니켈(6%) 등 이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규제 범위는 EU에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배터리가 포함되기 때문에 광범위하다"며 "배터리 생산 업체가 회수 및 재활을 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실제 탄소 발자국을 계산하는 방법 ▲배터리를 재사용하는 방법 연구 ▲배터리 생산자들의 책임 인식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조르지오 사무국장은 "EU의 원자재 전략은 '로컬화'된 배터리 원자재 밸류체인을 구축하는 것을 지향한다"고 정리했다. 그는 "극소수의 지역이나 국가 중 하나에서 대부분 금속이 가공되고 처리되는 방식에서 벗어나, 이제는 배터리 및 배터리 금속 가공이 하나의 시장이 아닌 여러 곳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도 "지난주 캐나다 방문 당시 배터리에 사용된 리튬·코발트·니켈의 95%를 재활용할 수 있는 기업을 둘러봤다"며 "이것이 곧 유럽의 미래"라고 언급해 배터리 재활용 시장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드러낸 바 있다.

 

조르지오 코르베타(Giorgio Corbetta) 유럽 배터리 제조연합(EUROBAT), 유럽연합(EU) 담당 사무국장이 16일 더 배터리 컨퍼런스에서 온라인 원격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허정윤 기자

 

 

◆ 시장 점유 서두르는 'K-재활용 배터리'

 

배터리 재활용 시장 선도를 위해 한국 기업들도 앞장서고 있다. 성일하이텍의 염광현 상무는 "배터리 재활용 시장은 어떤 배터리 업체가 글로벌 시장을 점유하든 커질 수밖에 없는 시장"이라고 말했다.

 

성일하이텍은 국내의 대표적인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성일하이텍은 국내 배터리 3사와 협력하며 배터리 재활용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성일하이텍은 리튬 회수와 전처리 특허도 23개(2022년 기준)을 가지고 있다.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일괄 공정 보유하고 있는 국내 기업으로는 성일하이텍이 유일한 상황이다. 글로벌 단위로는 중국 재활용 업체 3곳과 유럽의 유미코아(Umicore)가 갖추고 있다.

 

염 상무는 "성일하이텍은 작년 기준 9개의 리사이클링 파크(전처리)와 2개의 하이드로 센터(후처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올해 연말 하이드로 센터 3공장의 1단계 완공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어 "스타트업들이 재활용 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모습들은 고무적이지만, 해당 산업군이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황에 따라 사업성이 오르내리다보니 리튬을 비롯해 단일 소재 재활용에만 집중한다면 실적면에서 힘들 수 있다"도 덧붙였다.

 

성일하이텍의 경우는 리사이클링 제품 다변화를 시도하고 원활한 자재확보를 위해 글로벌 체인을 구축을 계획하는 중이다. 2014년부터 말레이시아, 중국, 헝가리, 인도 등에서 글로벌 리사이클링 파크 설립을 시작해 공급처를 분산시키며 리스크를 줄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염 상무는 "유럽과 미국의 재활용 소재·배터리 사용 의무비율이 올라가면 재활용 업체들로서는 기회를 맞은 것"이라며 "정부의 환경 규제도 시장 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 뒤 풀린다면 더 많은 기회를 한국 배터리 재활용 기업이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이에스티엠씨(ISTMC)가 만든 재활용 원자재들/허정윤 기자

이차전지 재활용 업체 아이에스티엠씨(ISTMC)는 전국 최대규모의 폐차 네트워크를 지닌 '인선모터스'와 경기도 화성에 2500평 규모의 최신식 설비를 갖추고 있는 '아이에스 비엠 솔루션'과 리사이클 밸류체인을 구축할 예정이다. 아이에스티엠씨는 1998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비철금속 재생사업을 기반으로 폐리튬 이온 이차전지 재활용을 시작해 이차전지 스크랩으로부터 탄산리튬과 전구체복합액(니켈·코발트·망간 혼합용액)을 양산하며 국내 희유금속 리사이클링 산업을 이끌어왔다. 양극재와 전구체의 폐슬러지를 포함한 종합 이차전지 폐스크랩을 처리할 수 있는 국내 유일 기업이다. 이 밖에도 제련기술로 완성한 고효율 습식 리사이클 공정이 가능한 고려아연 등이 배터리 재활용에 뛰어들고 채비 중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