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83) 강남구 역사 문화 명소 '서울 선릉과 정릉'

지난 7일 서울 선릉과 정릉을 찾은 한 가족이 정현왕후 능 앞을 지나가고 있다./ 김현정 기자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삼역과 삼성역 사이에는 선릉역이 있다. 이 역의 이름은 원래 '삼릉'이었다. 조선시대 9대 왕인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 조선 11대 임금인 중종이 잠든 3개 능이 자리한 삼릉공원이 근처에 있어 개통 전 이 같이 명명됐다. 1982년 서울시는 수도권 내 의정부~수색간 교외선에 삼릉역이 이미 존재해 시민들이 같은 역명으로 인해 혼란을 겪을까봐 지하철 2호선 2단계 개통 구간에 있는 삼릉역 역명을 선릉역으로 고쳤다.

 

선릉과 정릉을 포함한 조선 왕릉 40기는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인류의 문화유산으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0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코로나로 시민 발길 잦아진 왕릉

 

이달 7일 선·정릉을 방문한 시민들이 산책을 즐기고 있다./ 김현정 기자

 

 

지난 7일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서울 선릉과 정릉'을 찾았다. 선릉로와 봉은사로로 둘러싸인 이곳은 하늘에서 보면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져 있다. 원래는 선릉·정릉으로 불리다가 2011년 7월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명칭 변경 고시에 따라 한글맞춤법(띄어쓰기)을 적용, '서울 선릉과 정릉'(이하 선·정릉)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입구 매표소에서 표를 끊은 후 내부로 들어가 왼쪽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 걸어갔다.

 

솟을대문이 인상적인 재실이 모습을 드러냈다. 과거 이곳은 제관들이 제례를 지내기 전 몸과 마음을 정화하고 제사를 준비하는 장소로 이용됐다. 종9품 참봉 등의 관리가 재실에 상주하며 능과 그 주변을 돌봤다. 재실은 향을 보관하는 안향청, 제례 업무를 주관하는 전사청, 제기(제사 때 쓰는 그릇 및 관련 도구)를 보관하는 제기고, 행랑채(대문간에 붙어 있는 방) 등으로 구성됐다.

 

서울 구로구에서 온 이모 씨는 "코로나 때문에 집에 혼자 있는 시간이 길어져 심심해하다가 최근에 역사에 관심을 갖게 됐다"면서 "조선시대 왕들의 무덤이 있다고 해서 호기심에 와봤는데 왕릉이 있는 지역에 사는 사람들만 입장료를 깎아줘서 빈정 상했다"며 입을 삐죽였다.

 

선릉관리소에 따르면 강남구민과 조선왕릉 각 지역의 기초자치단체 주민은 입장료를 50% 할인된 가격에 살 수 있다. 강남구를 포함해 노원구(태릉), 구리시(동구릉), 서초구(헌릉) 주민들은 500원(성인 기준)만 내면 선·정릉을 마음껏 둘러볼 수 있다.

 

이달 7일 선릉과 정릉 역사문화관은 공사로 인해 휴관 중이었다./ 김현정 기자

 

 

재실을 지나 역사문화관 쪽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한 모녀가 입구 앞에서 서성이며 자리를 뜨지 못하고 있었다. 직장인 박모 씨는 "모처럼 휴일이라 엄마와 함께 데이트 나왔다"면서 "역사문화관에서 선·정릉에 대한 사전 지식을 충분히 쌓고 한바퀴 둘러보려 했는데 계획이 틀어졌다"며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문화재청이 발주한 조선왕릉 8개 전시관 개편 공사는 작년 10월 23일부터 올해 1월 20일까지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이날까지 완료되지 않았다. 역사문화관 앞에는 공사로 인해 휴관한다는 안내문만 붙어 있었다.

 

◆임진왜란 때 수모 겪은 선·정릉

 

지난 7일 선·정릉에 온 시민들이 정자각을 둘러보고 있다./ 김현정 기자

 

 

성종과 세번째 왕비 정현왕후 윤씨의 능인 선릉은 선정릉역 사거리 쪽에 자리했다. 홍살문 안쪽 정중앙에는 향로가, 오른쪽에 어로가 있다. 향로는 제향을 지낼 때 혼령을 위한 향이 지나가는 길이다. 관람객들은 향로가 아닌 그 옆에 낮게 난 어로(제향을 지내러 온 임금이 걷는 길)를 통해 정자각을 둘러보고 선릉으로 향했다. 정자각에서 능을 바라봤을 때 왼쪽 언덕에 성종의 무덤이, 오른쪽 둔덕에 정현왕후의 능이 위치해 있다.

 

이달 7일 자녀와 선·정릉을 방문한 김모 씨는 "왕릉에 온 기념으로 능 앞에서 아이와 사진을 한 장 남기고 싶었는데 들어갈 수 없어 아쉽다"면서 "시력이 안 좋아서 이 거리에선 뭐가 있는지 잘 보이지도 않는다"고 털어놨다.

 

선릉은 왕릉과 비릉이 각각 다른 산등성이에 있는 동원이강의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국조오례의'에 따라 왕릉에는 12면의 병풍석이 세워졌고, 그안에는 동물 머리에 사람의 모습을 한 십이지신상이 새겨졌다. 난간석은 12칸이며 양석·호석·망주석·문석인 등의 석물이 있다. 비릉은 병풍석이 없는 것만 빼고는 나머지 석물은 왕릉과 같이 배치됐다.

 

이달 7일 서울 선릉과 정릉을 찾은 한 어르신이 성종대왕릉 앞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가장 눈에 띄는 건 사람의 형상을 한 입석상이었다. 갑옷과 투구로 완전 무장한 무석인은 칼을 뽑아 지팡이처럼 쥐고 서 있었다. 송충이 같은 눈썹과 주먹만한 코를 가진 무석인은 입술을 앙 다문채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었는데 그 모습이 퍽 믿음직해 보였다.

 

선릉에서 동쪽 방향으로 걸었더니 중종의 무덤인 정릉이 나왔다. 정릉은 원래 두번째 왕비 장경왕후의 무덤인 희릉의 오른쪽 언덕에 있었으나 세번째 왕비인 문정왕후 윤씨가 풍수지리상 불길하다고 해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조선왕릉 중 왕만 단독으로 있는 무덤은 후대에 왕릉이 된 단종의 장릉을 빼고 태조의 건원릉과 중종의 정릉뿐이라고 한다. 정릉 앞에 세워진 문무석인은 높이가 3m가 넘을 정도로 컸는데 코 부분이 검게 그을려 있어 임진왜란 당시 왕릉의 수난을 떠올리게 했다. 정릉과 선릉은 임진왜란 때 왜구에 의해 파헤쳐져 재궁이 불타는 치욕을 겪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