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철강/중공업

정준양 포스코 정조준 권오준까지 침몰위기

정준양 포스코 정조준 권오준까지 침몰위기

정 전 회장 출국금지···MB고위인사들 유착 의혹도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위기에 처했다.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사건으로 시작된 검찰 수사가 포스코그룹 계열사로 확대되고 있다. 포스코의 철강제품을 가공·판매하는 계열사인 포스코P&S의 탈세 의혹에 대한 수사도 진행 중이다. 전임 정준양 회장과 권오준 회장 모두 연루됐다는 의혹이 나온다. 사내 감사를 통해 사전에 비리 사실을 알고도 자리에 연연해 은폐하려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뒤를 봐준 사람이 MB정권의 핵심 인사라는 의혹 때문에 사건은 일파만파다. 검찰의 부패 척결 의지의 첫 시험대는 고구마 줄기처럼 계열사로 수사망이 넓어지면서 급물살을 타고 있다.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이 당시 포스코건설의 해외 현장 임직원들이 비자금을 조성하게 한 혐의다. 포스코건설 일부 임원은 2009~2012년 베트남 건설 사업을 벌일 당시 현지 하도급 업체와 계약서를 작성하면서 하도급 대금을 부풀리는 방법으로 107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의 드라마틱한 압수수색은 포스코가 증거 은닉을 못하게 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보인다. 권 회장이 정기주주총회를 열었던 13일 서울중앙지검 특수 2부(부장검사 조상준)는 검사 5명을 포함한 40여명의 수사 인력을 급파해 포스코건설 본사와 임직원 자택을 압수수색하는 등 기지를 발휘했다. 재빠른 수사는 컴퓨터와 하드디스크, 회계자료, 내부 서류 등을 모두 확보하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에 따르면 압수물 분석이 마무리되는 대로 임직원들을 차례로 소환해 정확한 리베이트 규모와 비자금 액수, 사용처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문제는 비자금의 '사용처'다. 비자금이 포스코건설 측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개인적 횡령'이 아니라 정치권에 흘러들어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15일 검찰과 재계에 따르면 정 전 회장 및 포스코건설의 전·현직 경영진 대다수가 출국 금지됐다. 검찰의 포스코건설 수사가 전방위로 확대되는 신호로 해석된다.

검찰은 정 전 회장 시절 포스코가 자회사 수를 크게 늘린 점에 주목하고 있다. 검찰은 베트남 건설 사업 과정에서 조성된 100억원대의 비자금 의혹이 일차적인 수사 대상이라면서도, 비자금만 보는 것은 아니라며 수사 확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이명박 정부 시절 포스코 회장에 임명된 정 전 회장은 관련 업체들을 공격적으로 계열사에 편입시켰다. 일부 업체들은 시가보다 비싼 금액에 인수해 특혜를 줬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 전 회장이 인수한 기업 가운데 상당수는 경영상태가 부실한 상태였다. 검찰 관계자는 "정 전 회장 재임 당시 생겨난 포스코 계열사 상당수가 현재 자본잠식 상태"라며 부실기업 인수 과정 전반에 대한 수사가 이뤄질 것임을 시사했다.

검찰은 현재 압수한 자료를 분석하는 한편 핵심 경영진과 소환 일정을 조율하고 있는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포스코 경영진에 대한 소환 조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계열사들의 인수합병 과정에서 특혜 또는 부실 인수 등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당시 정권 실세로 분류됐던 정 전 회장과 이명박 정부 실세들의 정관계 유착 여부도 수사 대상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정 전 회장은 2007년 포스코 사장이 된 뒤 이듬해인 2008년 11월 포스코건설의 사장으로 자리를 옮겼으나 불과 3개월 만인 2009년 2월 돌연 포스코 회장으로 선임됐다. 당시 정 전 회장은 이명박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의원과 박영준 지식경제부 차관의 힘으로 포스코 회장이 됐다는 낙하산 구설에 시달렸다.

◆정준양, '쇼핑 수준' 5조 M&A ···부실 투성이 알고했나 모르고 했나?

2007년 20여개였던 포스코 계열사는 정 전 회장 부임 뒤 70여개로 늘었다. 정 전 회장 재임 기간 늘어난 계열사 41곳 중 18곳은 자본잠식됐다.

성진지오텍은 정 전 회장이 인수한 대표적 부실기업이다. 포스코는 2010년 플랜트 설비 업체인 성진지오텍을 인수해 2013년 자회사인 포스코플랜텍과 합병했다. 인수 당시 성진지오텍은 2000억원 가까운 대규모 손실을 기록하는 등 실적이 부진한 상태였다. 그러나 포스코는 시가보다 비싸게 성진지오텍을 인수하는 등 비정상적 인수를 감행했다. 검찰은 포스코가 성진지오텍을 인수한 과정을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0년 대우인터내셔널 인수 때는 경쟁사보다 2000억원 이상 많은 3조4000억원을 써내 고가 인수 논란이 나오기도 했다. 당시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포스코의 재무구조가 나빠질 것으로 보고 신용등급을 한 단계 내린 바 있다.

검찰은 포스코P&S 탈세의혹에 대해서도 국세청의 고발을 받아 수사 중이다. 포스코P&S는 포스코 생산한 철강제품을 가공해 판매하는 회사다. 국세청은 2013년 포스코P&S에 대해 세무조사를 한 뒤 탈세의혹이 있다며 검찰에 고발했다. 검찰은 지난해 4월 포스코P&S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하는 등 수사를 벌이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자체 감사를 통해 해외 현장 임원들의 비자금 형성과 횡령 정황을 포착했다.

포스코건설 감사실은 이 같은 감사 결과를 권오준 포스코 회장과 황태현 사장에게 보고했다. 황 사장은 지난해 8월 문제의 두 임원을 인사조치하는 선에서 사건을 일단락 지었다. 그러나 이들은 지난 1월 정기인사에서 본사 간부로 재발령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주인 없이 공기업처럼 운영되는 포스코는 인사도 물려준다. 정 전 회장이 퇴임하던 시기에 있던 임원 중 대다수가 권 회장 체제에 그대로 편승했다. 특히 현재 등기임원인 12명 중 장인환, 이창희, James B.Bemowski, 신재철, 이명우 등 5명은 정 전 회장 시절부터 자리를 지켜왔다.

현재 포스코는 사외이사로 선우영 전 서울동부지검장을 선임한 상태다. 현직에서 제이유 사건 등을 수사 지휘한 선 전 검사장은 지난해 3월 주총에서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됐다. 이 또한 공교롭게도 시점이 수사를 받고 있어 방패막이로 섰다는 오해를 받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