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청년취업, 대학이 뛴다] (4) 교수·학생이 함께 뛰어 인구론 넘는다 '세종대 나침반교육'

[청년취업, 대학이 뛴다] (4) 교수·학생이 함께 뛰어 인구론 넘는다 '세종대 나침반교육'

세종대 캠퍼스 전경 /세종대



"변화된 현실에 맞는 교육을 하려면 교수들부터 먼저 배워야죠. 저도 90년대초 미국 유학 중에 잠시 배웠던 컴퓨터 언어를 2년 전 다시 배웠습니다. 이공계 교수분들에게 청해 딥러닝 세미나에도 참가해서 이제는 딥러닝이 뭔지는 압니다."

세종대 '아시아태평양 미래개척 창의인재 양성단'(이하 창의인재양성단)의 단장인 곽은주 교수(국제학부)와 세종대의 나침반 교육에 대한 인터뷰를 하던 중 나온 말이다. 곽 교수는 영어영문을 전공했지만,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이 현실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외국어 하나만 잘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첨단 IT 기술에 담을 인문 콘텐츠를 만들어낼 줄 아는 인재, 시대가 변하는 방향에 맞춰 인문지식을 접목할 수 있는 인재를 사회와 기업이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인재를 키우기 위해서는 가르치는 교수들부터 변해야 했다. 생소한 IT 기술을 새로 배우게 된 이유다.

세종대는 지난해 창의인재양성단이 마련한 나침반 교육모델로 정부의 CK(University for Creative Korea) 사업에 선정됐다. CK 사업은 대학별 강점 분야를 특성화해 대학이 경쟁력을 갖도록 학부를 지원하는 대표적인 정부사업이다. 여기에 선정된 세종대의 나침반 교육모델은 기존의 외국어 교육과는 패러다임을 달리하고 있다. 과거의 외국어 교육이 영어나 일어, 중국어 등 하나의 외국어에 대한 전문가를 키우는 게 목적이었다면, 나침반 교육모델은 외국어실력을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접목해 현장에서 필요한 인재를 키워내는 교육이다. 세종대가 생각하는 인문학 인재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3가지다.

우선 4차산업혁명시대 기술들이 요구하는 인문학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인재다. 이에 따라 세종대는 국제학부 내에 '미래융합' 트랙을 개설했다. 이 트랙에서 학생들은 빅데이터와 영어의 어휘를 접목하고, 기계번역의 변화도 들여다본다. 가상현실(VR)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이에 접목할 수 있는 인문학 콘텐츠도 만들어본다. 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의 창의성을 극대화해서 만든 콘텐츠가 VR의 성패를 가를 것이라는 생각에서다. 수업은 문제해결중심(PBL)의 프로젝트형이다. 단순한 지식이 필요한 부분은 학생들이 미리 공부해 오게 한다.

세종대의 창의융합 수업 현장 /세종대



다른 두 가지는 통상 현장에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와 다양한 외국어를 구사해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개척해 내는 인재다. 이를 위해 국제학부 내에는 각각 '통상개척' 트랙과 '아태문화' 트랙이 개설돼 있다. 여기에는 '트랙 플러스'라는 개념이 바탕에 깔려있다. 영어 일변도의 시대가 지나간 만큼 하나의 외국어에 뛰어난 인재가 더 이상 취업현장에서 유리하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세종대는 하나의 외국어에 능통하는 것에 더해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준의 추가 외국어를 공부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외국어를 공부하기에 편리하게 학사규정을 바꾼 뒤, 다시 CK 사업에 지원하면서 전공간 담을 더욱 허물었다.

교수사회의 특성상 전공간 담을 허무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복수학위라는 방법으로 여러 전공을 병행할 수는 있지만 이 제도는 사실 학생에게 완전히 다른 두 개의 전공을 혼자 알아서 합쳐보라고 미루는 것이나 다름없다. 융합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결국 교수들이 나설 수밖에 없다.

곽 교수는 "제 전공인 영어영문만 해도 다른 과 학생들이 들을 수 있게 수업을 준비하는 게 쉽지 않은 일이다. 솔직히 늘 가르치던 것을 가르치는 게 교수 입장에서는 속 편한 일"이라고 했다. 하지만 인구론(인문계 졸업생 90%는 논다는 신조어)으로 회자되는 인문계 대학생들의 위기에 안주할 수 없었다고 했다. 곽 교수는 "저희 교수들이야 이렇게 살다가도 된다지만 우리 제자들의 미래는 절박하기만 하다"며 "교수가 불편한 게 문제가 아니다. 학생들의 진로가 우선이라는 데 저나 동료교수들의 인식이 일치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제자들의 미래를 위해 우리가 공부를 해서 가르쳐야 한다면 기꺼이 배우겠다. 기업과 산학협력을 해야 한다면 기꺼이 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대의 나침반 교육모델은 이제 시도 중이라 아직 성과를 확인하기엔 이른 상태다. 하지만 곽 교수는 "우리 제자들은 사회가 어떻게 변하고 있고, 이렇게 변하는 사회에 인문학을 어떻게 접목해야 하는 지에 대한 분명한 현실의식을 가지고 사회로 나갈 것"이라며 "사회 현실과 트렌드는 물론이고 자신이 일하게 될 기업 현장에 대한 뛰어난 적응력을 갖춘 인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