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수출규제 대응하자" 대학가 확산… KAIST·서울대에 이어 고려대도 합류
일본의 수출규제로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중소·중견기업을 돕기 위한 대학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고려대(총장 정진택)는 "일본의 수출규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산업계를 적극 지원하고, 중·장기적으로 산업생태계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캠퍼스를 개방형 혁신 플랫폼으로 전환하겠다"고 20일 밝혔다.
고려대는 이를 위해 이달 내로 연구부총장을 중심으로 '산업지원 특별위원회(가칭)'를 구성해 공학 중심의 기술개발 지원뿐 아니라 경영컨설팅과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해법 제시에 주력할 계획이다.
고려대 산업지원 특별위원회는 공학관련 연구소 이외에 교내 기업경영연구원, 아세아문제연구소, 일민국제관계연구원, 평화와 민주주의 연구소, 글로벌 일본연구원 등과도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특별위원회는 우선 국내 소재·부품·장비 산업 분야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산업체와의 협력연구를 강화하면서 중장기적으로는 이번 기회에 고려대가 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초학제적 캠퍼스로 변화해가는데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내부 혁신도 수행할 방침이다.
세부 전략으로는 소재·부품·장비 부문 경쟁력 강화를 위한 ▲ 산업체 애로기술 및 수요기술 지원 확대 ▲ 노하우 및 기술이전 전방위 지원 ▲ 공동 R&BD 기획 및 상용화 ▲ 잠재력 있는 협력 기업 발굴 지원 등 기술개발 지원에 나선다.
아울러 ▲ 통상, 조세, 수입국 다변화 등 경영컨설팅 ▲ 고려대-와세다대학 공동위원회 제안 ▲ 계약학과를 통한 기업-대학 간 협력 강화 ▲ 기업과 대학 공동 벤처 창업 활성화 등 산업체 애로사항에 대해 대학내 모든 역량을 모아 종합 지원하기로 했다.
고려대는 그동안 전담부서를 두고 산업체와 연구진을 연결해 기술개발을 지원해 왔으나, 일본 수출규제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산학협력 신청서를 제출하면 특별위원회에서 우선 신속하게 대처해 지원한다. 대학이 보유한 특허 등 지식 재산권을 산업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대학 내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초연구력이 산업체 응용연구로 연결되도록 국책연구소나 산업체와 함께 국제적 협력 채널 구축에도 나선다.
구체적으로 공과대 화학공학 연구정보센터와 열역학물성 데이터센터가 중심이 돼 화학제조업체인 머크(Merck)사와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등 해외 네트워크를 통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 전략 부품 제조에 필요한 화학소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했다.
기업들이 일본의 자율준수규정(ICP)을 인증받은 기업으로 거래선을 변경하거나 일본 이외의 기업을 찾을 때도 고려대 각 분야 전문가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지원한다.
고려대는 기업 기술개발 지원 외에도 양국이 경제·역사적 갈등을 해결하는데 대학의 학술적인 역할도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고려대 관계자는 "고려대는 장기적으로 산업생태계 기술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산업체와 함께 개방형 혁신 플랫폼을 구축해 계약학과를 중심으로 기업과 대학의 혁신 플랫폼을 만들고 나아가 캠퍼스 전체가 지역과 산업체를 위한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KAIST는 일본의 수출규제로 피해를 입는 중소기업 원천기술 개발 지원을 위해 전현직 교수 100여명이 참여해 159개 핵심소재·부품·장비 애로기술을 지원하는 기술자문단을 지난 5일부터 가동하기로 했고, 서울대도 일본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로 공급에 타격을 받는 100대 품목의 공급 안정화를 위한 '소재·부품·장비 기술 자문 특별 전담팀'을 구성해 운영하고, 공대 교수 320명과 6개 연구소가 함께 애로기술지원에 나서기로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