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액운막이 동지

image

동지는 태양의 기운이 새로 시작하는 날이라 보고 해의 기운을 빌려 액운을 막고 좋은 일이 많아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선조들은 여러 방편을 취했다. 액운을 막는 으뜸은 귀신들이 싫어한다는 붉은 팥으로 팥죽 또는 팥시루떡을 만들고 문설주나 담벼락 귀퉁이에 뿌렸다. 왜 붉은 팥일까? 팥의 붉은 색이 양색(陽色)이므로 음귀(陰鬼)를 쫓는 데에 효과가 있다고 굳게 믿어 마지않았기 때문이다. 가난하거나 잘 살거나 거의 모든 집에서 팥죽을 쑤어 먹기도 하지만 절에 가서 동지 공양을 올리고 팥죽을 받아오기도 한다.

 

필자의 어린 기억에도 동짓날이 되면 전날 밤 쑨 팥죽을 장독에 올려놓고 정성스레 빌던 할머니 모습도 떠오른다. 애동지에는 팥죽을 쑤지 않고 대신 팥떡을 찐다. 동짓달에 동지가 초승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께 들면 노동지라고 부른다. 애동지 때에는 팥죽에 들어가는 찰 옹시미 새알이 어린 아이들이 목에 넘기기엔 부담을 줄 수 있어 팥죽을 팥떡으로 대체했을 거라는 짐작이다. 서양 역시 우리나의 동지와 비슷한 행사가 핼러윈데이라는 생각이라고 말씀드린 바 있다. 한 해의 시작을 보는 관점도 비슷하며 역시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도 귀신이자 액운이다.

 

사람들은 악귀들도 깜짝 놀랄 무섭고 기괴한 모습으로 분장을 하여 귀신을 쫒는다는 강강(强强)요법을 쓰는 것이다. 아이들은 괴물이나 마녀 유령으로 분장한 채 이웃집을 다니면서 사탕과 초콜릿 등을 얻다. 핼러윈의 시조라 알려진 켈트인들은 먼저 세상을 떠난 이들의 평온을 빌고 이 때 마련한 음식을 가난한 이들에게 베푸는 일석이조의 행사를 유쾌하게 지낸 것이다. 참고로 올해부터 삼재가 들어온 원숭이띠 쥐띠 용띠 분들은 반드시 동지 팥죽을 챙겨 드시길 권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