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서울시민 68% "공동체 주택이 뭐에요?"

'서울시민은 공동체주택 어떻게 생각하나?'/서울연구원



서울시에서 주거난의 대안으로 제시했던 '공동체 주택'이 정작 시민들에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치솟은 부동산 등으로 갈수록 '내 집 마련'이 쉽지 않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2012년 전세로 거주하던 2203가구 중 26.3%는 3년 후 전세에서 월세나 반전세로 전락했다고 한다. 집 구하기도 힘들지만 현상 유지도 어렵다는 말이다.

이 가운데 서울시에서는 주거난의 대안으로 '공동체 주택'을 제시했다.

공동체 주택은 기존 아파트 등 획일화된 모습의 주거가 아닌 공동체가 살아있는 새로운 주거유형으로, 청년·예술가 등이 공동체 구성원을 모아 토지를 구입하고 건물 준공 및 입주하는 형태와 이미 형성된 공동체 주택에 새로운 구성원으로 들어가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시는 이 과정에서 토지를 빌려주거나 건설 예산·부동산 등 전문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서울시 공동체주택은 지난해 기준 총 3971호가 공급돼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다만 늘어나는 숫자에도 많은 시민들에 공동체주택이 제대로 인지되지 못하고 있다.

서울연구원이 서울 1년 이상 거주 만 20세 이상 시민 1000명을 대상 개별면접 방식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서울시민의 68.2%는 공동체 주택에 대해 '전혀 들어보적 없다'고 응답했다. 또 42.2%는 '가급적 거주안함', '절대거주안함' 등 공동체 주택 거주에 부정적인 의사를 보였다.

이에 서울시는 "젊은 세대가 많은 마포구나 이미 공동체 주택이 활성화된 성북구 등의 자치구에서 조사됐다면 결과가 달랐을 것"이라면서 "조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전체 25개 자치구에 각각 배분해 조사가 이뤄져 실제로 사업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1300호의 공동체 주택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는 서울시는 사업 활성화를 위해 홈페이지 개설, 공동체 컨설턴트 파견 등 여러조치들을 준비하고 있다.

우선 시는 오는 7월에 현재 시 홈페이지 내부에 있는 공동체 주택 페이지를 별도의 홈페이지로 독립시킨다. 홈페이지는 커뮤니티의 장을 형성해 공동체 모집과 토지 매매·임대가 이뤄져 공동체 주택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한다.

더해 공동체 주택의 토지 매입, 건축 과정 중 발생하는 대출 이자 등 비용 일부를 시에서 지원하는 등의 조치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서울의 공동체 주택은 박원순 서울시장이 마포구 서교동에 위치한 '소행주택(소통이 행복한 주택)'의 주민들이 주거부터 공동육아에 이르기까지 공동체를 이뤄 살고 있는 모습을 통해 서울의 주거난을 해결할 모델을 찾은 것에서 시작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