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펀드 1000兆 시대, '찍먹' 되지 않으려면...역성장 기조 보여

/유토이미지

국내 펀드시장이 순자산총액, 설정액 1000조 시대를 맞이한 가운데, 지난달에는 역성장 기조를 보이면서 펀드시장의 재도약을 위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이 당부되고 있다. 대규모 자금 유입이라는 이벤트적 요인이 발생했던 만큼 설정액 1000조 붕괴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신영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이달 18일 기준 국내 펀드 설정액은 1003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순자산총액의 경우에는 지난 1월 5일 1000조원을 돌파한 뒤 유지되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지난 3월에는 역성장 기조를 보이기도 했다. 오광영 신영증권 연구원은 "국내 펀드시장 전체 설정액은 3월 한 달 동안 부동산형, 재간접형, 특별자산형 등의 대부분의 유형이 증가를 보였으나 머니마켓펀드(MMF)에서 대규모 자금이 유출된 영향으로 총 2조550억원이 감소해 전월 말 대비 0.2% 역성장한 약 979조9000억원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MMF 설정액은 3월 들어 분기 말 자금 수요와 법인 자금 수요 등으로 직전 달 대비 12조4000억원 줄어든 188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펀드시장에서는 사모펀드의 성장세가 특히 두드러진다. 2016년 9월 처음으로 공모펀드 설정액을 추월한 사모펀드는 지난 18일 기준 전체 설정액 중 60.0%(608조2000억원)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공모펀드가 39.4%(395조2000억원)인 것과 대비해 21.2% 높은 수준이다. 10년 전인 2014년까지만 해도 공모펀드가 198조원, 사모펀드가 176조원으로 공모펀드가 소폭 앞섰지만 점점 격차가 벌어진 모습이다.

 

오 연구원은 "국내 펀드시장이 설정액 1000조원대를 돌파한 것은 최근 MMF와 채권형 등으로 대규모 자금 유입이 이어지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언제든지 1000조가 다시 붕괴될 수 도 있다"며 "국내 펀드시장이 재도약을 위해서는 정부 당국과 시장 참여자, 투자자 모두의 국내 펀드시장에 대한 관심과 도전, 지원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신영증권

사모펀드는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롭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투자전략으로 사용된다. 다만 라임·옵티머스 등 사모펀드 원금 손실 사태가 발생하면서 사모펀드의 문턱도 높아졌다. 전문투자자가 아닌 일반투자자가 사모펀드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최소 3억원의 현금을 보유해야한다. 사실상 개미(개인 투자자)들에게는 닫혀 있는 문으로 보여 펀드시장 내 존재감이 낮아지는 추세다.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9월 당시 개인 투자자의 비중은 국내 펀드시장에서 57.5%를 차지하며 판매 잔고는 192조3000억원에 달했다. 하지만 올해 2월말 기준으로는 펀드시장 성장세와 반대로 개인 투자자의 판매 잔고는 오히려 80조6000억원으로 감소했다. 국내 펀드시장에서 개인 투자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9.6%로 10%를 밑도는 상황이다.

 

다만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사모펀드가 펀드시장의 성장세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펀드 산업 자체의 성장이 더 큰 의미를 가진다"며 "일시적인 하방 압력이 있을 수는 있지만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자산관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펀드 산업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그는 "공모펀드의 복잡한 세제를 개선하고 마이너스 수익에도 소득세가 부과되는 사례 등을 살펴 정비해 줄 필요성은 있다"고 제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