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72) 악취 나는 하천서 노천 미술관 된 유진상가 하부 '홍제유연'

지난 10일 홍제유연을 방문한 시민이 공공미술 작품을 감상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수도 서울은 휴전선을 지척에 둔 탓에 안보 논리에 따라 하나의 거대한 군사진지로 거듭나게 됐다. 무장공비 침투 사건을 계기로 서울엔 군사적 목적을 띤 시설물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다.

 

1968년 1월 21일 북한 민족보위성 정찰국 소속 124군부대가 청와대 턱밑까지 치고 들어왔고 대통령훈령28호 '대외 비정규전 작전지침'이 떨어졌다. 시내 주요 교차로 부근엔 북측의 게릴라 침투로 벌어질 시가전에 대비하기 위한 가각진지(가로화단진지) 1900여개가 설치됐다.

 

홍제유연이 생기기 전 유진상가 하부 모습./ 서울시

 

 

유진상가도 수도 방위를 위해 세워진 군사시설물 중 하나다. 문산~구파발~독립문으로 이어지는 서울의 서북쪽 길목을 방어하는 최후 거점으로, 유사시 적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일반 건축물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견고하고 튼튼하게 지었다.

 

서울시는 1970년 대전차 방호기지이자 최초의 주상복합으로 만들어진 유진상가 하부공간을 빛이 흐르는 예술길로 재생해 올해 7월 시민에게 개방했다.

 

◆빛으로 물든 유진상가 지하 공간

 

박종하 서대문구 안전치수과장이 전시공간에 설치된 작품 '홍제유연 미래생태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지난 10일 서대문구 홍은동 유진상가 지하에 들어선 전시공간 '홍제유연'을 방문했다. 반세기간 버려졌던 지하터널은 '물과 사람의 인연(緣)이 흘러(流) 예술로 치유하고 화합한다'는 뜻이 담긴 공공미술관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빛의 예술길에서 사람들을 가장 먼저 맞이하는 건 건물을 떠받치고 있는 100여개의 콘크리트 기둥이다. 유진상가는 북한과 전투가 발생했을 때 건물을 폭파해 남침을 막고자 땅이 아닌 콘크리트 기둥 위에 만들었다고 한다.

 

칙칙한 회색 기둥을 'ㄷ'자로 잇는 라이트 아트 작품 '온기'에 손을 가져다 댔다. 공간을 채우던 빛의 색깔이 노란색에서 흰색으로 변했다. 작가(팀코워크)는 "'널리 구제하다'라는 뜻을 가진 홍제천에서 사람중심의 정서회복을 기원하는 작품"이라며 "조선시대 환향녀 이야기에 비춰진 홍제천은 사회에서 억울하게 외면받던 여성들을 위한 치유의 장소로 따뜻한 온기를 담은 빛의 향연으로 평온한 정서를 재현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홍제유연에서 볼 수 있는 3D 홀로그램 작품 '미장센_홍제연가'./ 서울시

 

 

홍제유연에서는 ▲홍제천 역사를 빛 그림자로 표현한 설치미술 작품 '흐르는 빛, 빛의 서사' ▲잔잔히 흐르는 물의 잔상과 빛, 소리로 새생명을 얻을 홍제유연의 의미를 나타낸 설치미술 작품 'MoonSun, SunMoon' ▲홍제천의 생태적인 의미를 담아 생명의 메시지를 전하는 3D 홀로그램 '미장센_홍제연가' ▲자연의 빛이 드리운 듯한 숲 그림자 산책길로 사람들이 걸음과 호흡에 집중할 수 있도록 만든 '숨 길' 등 8개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서대문구 홍은동에 사는 정해일(69) 씨는 "예전에는 근처 아파트나 상가에서 쏟아져 나온 오물로 지독한 악취를 풍기는 곳이었는데 걷기만 해도 기분이 좋아지는 산책로로 변했다"며 "깨끗하고 냄새가 안 나서 동네 주민들이 다 좋아한다"며 활짝 웃었다.

 

이날 홍제유연을 찾은 시민들은 징검다리를 건너며 지하 250m 구간에 설치된 예술작품들을 감상했다.

 

박종하 서대문구 안전치수과장은 "요 며칠 호우경보로 인해 출입을 막았다가 비가 약해지고 홍제천 수위가 낮아져 10일 오전 8시부로 다시 문을 열었다"며 "예술 작품은 시에서 기획했고 구는 하천 정비와 돌다리 설치 등을 담당했는데 특히 홍제유연 조성 전 하천에서 냄새나는 문제를 없애기 위해 노력을 많이 했다"고 말했다.

 

◆코로나 걱정 없는 지붕 없는 미술관

 

이달 10일 홍제유연을 찾은 시민들이 징검다리를 건너 '두두룩터'로 가고 있다./ 김현정 기자

 

 

시민 참여로 완성된 작품도 눈길을 끌었다. 터널 한켠엔 LED라이트로 빛을 비추면 숨겨진 그림들이 하나, 둘 모습을 드러내는 야광벽화가 걸려 있었다. 관람객들이 손전등을 들고 작품 구석구석을 살피는 모습은 루미놀 반응으로 혈흔을 찾는 과학수사대 같았다.

 

이달 10일 홍제유연에서 만난 직장인 황모(31) 씨는 "평소 그림 보는 걸 좋아해 전시를 잘 찾아다니는 편인데 코로나 때문에 미술관과 박물관 가기가 어려워졌다"면서 "그런데 홍제유연에서는 언제든 원하는 때 예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어 마음에 든다"며 미소 지었다.

 

홍제유연은 오전 10시부터 밤 10시까지 매일 12시간동안 운영된다. 마을 주민들은 콩자갈과 스테인레스 스틸, 레드파인 우드로 만들어진 쉼터 '두두룩터'에 옹기종기 모여 담소를 나눴다.

 

이금례(70) 할머니는 "옆에 재래시장이 있어서 장보고 오다가다 자주 들른다"며 "여름에 덥다고 멀리 계곡 갈 필요 없이 여기서 시원한 물소리 들으며 쉬고 있으면 '천국이 뭐 별건가'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홍제유연은 서울시 공공미술 프로젝트 '서울은 미술관' 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시는 2018년부터 매년 1곳을 선정해 공공미술로 대상지를 바꾸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첫번째 사업으로 조성된 곳이 작년 3월 개장한 '녹사평역 지하예술정원'이다. 지난해 시는 공공미술 대상지 공모를 통해 '유진상가 지하공간'을 선정, 한국전쟁 70주년인 올해 홍제유연의 문을 열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