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정치일반

[초점] '아베 과거사 반성' 군불 지피는 日언론… 한일대화 물꼬 트나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이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될 분위기가 감지됐다. 일본 매체들이 일제히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 '아베 신조 총리대신 정권이 과거사에 대한 반성의 뜻을 표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 정부는 우리기업 대상 반도체 품목 수출규제 및 백색국가(전략물자 수출 심사 우대국) 제외 등 경제보복 전선을 구축했다. 일본이 우리나라를 향해 경제보복 전선을 구축한 이유로는 우리 대법원의 '과거사 강제징용 배상 판결' 및 'WTO(국제무역기구) 수산물 분쟁' 등과 연관이 깊다.

우선 아베 정권을 향해 과거사 반성의 뜻을 표명해야 한다는 일본 언론은 이렇다. 아사히신문은 17일자 조간에 '일본과 한국을 생각한다-차세대에 넘겨줄 호혜관계 유지를'이란 사설을 통해 "대한민국을 냉대해서는 안 된다"며 "(아베 정권이) 과거사에 대한 반성의 뜻을 표명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아베 정권은 과거 반성에 소극적이란 평가가 있다. 여기에는 대한민국의 씻을 수 없는 불신감이 있다"며 "이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아베 정권이 다시 한반도에 관한 역사 인식을 밝혀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 신문은 일본의 한국 경제보복에 대해서 "양국은 국교수립에 따라 일본이 제공한 경제협력금은 한국의 기초를 구축했을 뿐 아니라 일본경제 성장에도 기여했다. 양국은 이미 호혜관계로 발전해온 실적이 있다"며 "아베 정권이 수출규제 강화로 사태를 복잡하게 한 것은 확실하다. 문재인 정권에 문제가 있다고 해도 정치 및 역사 문제를 경제까지 넓힌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진단했다.

도쿄신문 역시 같은날 조간에 한일간 대화를 촉구하는 사설을 실었다. 도쿄신문은 "한일관계의 악화는 일본에게도 마이너스"라며 "아베 정권이 한국과 적극적으로 대화해야 한다. (또) 문재인 정부는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일본 외신들의 이러한 입장은 문재인 대통령이 줄곧 강조한 '대화로의 해결'과 궤를 같이 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 15일 제74회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일본의 부당한 수출규제에 맞서 우리는 책임 있는 경제강국을 향한 길을 뚜벅뚜벅 걸어갈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일본이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우리는 기꺼이 손을 잡을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2일 수석보좌관 회의 때도 "일본 경제보복에 대한 우리의 대응은 감정적이어선 안 된다"며 "일본의 경제보복은 그 자체로도 부당할 뿐 아니라, 그 시간이 과거사 문제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다만) 결기를 가지되 냉정하면서 또 근본적인 대책까지 생각하는 긴 호흡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그래선지 정계에서는 일본 외신들의 이러한 입장이 일본이 구축한 경제보복 전선을 완화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입을 모았다.

익명을 요구한 여권관계자는 18일 메트로신문과의 통화에서 "일본 외신들이 일제히 아베 정권을 향해 우리나라와의 대화를 촉구하는 것은 이번 경제보복이 양국 모두에 이로울 게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윤용호 자유한국당 부대변인 역시 18일 메트로신문과의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와 관련 '승자 없는 게임'이라고 언급한 적이 있다. 이 말에 여야를 가리지 않고 초당적으로 다들 동의를 할 것"이라며 "승자 없는 게임이란 말은 우리나라에 한정된 게 아니라, 일본에도 해당되기 때문에 일본 외신들이 팔을 걷어붙이고 아베 총리에게 '한국과의 대화'를 강조한 게 아닌가 싶다"고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