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100세 시대 건강 패러다임 바뀐다] <2> 헬스케어, 어떤 미래 만드나

일본 신토미 요양원에서 한 관계자가 AI 로봇을 통한 보행 연습 시범을 보이고 있다./채신화 기자



-글로벌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의 '공룡화'…원격진료·약물배달 등 세계각국서 도입 추세

# 병원 중앙통제센터 모니터에 경보알람이 울렸다. 화면에 나타난 사진과 인적사항을 확인한 통제실 직원들이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5분여 후 주치의를 실은 병원 구급차가 소방서에서 일하는 환자를 찾아냈다. 멀쩡히 근무를 서고 있던 그는 갑자기 나타난 의료진 모습에 놀란다. 의료진은 그의 앞주머니에 넣어둔 스마트 워치를 꺼내며 말한다. "현재 심근경색이 진행중입니다. 빨리 병원으로 가야합니다." 의료진의 말에 그는 "아침부터 소화 안되는 줄 알고, 조퇴를 하려던 참이었다"고 답했다.

미국 드라마 '퓨어 지니어스'의 한 장면이다. 이 드라마 속 상황은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이미 현실화 되는 추세다.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의료기기를 통해 혈압, 혈당, 심박수 등을 실시간 체크하는 스마트(디지털) 헬스케어 덕분이다. 선진국들은 이미 다양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을 활용해 의료 혁신, 비용 감축 등에 나서고 있다.

글로벌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규모 전망 등./삼성KPMG 경제연구원 '스마트 헬스케어의 현재와 미래' 보고서



◆실시간 의료진에 정보 전달

3일 삼정KPMG 경제연구원의 '스마트 헬스케어의 현재와 미래'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은 지난 2014년 210억 달러에서 오는 2020년 1015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스마트 헬스케어란 건강관련 서비스와 의료IT가 융합된 종합의료서비스로, 고령화 시대 유망 산업으로 꼽힌다. 스마트폰 앱으로 고혈압·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관리하고, AI 로봇을 통해 재활·간병 등을 하는 게 대표적이다.

수명 연장으로 혁신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자, 글로벌 정보통신(IT), 바이오 기업들도 헬스케어 사업에 앞다퉈 뛰어들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애플워치4다. 애플워치4는 심전도 측정기능을 도입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단순히 맥박수만 체크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크라운 햅틱'에 탑재된 심박센서를 통해 미세한 심장박동의 패턴과, 돌연사를 유발하는 심박세동 징후 까지 판별한다. 만일 이상 증세가 생길 경우, 사용자가 등록한 병원과 가족들에 정보를 전달한다.

미국 바이오기업 애봇(Abbott)은 인체에 삽입하는 심박측정기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연결, 심장 상태를 손쉽게 모니터링하는 장비를 개발했다. 심박 수가 이상 증세를 보일 경우 자동으로 의료진에 연결된다.

미국에선 우울증 치료에 챗봇을 도입하는 사례도 나왔다. 최윤섭 디지털헬스케어연구소에 따르면 스탠퍼드 대학의 심리학 전문가들이 만든 우울증 치료용 챗봇인 '워봇(Woebot)'은 상담사처럼 채팅을 통해 상담을 제공하며 환자의 정신 건강을 실시간 점검한다.

인공지능 헬스케어 시장규모 등./삼성KPMG 경제연구원 '스마트 헬스케어의 현재와 미래' 보고서



◆한국은 각종 규제에 가로막혀

국내에도 스마트헬스케어 바람이 거세다. 국내 IT기업과 이동통신 업체들이 앞다퉈 스마트 의료기기 시장에 뛰어들었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출시한 스마트워치, '갤럭시워치'는 심박·가속도센서 등을 통해 스트레스와 수면패턴을 분석하는 등 스마트 헬스케어 기능을 최고 강점으로 내세웠다. 신체 신호를 감지·분석해 실시간으로 스트레스를 측정하고 '호흡 가이드'에 따라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 램(REM) 수면을 포함한 수면 단계를 분석해 수면의 질을 높이고, 운동 시간과 강도를 기록, 관리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됐다.

SK텔레콤은 지난 해 국내 1위 혈당측정기 제조사 아이센스와 손잡고 휴대용 혈당측정기 '케어센스 N IoT'를 출시했다. 케어센스 N IoT는 IoT 전용망 이용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탑재해 환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혈당 수치를 본인 휴대폰과 가족, 건강 관리 서비스 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 국내에 출시되는 웨어러블 기기들은 선진국의 헬스케어 기기들과는 큰 차이점을 가진다. 국내 출시되는 스마트 워치는 개인용 건강관리제품일 뿐 의료기기 인증을 아직 받지 못했다. 개인 건강관리를 위해 생체 신호를 저장할 수는 있어도 의료목적으로 사용할 수는 없다.

또 다른 큰 차이는 의료진과의 정보 공유다. 국내에서는 의료법 상 의사와 환자간 원격 진료를 할 수 없고, 개인정보보호법에 가로막혀 개인의 생체 데이터를 의료기관과 공유할 수 없다. 혈압, 혈당, 심박 등의 수치 등을 개인이 스마트 기기에 저장해 외래 진료시 의사에게 보여줄 수는 있어도, 실시간 이상 증세를 감지하고 관리를 받는 일은 아직 불가능하다.

A제약사 의료기기 담당 한 임원은 "스마트 의료기기들은 환자의 편의성과 삶의 질을 높이고, 돌연사와 같은 위기 상황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혁신 기술이며, 정부 입장에서도 연간 의료비로 인한 지출을 크게 줄일 수 있다"며 "각종 규제에 막혀 이러한 혜택의 기회가 계속 연기 되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산업연구원(KIET)은 스마트 헬스케어를 도입할 경우, 국가 의료비가 7000억원 이상 경감될 것으로 분석했다.

정치권에서도 의료 웨어러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 출신 김승희 자유한국당 의원은 "웨어러블로 의료기기가 어느 정도 허용됐고, 정부에서도 의료기기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정책 지원을 통해 민간 영역에서의 허용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특별취재팀

[!--{BOX}--]“이 기사는 「국민건강 증진 공공 캠페인」 (한국인터넷신문협회-한국의학연구소 주최)에 선정된 기획보도입니다.”[!--{//BOX}--]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