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홍경한의 시시일각] 비대면 시대의 비엔날레

과거만 해도 가을은 비엔날레(2년에 한 번씩 열리는 국제미술전)의 향연이었다. 그중에서도 짝수 해 9월은 온 동네가 떠들썩했다. 광주비엔날레부터 부산비엔날레,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비엔날레가 동시다발적으로 펼쳐져 그야말로 전국이 거대한 미술축제를 방불케 했다.

 

그러나 올해는 다르다. 코로나19로 인해 거의 모든 비엔날레들이 '일단 멈춤'에 들어섰다. 역사와 예산에 맞는 이름값을 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어쨌든 국내 대표적인 비엔날레로 꼽히는 광주비엔날레는 지난 5월 일찌감치 전시를 내년으로 미뤘고,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대구사진비엔날레, 전남수묵비엔날레 등의 장르 특성화 비엔날레들 대부분이 행사를 연기했다.

 

취소, 연기 발표 없이 예정대로 개막한 몇몇 비엔날레들도 '개점휴업'과 진배없다. 모든 준비를 마쳤음에도 방역당국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에 따라 대면 관람은 여전히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부산비엔날레(11월 8일까지)와 창원 조각 비엔날레(11월 1일까지)는 궁여지책으로 온라인을 통해 전시 작품을 공개하고 있거나 공개를 준비 중이다. 또 다른 국제행사인 강원국제예술제(키즈 트리엔날레. 10월 22일부터 11월 8일까지)와 대전비엔날레(12월 6일까지) 등도 상황은 동일하다.

 

하지만 아무리 실사 뺨치는 3D 입체 영상에 가상현실(VR), 사운드와 텍스트를 덧댄들 눈과 머리로만 읽는 비대면 전시는 오감이 동원되는 대면 전시와 같을 수가 없다. 무료에다 거리가 멀어도 클릭 몇 번으로 전시장과 전시장을 쉽게 넘나들며 다양한 작품을 접할 수 있지만, 공간과 어우러진 작품 특유의 조형성은 물론, 분위기, 맛과 향 모두 현장에서 직접 대면했을 때의 느낌과는 차이가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전시는 비엔날레 특유의 담론 생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전 같으면 주제, 형식, 전시 작품을 둘러싼 비평적 논의가 열정적으로 다양하게 전개되었을 터이지만, 현재는 그런 게 없다. 이미 전시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세간의 이목을 끄는 이슈 혹은 논쟁적 화두는 거의 드러나지 않고 있다. 봐도 본 것 같지 않으니 당연한 결과다.

 

그렇다면 관람객 수는 어떨까. 온라인으로 전개되면 보다 많은 이들이 방문할 것 같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작품을 직접 볼 수 없는 현실은 화제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화제성이 약할 경우 철학적이고 난해하다 인식되는 미술은 대중의 관심을 받기가 쉽지 않다. 더구나 그곳이 풍부한 콘텐츠 바다인 온라인이라면 더욱 그렇다.

 

예를 들면, 22일 06시 기준 부산비엔날레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된 비디오 가이드는 전부 '조회 수 없음'으로 표시되어 있다. 감독이 작품 하나까지 설명해 이목을 끈 온라인 개막식 영상조차 5천여 회에 머문다. 창원조각비엔날레도 마찬가지다. 조회 수 600여 회인 온라인 개막식을 제외하곤 영상의 대부분이 10여 회에서 많아야 100여 회에 불과하다. 영상이 올라온 지 4일이 지났음에도 숫자의 변화는 매우 더디다.

 

온라인 전시는 비엔날레의 또 다른 장점인 현재를 텃밭으로 한 새로운 미적 조명과 실질적 교류에도 취약하다. 비엔날레가 열리면 세계 각국의 작가들과 비평가, 기획자, 미술관·갤러리 관계자들, 미술 행정가들이 방문하고, 그들은 미술작품을 매개로 현대미술 생태계를 포함한 당대 거론해야 할 예술적 문제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한다. 전시장을 오가던 중 우연히 또는 각종 학술 무대에서 가장 핫한 정보를 나누거나 동시대 예술에 대한 열띤 토론도 벌인다.

 

그러나 온라인에선 좀처럼 구현될 수 없는 장면이다. 나라 밖으로 갈 수 없고 올 수도 없으며 보고 싶어도 볼 수 없는 현실은 방구석에서 혼자 들여다보는 '픽셀 이미지와 나'라는 존재 외에는 아무것도 허락하지 않는 탓이다. 그러니 다문화, 다언어를 관통하는 교류는 고사하고 동시대 미술의 과거와 현재를 정리하며 미래를 조망하는 전문가들의 의견은 청취하기 어렵다.

 

이 모든 현상은 비대면 시대에 있어 비엔날레의 오늘과 온라인 전시의 한계를 동시에 보여준다. 작품은, 전시란 모름지기 관람자와 바로 연결되는 관계일 때 가치 있음을 다시 한 번 일깨운다.

 

■ 홍경한(미술평론가·DMZ문화예술삼매경 예술감독)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