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노동/복지/환경

[100세 시대 '5060 신중년'이 뛴다<4>] 귀농 넘어 손가락 하나로 나의 농사짓기도

[100세 시대 '5060 신중년'이 뛴다] 귀농 넘어 손가락 하나로 나의 농사짓기도

귀농귀촌플래너·스마트팜운영자(스마트파머)

노후 대비를 위해 귀농·귀촌을 선택하는 50대 전후의 인구가 늘고 있다. 나아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손가락 하나로 장거리 농사를 짓기도 한다. 메트로신문은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의 '인생 2막 새로운 도전: 베이비부머 직업 탐색 가이드'를 토대로 중장년층이 도전하기에 적합한 직종을 시리즈로 소개한다. 네 번째로 소개할 직업은 '귀농귀촌플래너·스마트팜운영자(스마트파머)'다.

/고용노동부



◆귀농귀촌플래너

한 조사에 따르면 베이비부머 세대 64%가 귀농·귀촌을 생각해봤다고 응답했고, 실제로 2014년 귀농·귀촌가구는 4만4586가구로 전년대비 37.5%가 증가한 바 있다(2014년 귀농·귀촌인 통계, 농림축산식품부).

그러나 준비가 충분하지 않아 귀농귀촌에 실패해 도시로 재이주하는 역귀 농·역귀촌 비율도 8.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2010~2012 이주 세 대 대상 조사, 농식품부와 전라북도). 때문에 귀농·귀촌인들이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정착지역, 주변 여건, 소득 창출을 위한 작물재배와 판매·유 통 등 충분한 정보와 다양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역할이 필요하게 됐고, 실제 귀농·귀촌 경험을 토대로 하는 상담가이자 플래너의 활동이 나타나고 있다.

관련 교육과정으로는 주로 귀농 귀촌에 대한 과정이 많은 편이다. 주로 지역 귀농·귀촌지원 센터나 사립 아카데미 등에서 실시하는 귀농 귀촌 교육이 가장 도움이 되고, 상담 및 컨설팅 기법 교육을 더해 상담가로 활동할 수 있다.

천안연암대학에서 실시하는 귀농귀촌코디네이터 교육을 필두로 귀농귀촌 인구 유치를 희망하는 각 지자체 주도로 귀농귀촌코디네이터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참고로, 단순 귀농 귀촌에 대한 교육은 2014년 신설된 귀농귀촌종합센터 관리 아래 민간기관 공모교육도 실시 중이다.

이선행 서울귀농아카데미 원장은 "귀농귀촌플래너는 농촌 지역에 대한 지식과 농업에 대한 지식 및 기술이 필요한 직업"이라며 "귀농 귀촌 정책에 따라 지원되는 범위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책사항 및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전달, 자문하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고용노동부



◆스마트팜운영자(스마트파머)

'손가락 하나로 농사를 짓는다?' 불가능해 보이는 것 역시 손안의 똑똑 한 기기, 스마트폰이 있으면 가능한 세상이 됐다. 바로 스마트팜 운영이 본격화되었기 때문이다. 귀농귀촌플래너와는 또 다른 직업, 바로 스마트팜 운영자다.

실제 세종시에는 2014년 말 창조마을 시범사업장' 스마트팜(지능형 비닐하우스 관리시스템)'이 100개 이상 설치됐다. 스마트파머는 이제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비닐하우스를 수시로 오가던 수고를 덜 수 있게 됐다. 스마트폰으로 온도 확인과 제어를 하며 농작물에 최적화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팜은 농사짓기에 노하우가 없지만 귀농을 원하는 베이비부머에겐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오랫동안 농사를 지어온 농부도 자연 앞에, 그리고 체력적 한계 앞에 어느 정도는 자연적으로 감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이제는 그런 한계를 극복하는데 스마트팜 기술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팜은 농사기술에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한 지능화된 농장 또는 그게 적용된 기술을 말한다. 스마트팜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기술을 이용해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 습도, 햇볕량, 이산화탄소, 토양 등을 측 정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장치를 구동해 적절한 상태로 변화시킨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원격 관리가 가능하고, 농업의 생산, 유통, 소비과정에 걸쳐 생산성과 효율성 및 품질 향상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를 창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아직은 일부지역에 국한돼 있는 상황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은 "현재는 세종시를 중심으로 스마트팜이 운영되고 있다"면서 "이외에도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산학연이 협력해 시범 농장 운영을 확대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직은 시작단계에 있고 스마트팜 설치비용이 상당하므로, 농촌진흥청 등의 협력을 통해 운영 기회를 잡을 수 있다. 정부와 지역에서 관련 사업이 활발히 추진될 계획이어서 앞으로 진입 기회는 늘어날 전망"이라고 바라봤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