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뱅크&뱅커 스토리2] ④·유리벽에 갇힌 여성 은행원

채용성차별 철폐 공동행동이 지난 4월 24일 KEB하나은행 본사 앞에서 채용성차별 기업에 대한 항의와 채용성차별 철폐 방안 마련 요구를 위한 피켓 붙이기를 진행했다./ 전국여성노동조합 홈페이지.



#. 은행원 A씨는 대인기피증에 시달리다 퇴사를 결정했다. 창구에서 고객을 응대하면서 잦은 고함과 폭언에 시달리면서 정신적인 피해가 컸다. 은행원 입사 초반에는 업무 스트레스를 대부분 명품 쇼핑과 여행으로 풀었다고 했다. 새로운 자극을 받기도 어려웠다. 다양한 직무로 이동해 경험을 쌓고 싶었지만 은행 내에서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고 했다.

#. 5년차 과장인 은행원 B씨는 남자 동기들에 비해 4년이나 늦게 과장을 달았다. 2년동안 육아휴직을 다녀왔는데 동기들은 여러보직을 순환하며 커리어를 쌓고 있었다. 가혹한 유리벽도 여성 은행원에겐 큰 걸림돌로 작용했다. 그는 정규직 공채 출신이지만 해외주재원, 외환딜러 등 다양한 보직을 넘보기엔 벽이 너무 높았다고 했다.

은행은 남성 중심의 문화가 뿌리 깊은 조직이다. 고정관념이 여전한 업무배분이 여성 행원의 경력개발을 가로막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여성들은 대부분 금융서비스인 수신 업무에 상당수 포진돼 있다. 그러다보니 감정근로 부문의 대부분을 여성이 책임지고, 핵심업무에선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 또 높은 역량을 갖췄지만 유리천장과 콘크리트 천장이라는 고질적인 관습에 갇혀 승진통로가 좁기만 하다.

◆ 은행 고객만족(CS) 부서는 여성의 몫?

"여성 은행원이 제일 많이 겪는 고충은 고객 응대입니다. 보통 수신창구에는 여직원이 많은데 불만 있는 고객은 항상 우리에게 소리를 지르고 욕설이나 폭력적인 행동도 합니다. 지금도 서비스직에 근무 중인데 여기 오는 고객은 그렇지 않아요. 은행이라는 곳이 다른 곳에 비해 서비스 기대치가 많이 높은 편이어서 그런게 아닐까 싶어요."

모 은행에서 텔러로 근무하다 지난해 퇴사한 A씨의 말이다. 이 처럼 여성은행원은 주로 서비스직에 종사하며 감정근로에 시달리고 있다.

은행에서 고객을 맞이하는 수신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2차 정규직의 여성비율은 90%에 육박한다. 실제로 2017년 9월 기준 5대 시중은행에서 '2차 정규직' 직군의 여성 비율은 신한은행이 99.3%로 가장 높았고, KEB하나은행이 98.4%, KB국민은행이 95.4%, 우리은행이 94.6%, IBK기업은행이 87.6%였다.

전국금융노조 최우미 여성위원장은 "성차별에 따른 업무분리는 젊고, 예쁜 여자가 상담서비스를 하는 것이 낫다는 전통적인 관념에서 출발한다. 고객만족(CS) 차원에서 모 은행은 여행원에게 머리 염색 금지 등 많은 규제를 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또 "은행내부의 과도한 CS평가도 여성 은행원을 감정근로에 시달리게 한다. 실제로 CS평가나 고객민원이 은행원의 실적평가에 큰 비율을 차지해 여성 은행원이 속 써는 줄 모르고 서비스정신으로 둔갑하게 되는 것"이라고 했다.

◆ "동기인데…넌 차장, 난 과장"

은행권 여성 채용은 전체 채용자의 30%에 수준이다. 게다가 육아휴직 이후 퇴사를 결정하는 여성 은행원이 늘고 있다.

최우미 여성위원장은 "육아휴직을 다녀온 이후 업무 적응에 실패해서 퇴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여성 퇴직자 가운데 75%는 육아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가장 큰 문제는 육아휴직을 다녀온 여직원의 승진속도가 남성 행원을 따라잡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육아휴직 기간동안 업무 경험이나 업무지속성이 높아져 남성 행원이 진급속도가 빨리질 수밖에 없다는 것.

최 위원장은 "은행에서 남성 행원이 육아휴가를 쓰는 비율은 한 자릿수 안팎이다. 육아휴직은 여성의 몫이라는 한국사회의 문화 때문이다. 또 남성 행원이 육아휴직을 쓰면 승진길에 타격을 입는다는 불문율이 있다"고 했다.

이 같은 악순환은 여성이 출산·육아로 경력단절에 노출돼 있다는 방증이다.

여성 은행원은 경력개발 차원에서도 손해를 입고 있다.

최우미 위원장은 "은행의 해외주재원이나 핵심부서는 거의 99% 남성이다. 1~2명 정도 구색맞춰서 여성 은행원을 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성 은행원이 관리자급이 될 확률도 희박하다. 지점장이나 임원이 되기 위해선 다양한 은행 업무를 경험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것.

실제로 하나은행을 제외한 4대 은행 가운데 지난 3년 간(2014~2017년) 차장·과장급 승진자 중 여성 비율은 3년 합산 평균 46.7%로 많은 여성이 책임자급으로 승진하고 있었지만 같은 기간 부지점장으로 승진한 사람 가운데 여성은 27.3%, 지점장으로 승진한 여성은 지점장 승진자의 8.2%에 불과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