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인증샷 문화 따라 더 화려해진 외벽 장식
'미디어 파사드' 주요한 장식 소재로 떠올라
#서울시 중구 명동 신세계 본점 앞 곳곳에 셀프카메라를 찍는 사람들이 가득했다. 화려하게 꾸민 신세계 본점 외관이 이른바 SNS 인증샷 성지로 떠오른 탓이다. 신세계 본점 옆 롯데백화점 본점 영플라자 옥상의 귀여운 아트풍선도 카메라 세례를 받았다.
백화점업계가 단계적 일상회복에 발맞춰 예년보다 빨리 크리스마스 시즌 외벽 장식을 선보였다. 올해 백화점 업계 외벽은 지난해 12월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시행으로 조용해야만 했던 것을 보복하듯 훨씬 화려하고 전반적으로 들뜬 분위기다.
최근 백화점 외벽 크리스마스 장식은 MZ세대 문화 특징인 '인증샷'에 초점을 맞추는 추세다. 영상과 사진에서 화려함이 돋보일 수 있도록 디자인 하는 게 일반적이다. '인증샷'은 고객 방문 효과도 있지만 SNS로 인증샷을 통한 바이럴 홍보효과까지 누릴 수 있다.
지난해 12월 백화점업계는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연말 특수를 누리지 못했다. 당시수도권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됐고 수도권 외 지역 또한 1.5단계에서 2단계가 적용됐다. 크리스마스 외벽 장식이 빛을 보는 밤시간대 유동인구가 방역수칙으로 평소의 10분의 1로 줄어들며 장식 또한 간소했다. 백화점 업계는 외벽 전체를 화려한 조명으로 뒤덮는 대신 대형 트리를 중심으로 꾸미고 '선물' '위로' '따뜻함' 등 콘셉트를 선택했다.
올해 단계적 일상회복에 맞물린 크리스마스 시즌을 맞은 백화점업계는 폭발한 소비 수요를 유인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화려한 외벽 꾸미기에 나섰다. 백만 개 단위의 미디어파사드를 이용한 장식과 상대적으로 관리가 어려운 생목 등이 과감하게 재료로 선택됐다.
현대백화점은 백화점업계 중 가장 빠른 10월에 연말 장식을 선보였다.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정문 광장에는 13m에 달하는 대형 트리와 통나무집, 생목 120그루가 선 'H빌리지'를 세웠다. 무역센터 뿐 아니라 압구정본점, 판교점에도 H빌리지가 설치 돼 다양한 종류의 생목 총 300여 그루를 동원했다.
아울러 지난 25일부터 서울 여의도 더현대서울 5층에서 주얼리 브랜드 '티파니' 팝업 스토어를 열고 크리스마스 트리 장식을 선보였다.
롯데백화점은 2016년 잠실 석촌호수에 미국 출신 작가 '프렌즈위드유'의 아트풍선 작품 '슈퍼문'을 선보였다. 이번 크리스마스 외벽 장식도 프렌즈위드유와 함께 '리틀클라우드' 아트 프로젝트로 꾸몄다.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백화점 본점 영플라자 옥상에 귀여운 구름 캐릭터 리틀클라우드 대형 아트 풍선이 설치됐다. 아울러 미디어 파사드도 선보였다. 외벽에 스토리가 있는 영상 콘텐츠를 재생해 행인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신세계백화점 본점 외벽 장식은 SNS에서 가장 열렬한 반응을 얻고 있다. 소공동 본점 건물 전체 외벽을 '서커스' 콘셉트로 미디어 파사드를 이용한 크리스마스 영상을 선보였다. 이번 미디어 파사드에는 LED 칩 140만개가 활용됐다. 현재 SNS에서 해시태그 '#신세계본점'을 검색하면 이번 크리스마스 장식과 관련된 게시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사람들은 앞에서 인증샷을 찍는 한편 화려한 풍경을 영상으로도 올리고 있다.
갤러리아는 매년 해외 유명 패션브랜드와 협업해 건물 외벽 장식을 선보이고 있다. 올해는 프랑스 럭셔리 브랜드 '디올'과 함께 11월부터 크리스마스 트리와 외관장식을 선보였다. 디올의 2022년 크루즈 컬렉션 무대를 모티브로 해당 무대에서 선보인 패션 아이템의 패턴과 색감을 십분 활용했다. '별'을 콘셉트로 한 디올 로고가 새겨진 대형 트리를 장식하고 여기에 흰색과 상아색에 금색 테두리를 두른 다양한 형태의 나뭇잎 불빛이 외벽을 타고 뻗어나가는 형태로 꾸몄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