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홍경한의 시시일각] DMZ에 심은 일상 속 예술의 영구성

왕복 600킬로미터를 매일 같이 오가며 만든 지난 1년간의 결과물이니만큼 감회가 남다를 수밖에 없다. 유무형의 갖가지 제약과 예산의 한계를 극복하며 두 명의 큐레이터와 20여명의 작가들, 그리고 강원문화재단이 의기투합해 일궈낸 프로젝트인지라 더욱 그렇다. 5월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가는 아트호텔 '리 메이커'에 대한 얘기다.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명파4길 44에 자리한 아트호텔 '리 메이커'는 영국 작가 뱅크시(Banksy)가 이스라엘 베들레헴에 세운 '벽에 가로막힌 호텔'(Walled Off Hotel, 2017)에 이은 세계 두 번째 접경지역 예술호텔이다. 모두 8개의 아트룸(객실)과 레스토랑, 커뮤니티룸 등의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 중 실제 머물 수 있는 아트룸은 그 자체로 평화·생태·미래를 주제로 한 고유 작품이다. 모두 8명의 작가(팀)가 참여해 약 반년에 걸쳐 완성했다. 불편함을 키워드로 분단이라는 상황에 익숙해진 채 섬나라처럼 살고 있는 우리의 현실을 기묘한 듯 사실적이게 보여주는 오묘초 작가의 <Weird tension>을 비롯해 접경지역이라는 장소성에 자연과 예술을 덧댄 신예진 작가의 아트룸 <산수설계 홈 프로젝트>, 경계를 마주하면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갈등과 반목을 이탈한 조응과 포용을 그린 스포라_스포라(팀)의 <스펙트룸>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허구의 실향민 '김 작가'를 통해 현실과의 정서적 왕복을 보여주는 박경 작가의 아트룸 <김 작가의 방>을 포함해, 안락함과 평온함을 알알이 새긴 박진흥 작가의 <쉼>, 남북의 근원을 전통적 맥락에서 재해석한 홍지은 작가(도자기공방 숲)의 아트룸 <조선왕가-again> 등도 각별한 공간으로 부족함이 없다.

 

이 밖에도 무기원료로 사용되는 전략물자 중의 하나인 금속을 이용해 동시대 남북환경을 조형적으로 재구성한 류광록 작가의 옴니버스식 공간인 <금속방>, 인간·물고기(육지 및 바다)·새(하늘)·검은색(밤)·흰색(낮)의 5가지 요소를 모티브로 긴장의 장소 속 사색의 공간을 연출한 스튜디오 페이즈(팀)의 작품 <테셀레이션>도 시선을 모으는 작업으로 꼽힌다. 모두 북한과 대치 중인 우리의 현실에 작가적 상상력을 가미한 작업이다,

 

호텔 '리 메이커'에는 아트룸으로 조성된 객실 외에도, 로비와 복도 등의 공용 공간 곳곳에 다양한 현대미술 작품들이 들어차 있다. 로비와 레스토랑에 각각 설치된 김종량 작가와 주연 작가의 설치작품은 각각 10미터가 넘는 거대함 속에 디스토피아적 현실과 그 너머에 존재하는 유토피아적 이상향이 대비를 이뤄 눈길을 끈다.

 

이 밖에도 강원도와 DMZ의 이미지들을 초현실주의적 디지털 콜라주로 재구성한 김재욱 작가의 미디어아트, 인간 내면과 실제의 풍경을 그로테스크하게 풀어낸 김나리 작가의 조각, 고성의 바람을 특유의 조형으로 치환한 해련의 회화, 자연 생태적이면서도 몽환적 여운이 물씬한 전경선의 부조, 금빛 찬란한 건축적 도상과 달리 남과 북의 비극적 상황을 빗댄 신건우 작가의 작품 등도 만날 수 있다.

 

역사·정치적으로 아픔이 녹아 있는 곳이지만 아름다운 실제 풍경으로 인한 모순이 부유하는 이 호텔은 단순한 숙박시설이 아니라 예술가들의 시각에서 해석한 네추럴-토피아(neutral-topia)이다. 동란 이후 70년의 역사와 단단한 이념의 장벽 내에서 살아가는 우리의 현실과 마주할 수 있는 무대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론 오랜 시간 고민했던 일상 속 예술의 영구성에 관한 실험의 장소이다.

 

■ 홍경한(미술평론가·DMZ문화예술삼매경 예술감독)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