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52) 한국인이라는 게 자랑스워지는 곳,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지난 12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찾은 한 시민이 전시 '대한독립 그날이 오면'을 관람한 후 밖으로 나오고 있다./ 김현정 기자



경복궁 앞 세종대로에는 19세기 말 개항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발자취를 기록해 놓은 공간이 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국내 최초의 국립 근현대사박물관으로 2012년 12월 26일 개관했다.

지난 2008년 이명박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에 따라 총 448억원을 투입, 문화체육관광부 청사를 리모델링해 조성했다. 연면적 1만1117㎡, 지상 8층 규모다. 박물관에는 4개의 상설전시실과 2개의 기획전시실, 수장고, 세미나실, 강의실, 옥상정원, 카페 등이 들어섰다.

◆그날이 오다··· 3·1운동, 임정 수립 100주년, 광복 74주년

12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방문한 학생들이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 김현정 기자



광복 74주년을 기념해 지난 12일 한국사가 살아 숨 쉬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찾았다. 서울시청에서 광화문광장을 따라 10여분을 걸으면 태극마크가 인상적인 건물 하나가 모습을 드러낸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다. 이날 박물관에서는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대한독립 그날이 오면'이라는 제목의 기획전시가 열리고 있었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됐다. 1부 '1919년을 가슴에 품다'는 3·1운동에 참여했던 보통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겼다. 2부 '임시정부 사람들 조국을 그리다'는 상해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의 활동상과 그들의 삶을 조명했다. 3부 '고향, 꿈을 꾸다'는 해외 각국에서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애쓴 한인들의 흔적과 후손들의 모습을 다뤘다.

지난 12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찾은 학생들이 전시 해설사의 설명을 듣고 있다./ 김현정 기자



계단처럼 쌓여 있는 책들 위로 글자가 하늘을 향해 피어오르는 형상을 한 조형물이 가장 눈에 띄었다. '알려지지 않은 사람들'이라는 이름의 작품은 3·1운동에 참여한 민중의 희생과 그 역사적 무게를 표현한 판결문 조형물이다. 1919년의 봄을 기억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시물이라고 한다.

대학생 윤소라(21) 씨는 "지금 당장 독립운동가 이름 10명을 대보라고 하면 전부 말할 자신이 없다"며 "유관순 열사, 김구 선생 말고도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있었다는 사실을 새삼 알게 됐다"고 말했다.

등사기 위로 종이가 흩날리는 장면을 나타낸 입체 전시물도 인기가 많았다. 등사기는 글이나 그림을 찍어내는 간편한 인쇄기다. 종이를 줄판 위에 놓고 철필로 긁어 구멍을 내 틀에 끼운 다음 잉크를 묻힌 롤러를 굴리면 글자가 나타난다. 종이에는 항일 시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그날이 오면'이 적혀 있었다.

친구들과 박물관에 온 최도현(24) 씨는 "종이에 뭐가 쓰여 있나 궁금해서 자세히 살펴봤다"며 "'두개골은 깨어져 산산조각 나도 / 기뻐서 죽사오매 오히려 무슨 한이 남으오리까'는 시 구절이 기억에 남는다. 영영 잊을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특별전에는 기미독립선언서, 상해판 독립신문 등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에 관련된 주요 자료 200여점이 전시됐다. 일반인들의 3·1운동 참여를 보여주는 총독부 판결문 원본, 임시의정원 의장을 역임한 김붕준의 망명 트렁크, 신한청년 창간호, 대한국야소교회 대표자의 호소문 등을 만나볼 수 있다.

◆가슴 뭉클해지는 태극기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전경./ 김현정 기자



상설전시실은 '대한민국의 태동 1876~1948년'(제1전시실), '대한민국의 기초확립 1948~1961년'(제2전시실), '대한민국의 성장과 발전 1961~1987년'(제3전시실), '대한민국의 선진화, 세계로의 도약 1987~현재'(제4전시실)로 꾸며졌다.

이날 박물관에서는 방학을 맞아 단체관람 온 학생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박물관 전시해설사가 '3·1독립선언서에는 어떤 내용이 담겼죠?'라고 묻자 아이들은 "자유, 평화, 독립, 공존, 평등"이라는 단어를 외쳤다. 흰 벽에는 "우리 이천만 조선인은 저마다 가슴에 칼을 품었다. 모든 인류와 시대의 양심은 정의의 군대와 인도의 방패가 돼 우리를 지켜주고 있다"는 내용이 담긴 독립선언서가 나타났다.

12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방문한 시민들이 전시물을 관람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전시실 한켠에는 손때 묻은 태극기가 옹기종기 붙어 있었다. 시민 박상원(62) 씨는 "가슴 뭉클해지는 태극기다"며 "여기에 오니까 한국인인 게 참 자랑스러워진다. 외국인들도 정말 열심히 구경하던데 영어만 잘하면 직접 설명해주고 싶을 정도다"고 말했다. 박물관에는 1886~1890년 조선의 외교 고문을 지낸 미국인 데니에게 고종이 하사한 태극기, 광복군 제3지대 2구대에서 활동한 문웅명이 동료 이정수로부터 선물 받은 태극기 등이 걸렸다.

관악구에서 온 박영석(68) 씨는 "고향이 경상도라 국민학교 때 탄광 구경한다고 문경 시멘트 공장 일대로 소풍을 갔다. 당시에는 잘 몰랐는데 오늘 여기에 와서 그 공장이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한 축이 됐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면서 "학교 다닐 때 사용했던 책걸상, 교과서 등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전시물이 많아 만족스럽다"며 미소 지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2010년부터 근현대사의 주요 자료를 수집해왔다. 올해 4월 기준으로 소장자료는 14만1628점에 달한다. 기미독립선언서, '님의 침묵' 초간본, 정부수립 이후 최초의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인 '바둑이와 철수'와 같은 희귀자료와 4·19혁명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이재영의 일기, 5·18 민주화 운동 당시 경찰관 일지 등 현대사를 조명할 수 있는 개인 기록, 새마을 운동 관련 자료 등이 전시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