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정치일반

文대통령 '조국 임명-親삼성' 행보에 갈라지는 여권

문재인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10일 충남 아산 삼성디스플레이공장에서 만난 모습/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의 '친(親)삼성' 및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 행보를 바라보는 여권의 시선이 분산되는 모양새다. 실제 '집권당' 더불어민주당과 '여권 성향 야당'인 정의당은 문 대통령의 조 장관 임명 및 친삼성 행보를 놓고 이견을 보였다. 그래선지 일각에선 현 정부여당의 행보가 변질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우선 문 대통령의 친삼성 행보 때 여권 불협화음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충남 아산시 삼성디스플레이 아산공장에서 개최된 '디스플레이 신규투자 및 상생 협력 협약식'에 참석해 "정부는 삼성디스플레이의 과감한 도전을 응원하며 디스플레이 산업혁신으로 기업들의 노력에 함께 하겠다"며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개발을 위해 과감하게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에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11일 국회에서 열린 당 상무위원회의 때 "대통령의 친삼성 행보가 특별히 국민에게 실리를 가져다주는 게 아니다. 삼성을 포함해 모든 기업의 투자 결정은 오직 기업 자체의 성장 및 수입 전망에 따라 하는 것이지 대통령이 사정한다고 투자하고 투자하지 말라고 투자 안하는 게 아니다"라고 했다.

심 대표는 "오히려 국정지도자가 투자를 애걸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면 기업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한 투자를 사회를 위한 것으로 호도하면서 이를 볼모로 세제 지원이나 특혜성 규제 완화 등 과도한 기업의 요구를 국민들에게 전가하게 된다"며 "국정의 난맥을 친재벌·반노동으로 돌파할 수는 없다"고도 했다.

심 대표가 문 대통령의 친삼성 행보에 우려를 표했기 때문일까. 민주당에서는 심 대표 발언을 반박하는 주장이 곧장 나왔다. 강훈식 민주당 의원은 12일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문 대통령의 방문이 '친재벌 반노동' 행보라는 심 대표도 이러한 이분법으로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이라는 지상 과제에 다가설 수 없다는 점을 잘 알고 계시리라 믿고 싶다"며 "질 좋은 일자리 창출에는 기업과 정부의 협력이 필수"라고 반박했다.

다음은 문 대통령의 조 장관 임명 때 여권 불협화음이다. 조 장관을 둘러싼 가족 의혹이 문 대통령의 임명강행 이후에도 고구마줄기처럼 연이어 터지자 정의당은 고개를 숙였다. 심 대표는 지난달 21일 당 전국위원회 모두발언 때 "조 장관 자격평가를 넘어서 개혁과 반개혁 대결의 중심에 있었기 때문에 정의당은 최종적으로 개혁전선을 선택하게 됐다. 현재 조 장관 문제는 검찰 손에 맡겨졌고 저희는 검찰수사 귀추를 주목하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 "이번 정의당 결정(조 장관 임명 찬성)이 국민적 기대에 못 미쳤던 게 사실이다. 우리사회 특권에 좌절하고 상처받은 청년들과 당의 일관성 결여를 지적하는 국민들에게 송구스럽다"고 부연했다.

한편 문 대통령 행보를 놓고 여권 내부에서 불협화음이 나오자 정계에서는 다양한 분석이 나온다. 그중 문 대통령과 정부여당의 행보가 '진보적 가치'에서 멀어진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눈에 띈다. 윤용호 자유한국당 부대변인은 13일 메트로신문과의 통화에서 "문 대통령이 조 장관을 임명했을 때도 그렇고 최근 충남 삼성 공장을 방문했을 때도 그렇고, 이를 바라보는 여권 내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며 "민주당과 정의당이 문 대통령 행보를 놓고 한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것은 정부여당의 행보가 진보적 가치와 궤를 달리하고 있기 때문이 아니겠나"라고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