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박소정의 메트로 밖 예술세계로] ②테헤란로에 떨어진 거대한 코사지…포스코 앞 프랭크 스텔라의 '아마벨'

강남 테헤란로의 총 길이는 4km, 테헤란로가 시작하는 지점으로부터 정확히 2km 되는 곳에 위치한 포스코센터는 이 거리의 중심축이라 할 수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선릉역(1번출구)과 삼성역(4번출구) 중간이다.

포스코센터는 준공된 해인 1995년 대한민국 건축대상전 준공건축물 부문 대상을 받았다. 외부가 유리인 '올 글래스 파사드' 공법이 국내 최초로 적용된 결과다. 투명한 유리로 철의 강직성을 부각시키고 공기업의 투명성을 강조하려는 콘셉트다. 포스코센터는 20년이 지난 지금도 세월을 초월한듯 여전히 세련된 외관을 자랑한다. 포스코센터 건축물에 대해서는 다음편에서 좀 더 소개하겠다. 오늘은 그 앞마당의 '한 덩치'(가로 9m, 세로 9m, 높이 9m에 무게가 무려 30t)하는 고철 조형물에 주목해 보자. 바로 현대미술의 대표적 거장인 미국 작가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의 '꽃이 피는 구조물, 아마벨'이다.

포스코센터 앞에 세워진 공공미술 1세대,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의 '꽃이 피는 구조물, 아마벨' 사진=류주항

>

이 작품은 정식 제목인 '꽃이 피는 구조물' 보다 부제인 '아마벨'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아마벨'은 프랭크 스텔라의 친구 딸의 이름이다. 프랭크 스텔라는 친구 딸이 비행기 사고로 인해 목숨을 잃자 스테인레스스틸에 그 비행기의 잔해를 더해 1년 반 동안 엄격한 설계와 작업을 거쳐 1997년 작품을 완성했다.

현대미술의 대표적 거장인 미국 작가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의 '꽃이 피는 구조물, 아마벨' 사진=류주항

>

프랭크 스텔라는 1960년대 미니멀리즘으로 시작해 새로운 추상회화와 조각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실험을 계속해 왔다. 작업마다 무한한 변화를 선보이고 있는 그의 작품세계를 압축하듯 '아마벨' 은 영화 '트랜스포머'의 무엇으로 곧 변이할 것 같은 환상을 불러일으킨다.

붉은 조명을 받은 '꽃이 피는 구조물, 아마벨' 사진=류주항

>

보라색 조명을 받은 '꽃이 피는 구조물, 아마벨' 사진=류주항

>

작품을 360도로 빙 둘러보다보면 이내 힘차게 피어나는 듯한 거대한 꽃 한송이의 형상과 마주하게 된다. 특히 꽃의 형상은 형형색색의 조명이 입혀지는 야경에 더욱 도드라진다. 장미빛으로 붉어지는 '아마벨' 황홀경에 함께 물들고 싶다면 매일 저녁 조명이 켜지는 오후 5시 15분 이후에 감상하는게 좋다.

보라색 조명을 받은 '꽃이 피는 구조물, 아마벨' 사진=류주항

>

붉은 조명을 받은 '꽃이 피는 구조물, 아마벨' 사진=류주항

>

거대한 작품 밑에 서서 위를 올려다 본다. 초대형 볼트에서 흐르는 강력한 생명력, 섬세하게 빚어낸 주름, 꽃가루가 흩날리는 것처럼 찢겨내고 부식시킨 디테일. 올려다 보는 각도마다 감탄이 나온다.

초대형 볼트에서 흐르는 강력한 생명력이 느껴진다. 사진=류주항

>

섬세하게 빚어낸 주름, 꽃가루가 흩날리는 것처럼 찢겨내고 부식시킨 디테일이 감탄을 자아낸다. 사진=류주항

>

철이라는 소재가 프랭크 스텔라에 의해 자유자재로 반죽되어 있다. 사진=류주항

>

프랭크 스텔라에 의해 자유자재로 반죽되어 포스코 앞에 툭 올려놓아진 '아마벨'은 포스코 건물 외벽 투명한 유리에 일률적으로 노출된 철의 심플함과 대조를 이루며 상호 균형을 맞추고 있다.

아마벨은 포스코 건물 외벽 투명한 유리에 일률적으로 노출된 철의 심플함과 대조를 이루며 상호 균형을 맞추고 있다. 사진=류주항

>

독일의 화가이자 현대 추상회화의 시조인 파울 클레는 "예술은 보이는 것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것이다" 라고 말했다. '아마벨'에는 평면회화를 탐구하는 작가의 끊임없는 실험 욕구와 도전 의지가 담겨있다. 게다가 '아마벨'의 소재인 스테인리스스틸은 녹이 슬지 않는 영원불멸의 의미와 현대 산업사회를 상징하는 소재다. '아마벨'이 한때 원조 벤처신화의 메카였던 테헤란로에서 또다른 활약을 향한 동력의 상징이 되어 주기를 바라는 이유다.

원조 벤처신화의 메카였던 테헤란로에서 중심에 자리잡은 아마벨. 사진=류주항

>

아마벨 주위로 테헤란로의 거리가 펼쳐져 있다. 사진=류주항

>

*포스코센터 서관 2층에서는 프랭크 스텔라의 또다른 대형 평면작품 '전설 속의 철의 섬 , 5m x 11m, 캔버스에 아크릴릭, 1997년'을 만날 수 있다. 후기조각 시리즈로 구성된 작품 13점이 전시되는 프랭크 스텔라의 국내 개인전은 내년 1월 30일까지 리안갤러리 서울에서 감상할 수 있다.

포스코센터 서관 2층에 있는 프랭크 스텔라의 또다른 대형 평면작품 '전설 속의 철의 섬 , 5m x 11m, 캔버스에 아크릴릭, 1997년'사진=류주항

>

프랭크 스텔라의 '전설 속의 철의 섬'사진=류주항

>

프랭크 스텔라의 '전설 속의 철의 섬'사진=류주항

>

박소정 객원기자



글 : 큐레이터 박소정 _ 아트에이젼시 <더트리니티> 큐레이터. (info@trinityseoul.com)

사진 : 사진작가 류주항 _ 패션사진과 영상연출분야에서 'Matt Ryu' 로 활동중. (www.mattryu.com)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