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박소정의 메트로 밖 예술세계로] ③시대를 앞서간 포스코빌딩, 박태준의 결단

포스코센터는 30층(동관), 20층(서관) 2동의 트윈 빌딩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 선릉역(1번출구)과 삼성역(4번출구) 중간, 테헤란로 한 중간에 우뚝 서있다. 사진=류주항

>

1992년 6월 8일 오후 3시 해성빌딩 포스코센터 임시건설본부.

"회장님, 보고드리겠습니다. 첫째, 주변환경에 어울리며 이 건물을 도시계획안과 연결해 줄 모양을 찾았습니다. 둘째, 두 개의 동이 한쌍이면서도 하나로 시선이 연결될 수 있는 형태와 외관을 찾았습니다. 셋째, 하이테크 첨단기업을 위한 고층부와 시민의 공간인 저층부의 연결을 찾았습니다.…무엇보다 세계적인 철강회사의 강직함, 주위환경과 시민에 배려하는 공기업의 자세를 설계의 모든 부분에 반영하겠습니다."

포스코센터의 계획 설계와 기본 설계를 주도한 재미교포 건축가 김용원 대표(62)가 당시 포스코 박태준 회장에게 직접 보고했던 설계보고서의 핵심내용이다. 당시 박 회장은 그에게 "우리나라 최고의 첨단빌딩을 만들어주세요. 2등이 아닌 세계 1등이 되는 설계가 되기를 바랍니다"라고 요청했다.

포스코센터는 시대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하며 미래 지향을 담은 한국의 기념비적 건축물이다. 여러가지 용도를 고려한 설계는 시대 변화와 함께 하겠다는 의도의 소산이다. 20년이 지난 지금 최신 빌딩과 견주어도 모자람이 없다. 사진=류주항

>

최근 김 대표의 서울 사무실을 방문해 포스코센터 탄생 배경, 건축과 예술에 대한 그의 철학을 들었다. 그에게는 '건물이 공학이면 건축은 예술'이라는 철학이 있다. 23년 전 포스코센터 건축 당시에도 그는 "건축이란 주위와 자연을 배려하며 미와 과학의 조화를 이루고 과거와 미래의 연결을 현실화하는 예술이다. 그래서 건축은 곧 생활하는 예술, 살아있는 예술"이라고 굳게 믿었다. 2등은 싫은 박 회장이었다. 박 회장은 그가 1등 건물을 지어줄 거라 믿으며 끝까지 지지했다.

그 결과가 각각 30층(동관), 20층(서관) 2동의 트윈 빌딩으로 테헤란로에 우뚝 서있는 지금의 포스코센터다.

포스코센터의 선은 단순하면서도 강직한 직선이다. 공기업의 정직한 이미지와 함께 감출 것도, 꺼릴 것도 없는 순수한 철의 자신감을 상징한다. 사진=류주항

>

포스코센터의 선은 단순하면서도 강직한 직선이다. 공기업의 정직한 이미지와 함께 감출 것도, 꺼릴 것도 없는 순수한 철의 자신감을 상징한다. 동시에 시대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하며 미래 지향을 담은 한국의 기념비적 건축물이다. 여러가지 용도를 고려한 설계는 시대 변화와 함께 하겠다는 의도의 소산이다. 20년이 지난 지금 최신 빌딩과 견주어도 모자람이 없다.

포스코센터는 '올 글래스 파사드'(전면 완전 유리)의 대유행을 선도한 한국 최초의 빌딩이다. 화려한 조명을 받으면 진가가 드러난다. 사진=류주항

>

외관이 유리인 포스코센터는 강렬한 햇빛에 정면으로 맞설 때면 이글대는 '용광로'의 느낌이다. 금빛 석양이 내려 앉는 초저녁에는 한쌍의 '골드바'다. 투명한 유리 외관의 효과다. 포스코센터는 '올 글래스 파사드'(전면 완전 유리)의 대유행을 선도한 한국 최초의 빌딩이다. 투명한 유리 외관은 공기업의 정직성을 강조한다.

포스코센터의 2개 동을 이어주는 저층부는 시민의 공간이다. 7층 높이의 아트리움(유리지붕 광장)으로 한가운데에 원통형 대형 수족관이 놓여 있다. 오른쪽 천정에서 내려오는 조형물은 백남준의 '철이철철: TV깔대기, TV나무'라는 작품이다. 사진=류주항

>

9m 높이의 투명한 '아쿠아리움'(대형 수족관)에 아트리움의 유리가 비치면서 공기업의 투명함이 다시 반짝인다. 사진=류주항

>

2개 동을 이어주는 저층부는 시민의 공간이다. 7층 높이의 아트리움(유리지붕 광장)이다. 아트리움 한가운데 9m 높이의 투명한 원통 모양 아쿠아리움(대형 수족관)에서 공기업의 투명함이 다시 반짝인다. 여기저기 백남준, 이우환, 이용덕, 최우람, 강요배 등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이 시민들을 반긴다.

포스코센터 1층 로비에 위치해 있는 창립자 박태준 회장의 전신상 조각. 이용덕의 '철강왕 청암 박태준 회장-철은 산업의 쌀'(가로7.5 x 두께 1.1 x 높이4m, 두랄루민과 철판)이라는 작품으로 양각과 음각이 뒤바뀐 '역상조각' 형식이다. 보는 방향에 따라서 얼굴이 입체적으로 다르게 보이는 재미있는 작품이다. 사진=류주항

>

90년대 초 건물들은 하나같이 석재 외관이다. 에너지를 절약하고 외부 오염으로부터 유지관리를 쉽게 하기 위해서다. 시대를 앞서가는 건축가의 시도는 무리수였다. 더구나 건축가란 건물 내부와 외부 주위환경을 아우르는 총괄자라는 당연한 인식이 당시는 없었다. 박 회장이 건설본부에 "건축가의 의도, 해석, 표현을 충실하게 지켜 달라"는 지침을 내리지 않았다면 건축은 불가능했다. 많은 밤을 고민으로 지새운 건축가는 1995년도 '대한민국 건축대상' 대상 수상의 영예로 건축주의 지지에 화답했다.

현대미술의 대표적 거장인 미국 작가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의 '꽃이 피는 구조물, 아마벨'(가로 9m x 세로 9m x 높이 9m,스테인레스스틸)이 포스코센터의 이미지와 조화를 이루고 있다. 사진=류주항

>

포스코센터는 시대를 초월하는 철의 강인한 이미지를 추구한다. 지난편에서 소개한 프랭크 스텔라의 조형물 '꽃이 피는 구조물-아마벨'은 이와 잘 어울린다고 김 대표는 평가했다. 앞으로도 우리 기업들이 사옥에 어울리는 조형물을 통해 기업의 성격과 비전을 널리 알려주길 기대한다.

◆김용원 건축가는

미국 하버드 대학원 건축학과 졸업후 미국에서 손꼽히는 대형설계사인 캐논(CANNON)의 부사장겸 7개 지사의 디자인 총책임자(Director of Design)를 역임했다. 1990년 YKA(Y.Kim Architects) 설립후 한국에서는 포스코센터, 앰배서더호텔 Renovation, 광릉CC 클럽하우스를 설계했다.

박소정 객원기자



글 : 큐레이터 박소정 _ 아트에이젼시 '더트리니티' 큐레이터. (info@trinityseoul.com)

사진 : 사진작가 류주항 _ 패션사진과 영상연출분야에서 'Matt Ryu' 로 활동중. (www.mattryu.com)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