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범금융 신년인사회]경제 수장들, "올해도 어렵다…혁신·포용금융 강조"

/은행연합회



경제·금융당국 수장들을 비롯한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이 새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여 올 한해 금융환경이 순탄지 않을 만큼 기업과 소비자를 위한 든든한 지원군이 되겠다고 약속했다. 또 금융의 경우 리스크 발생시 취약성과 파급력이 큰 만큼 '리스크 관리'에도 총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은행연합회 등 6개 금융업권별 협회는 3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2020년 범금융 신년인사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은성수 금융위원장, 이주열 한국은행총재,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을 비롯해 각 금융지주 그룹의 최고경영자(CEO)와 은행장, 보험회사, 카드회사, 증권회사의 대표 등 1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신년회에 참석한 금융사 임원들을 향해 "'경제회복과 도약의 모멘텀'을 살려나가자"며 "금융이 경제의 혈맥으로 든든한 지원군이 돼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자금 흐름이 보다 생산적인 분야, 기업투자로 돌려지기를 기대한다"며 "대출제도에 있어 동산담보 대출, 계약서 기반 대출, 일괄담보 등과 함께 기술력·성장성 중심의 여신관행 정착에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서민금융, 채무조정 등을 통해 포용금융을 확대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단순히 사회적 책임 때문만이 아니라 금융이 신용평가를 고도화 한다면 시장기능을 통해서도 서민에게 더 많은 자립과 재활, 도전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서민금융공급과 채무조정 지원 등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또 금융산업의 변화와 혁신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그는 "지금은 (금융)자본이 아니라 데이터가 금융의 새 핵심경쟁력이 돼 가고 있다"며 "규제샌드박스, 오픈뱅킹 등 시스템을 적극 활용해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달라"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500대 기업 중에서 국내 금융회사는 2곳(삼성생명, KB금융그룹)에 불과했다"며 "우리 금융산업도 세계를 무대로 시야를 넓혀 선진적인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글로벌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3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2020년 범금융 신년인사회'가 열렸다/나유리 기자



이날 신년회에 참석한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혁신금융과 포용금융의 확산을 위해 매진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올해 금융위는 약 60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혁신금융과 포용금융의 확산을 위해 매진해 나가겠다"며 "금융인과 함께 뛰는 동반자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변화하고 있는 경제 여건 아래 우리 경제가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정책체계를 점검하고 금융산업의 혁신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축적된 자원이 혁신·신성장 부문으로 배분돼 성장동력 확충에 쓰일 수 있도록 금융산업 물꼬를 터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기술기업과 혁신경쟁은 금융서비스의 폭과 깊이를 더해줄 수 있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금감원도 국가 위험관리자로 신뢰받는 금융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다양한 금융상품에 대한 적절한 소비자보호 부재로 소비자 피해가 이어지면서 금융에 대한 신뢰 훼손이 우려된다"며 "새해 우리 금융권은 국민들로부터의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