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백년만에 드러난 부여 능산리 왕릉급 무덤 4기…건물지 3기도 확인

백년만에 드러난 부여 능산리 왕릉급 무덤 4기…건물지 3기도 확인

유물은 도굴과 일제때 조사로 거의 없어…이번에 용문양 금제장식 등 소량 발굴

출처:문화재청



일제때 조사된 부여 능산리 고분군 무덤들 가운데 백제 사비기 왕릉급 무덤 4기의 전모가 100년만에 드러났다. 또 이곳에서 삼국시대 고분군에서 확인된 바 없는 고분군 내 건물 존재도 확인됐다.

문화재청과 부여군은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사업'으로 추진한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산15-1 일원 부여 능산리 고분군(사적 제14호)의 서고분군에 대한 발굴조사를 완료, 이 같은 성과를 거뒀다고 4일 밝혔다.

이번 발굴조사는 2016년 6월부터 2018년 6월까지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펼친 능산리 고분군 내 서고분군 4기에 대한 것이다. 1917년 일제강점기 이후 100여 년 만에 펼친 조사다. 이번 발굴조사로 백제 사비기 왕릉급 무덤의 입지와 조성과정, 초석건물지와 주거지 등에 대한 자료를 확보했으며, 특히 고분군 내 건물의 존재는 삼국 시대 고분군에서 아직 확인된 바 없는 새로운 것으로 주목된다.

서고분군은 1917년 조사 후 '능산리 왕릉군의 서쪽 소계곡 너머에 있는 능선에서 무덤 4기를 확인하고 그 중 2기를 발굴하였다'라는 간단한 기록과 4기의 고분 위치를 표시한 간략한 지형도만 남아 있었다. 1917년 발굴조사 결과보고서인 '대정륙년도고적조사보고(大正六年度古蹟調査報告'(1920)에도 '능산리 왕릉군 서쪽에 왕릉에 버금가는 고분 4기가 있다'는 기록이 있는 정도였다.

출처:문화재청



출처:문화재청



이번 발굴조사로 밝혀진 서고분군은 능선을 따라 위아래로 2기씩 배치돼 있다. 중앙 능선에 2·3호분이, 동편 능선에 1·4호분이 있다. 4기 모두 지하 깊숙이 조성된 굴식돌방무덤으로 확인됐다. 무덤의 평면은 현실(玄室, 시신이 안치된 방) 중앙에 연도(羨道, 입구에서 유골을 안치한 방까지 이르는 길), 묘도(墓道, 입구에서부터 시체를 두는 방까지 이르는 길)가 차례로 달려 '갑(甲)'자 모양이며, 잘 다듬은 판석(板石)으로 만들었다. 무덤의 크기는 봉분 주위를 둘러싼 둘레돌(護石)로 추정해보면 2·3호분은 지름 20m 내외, 1·4호분은 지름 15m 내외이다. 2·3호분과 1·4호분은 석실의 규모, 석재의 가공 정도, 입지 등에서 차이를 보여 위계 차를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물은 도굴과 일제강점기 조사로 인해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다만, 2호분의 돌방 바깥의 도굴구덩이에서 도금된 금송제(金松製) 목관 조각과 금동제 관못, 금제장식 등이 나왔다. 3호분과 4호분에서는 목관에 사용된 금동제를 포함한 관고리와 관못이 확인됐다. 특히 2호분에서 출토된 금제 장식은 길이 2.3㎝정도 되고, 전체적인 형태는 끝이 뾰족한 오각형을 띠고 있어 부장품의 끝 부분으로 추정된다. 유물에는 용이 몸을 틀고 있는 형상의 문양이 장식되어 있어 특이하다.

더불어 서고분군 일대를 전면 조사하는 과정에서 고분군과 직접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건물지가 확인됐다. 무덤이 조영되지 않은 서편 능선에서 4×2칸(추정)의 초석건물지 1기, 동편 능선의 1호분과 4호분 사이에서 수혈주거지 2기가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이 건물들은 위치나 구조로 보아 무덤 조성과 관련된 임시 거처나 제사 관련 시설일 가능성이 있어서 당시 상장례 연구에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부여 능산리 고분군은 능산리산(陵山里山)의 남사면에 자리하고 있으며, 골짜기를 사이에 두고 3개의 군집을 이루고 있다. 위치에 따라 각각 중앙고분군(왕릉군), 동고분군, 서고분군으로 불리며 지난 일제강점기에 세 차례에 걸쳐 조사가 진행되어 15기의 무덤을 확인했다. 이후 중앙고분군의 정비복원 과정(1965~1966년)에서 2기의 무덤이 추가로 확인했으며, 현재까지 모두 17기가 남아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