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가람 혁신도시는 지난 2005년 광주전남 혁신도시로 최종 확정되고 2007년부터 2015년까지 나주시 금천면, 산포면 일원에 1조4175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조성됐다.
혁신도시 조성을 통해 2014년 4000여 명이던 인구는 올해 9월 현재 3만500여 명으로 증가했고 이전기관 임직원 7000여 명이 이주해 근무하고 있다. 공공기관 이전도 내년 1월 이전 예정인 농림기술기획평가원을 제외한 15개 기관이 이전을 완료했다.
분야별 이전 공공기관 현황을 살펴보면 에너지분야에 ▲한국전력공사 ▲한전KPS ▲한전KDN ▲한국전력거래소, 농생명분야에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식품공무원교육원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정보통신분야에 ▲우정사업정보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국립전파연구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문화예술분야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콘텐츠진흥원 ▲사립학교 교직원연금공단 등이다.
◆빛가람 혁신도시 성과와 한계
혁신도시 시즌 1 사업이 진행되는 동안 지금까지 빛가람 혁신도시는 여러 성과를 냈다.
우선 산학연 클러스터 분양의 경우 84필지(41만4620㎡) 중 68필지(33만8075㎡)를 분양해 82%의 분양률을 기록했다. 기업유치는 335개사와 투자협약과 관련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이중 199개사의 투자가 실현됐다.
또한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이 반영돼 글로벌에너지신산업 클러스터 구축, 혁신도시 정주여건개선, 인공지능·에너지 융합 스마트시티 조성 등 5개 대선공약과 관련돼 사업비 약 25조가 반영됐다.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에 있어서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1154명의 지역 인재를 채용했고 2020년까지 지역인재 30% 채용 목표를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혁신도시의 성과는 지방세 징수 증가라는 효과를 낳기도 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빛가람 혁신도시 전체의 지방세 징수액은 2926억원으로 지역 경제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성과에도 아직 한계 또한 분명하다. 혁신도시의 한계를 살펴보면 우선 이전 공공기관 중심의 균형발전 거점화가 미흡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또한 공공기관·기업·지역 대학 등 혁신주체 간 협력을 통한 선순환 발전 동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특히, 가장 큰 한계는 역시 정주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의 혁신도시에 대한 정주 및 혁신환경 조성에 대한 소극적 대처로 교통, 교육, 문화체육, 쇼핑 등의 여건이 미흡한 것은 혁신도시가 해결해야 할 가장 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최근 조사에서 빛가람 혁신도시 전체 만족도가 52.4 점으로 낮게 나왔다"며 "인구유입에 따른 구도심 쇠퇴, 발전 성과의 공유 부족 등 주변지역과의 상생발전 노력 부족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빛가람 혁신도시 향후 발전 방향
이 같은 성과와 한계를 바탕으로 빛가람 혁신도시는 지속 발전을 위한 시즌 2를 준비하고 있다.
지난 8월 빛가람혁신도시의 발전방향을 설정하고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광주·전남공동(빛가람)혁신도시 발전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가 열려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구체적 전략을 제시했다.
이번 용역은 광주시와 전남도가 혁신도시 시즌2 시대를 맞아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 활성화 및 장기적 발전을 위한 분야별 로드맵 구축을 위해 공동으로 수립했으며, 광주전남연구원에서 수행했다.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올해 처음으로 수립된 혁신도시발전계획은 앞으로 5년마다 수립하게 된다.
혁신도시가 지역 생태계 혁신주체로서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특화산업, 정주여건 등 분야별 발전전략을 망라하는 중장기(2018~2022년) 종합계획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번 용역은 ▲미래혁신산업으로 성장 주도 ▲특화발전으로 상생발전 거점화 ▲쾌적하고 안전한 정주환경 조성 ▲뿌리산업과 첨단산업의 융복합스마트시티 구축 ▲미래형 창의인재 양성 등 약 4조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5대 분야별 주요추진전략과 세부 실천과제를 제시하는 내용으로 추진됐다.
이를 통해 인구 5만 명 유입과 기업 1000곳 유치, 일자리 2만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계획 수립으로 중앙, 지방정부 간, 이전공공기관 간 상생발전을 위한 기반 구축, 에너지밸리 등 혁신도시 특화발전 성과 확산을 통한 지역 경쟁력 강화, 성장 모멘텀 확보, 정주여건 개선 등이 기대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민선7기 출범과 더불어 광주·전남 주요 공동현안들에 대한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이번 용역결과가 분야별 로드맵을 수립해 일자리 창출 등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의 미래를 준비하는 종합발전계획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남도와 광주시, 나주시는 빛가람 혁신도시 현안사업 해결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먼저 혁신도시 광주전남 공동발전기금 조성이다. 전남도는 공공기관 이전이 마무리 되고 지방세 징수가 본격화됨에 따라 성과공유를 위한 공동발전기금 조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이전기관 나주시 납부 지방세 일부 또는 전부의 도 전입금, 시도 출연금을 재원으로 활용해 정주여건 개선과 혁신도시 활성화 사업, 주변지역 생상발전사업 지원 등에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빛가람 혁신도시 랜드마크 테마도시 조성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윤영주 전남도 혁신도시지원단장은 "빛가람 혁신도시 기반조성과 공공기관 이전이 거의 마무리됨에 따라 혁신도시는 이전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기업과 일자리가 모이는 지역의 성장거점 '글로벌 에너지 밸리'로 본격 육성될 것"이라며 "혁신도시 시즌 2를 통해 추진될 사업들이 차질없이 진행될 경우 빛가람 혁신도시는 국가균형발전 신 지역 성장 거점지역인 동시에 글로벌 에너지
밸로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