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매년 증가하는 동물실험… "실험동물 복지 확대해야"

최근 반려동물과 가축의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인간을 위해 희생당하는 실험동물에 대한 복지도 향상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실험동물의 경우 바이오산업 성장에 따라 매년 피실험동물의 수가 크게 늘어나고 있고 잘못된 관행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농림축산검역본부가 발표한 '2017년 동물실험 및 실험동물 사용 실태 보고'에 따르면 지난해 동물실험에 사용된 실험동물 수는 전년 대비 약 7% 증가한 총 308만2259마리였다. 2013년 196만6848마리와 비교하면 5년 새 57%나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동물실험을 시행한 기관은 351개소로 기관 당 8781마리의 실험동물을 사용한 것이다.

문제는 지난해 실험동물 중 약 3분의 1은 실험 과정에서 극심한 고통을 겪었다는 점이다.

검역본부에 따르면 동물실험은 동물이 느끼는 고통의 정도에 따라 가장 낮은 A등급부터 가장 심한 E등급까지 5단계로 나뉜다.

지난해엔 고통등급이 가장 높은 E그룹의 동물실험에 102만7727마리(33.3%)가 사용됐고, D그룹 102만3406마리(33.2%), C그룹 86만7154마리(28.1%), B그룹 16만3972마리(5.3%)순으로 사용됐다.

E그룹에 속한 실험동물들은 실험 과정에서 극심한 고통이나 억압 또는 회피할 수 없는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와 함께 실험이 끝난 동물들의 획일적인 처리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

실험 이후 동물 대부분은 실험실 내에서 안락사 되고 있다. 실험이 끝난 이후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한 동물들도 실험실 밖으로 나올 기회를 얻는 경우는 거의 드문 것이다. 실험동물 전문구조단체인 비글구조네트워크에 따르면 지난 2001년부터 2015년까지 15년간 실험에 동원된 15만 마리의 개 가운데 21마리만이 구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제기되자 지난해 말 동물실험이 끝난 후 정상적으로 회복된 동물을 일반인에게 분양하거나 기증할 수 있도록 '동물보호법' 이 개정됐다. 하지만 회복된 실험동물의 기준을 누가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 또 얼마나 많은 실험기관들이 분양이나 기증에 참여할지 등이 과제로 남아 있다.

문운경 검역본부 동물보호과장은 "바이오 의약 분야의 성장과 함께 동물실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동물실험시행기관 및 동물실험 수행자들은 실험동물의 윤리적 취급 및 과학적 사용과 함께 실험동물의 보호와 복지 향상에 더욱 노력해주길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이처럼 실험동물 복지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자 정부도 이달 24일 UN이 지정한 '세계실험동물의 날'을 맞아 민간단체와 학계와 함께 실험동물 복지 확대를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농식품부와 동물복지국회포럼에 따르면 이날 국회 의원회관과 제8간담회실에서 실험동물 복지 확대 정책토론회가 열린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동물실험의 윤리 증진과 실험동물 복지 확대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올해는 국내에 동물실험윤리제도가 도입·시행된 지 10년이 되는 해로 그동안 정책 시행과정에서 드러난 제도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 마련을 위해 정부와 국회, 학계 및 산업계, 민간단체가 함께 머리를 맞댈 예정이다.

박홍근 동물복지국회포럼 공동대표는 "이번 토론회가 실험동물의 복지 개선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본격화 되고, 우리나라 동물복지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