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국회에서 멈춰선 토큰증권 법제화...시장개설 지연에 애타는 증권사

금융.비금융 짝지어 컨소시엄 구성 마쳐
하나, 유진 등 MTS까지 구축

/유토이미지

증권사들이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토큰증권(ST) 플랫폼 구축에 나선 가운데, 토큰증권발행(STO) 법제화의 진척은 불투명해지면서 주요 주체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유진투자증권, 하나증권 등 일부 증권사들이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내 토큰증권 관련 항목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유진투자증권은 이미 실제 구현 테스트까지 마친 상태로, 토큰증권의 법제화만 이뤄진다면 바로 MTS를 통해 투자가 가능하다. 하나증권 역시 MTS 내 조각투자 항목을 신설하기 위해 준비 중에 있다. 올해 초 디지털자산실을 신설하고, STO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일부 증권사들은 토큰증권 금융·비금융을 모아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사업 준비에 박차를 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넥스트 파이낸스 이니셔티브, 토큰증권 워킹그룹, 한국투자증권은 한국투자 ST프렌즈, KB증권의 ST 오너스, NH투자증권 STO 비전그룹, 신한투자증권의 STO 얼라이언스, 삼성증권의 파이낸스 3.0 파트너스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신한투자증권과 SK증권, 블록체인글로벌은 '프로젝트 펄스'를 출범시키면서 함께 손을 잡기도 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관련 법제화는 예상보다 느리게 진행되고 있지만 관련 법안이 통과됐을 때 선제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미리 준비하고 있다"며 "시장 내 움직임이 있는 만큼 토큰증권 사업 자체는 영향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관련 법제화는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증권사들이 STO 관련 서비스를 개발하고, 인력을 늘리는 과정이 무의미한 투자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금융당국은 당초 올해 안에 마무리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국회에서는 정지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말 발의된 '자본시장법 개정안'과 '전자증권법 개정안' 처리도 미뤄지면서 STO 활성화가 늦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4월 총선을 앞둔 만큼 법안 처리는 더욱 지연될 전망이다.

 

심수빈 키움증권 연구원은 "토큰증권 관련 개정안이 계속 국회 계류 중이어서 참여준비 주요 주체들의 불안감이 다소 커진 상황"이라며 "정치권의 관심은 국회에 오래 계류돼 있던 관련 법안에 대한 답답함을 해소하고, 토큰증권 관련 법개정 추진 및 시장 개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토큰증권 시장 규모는 2026년 119조, 2028년 233조원, 2030년 367조원으로 지속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는 34조원에 그쳤다.

 

우도형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증권사들은 안정적으로 이익을 성장시킬 새로운 먹거리가 필수적인 상황인데, STO 시장은 증권사에 브로커리지 수수료뿐 아니라 투자은행, 신탁, 운용, 자산관리 등에서 성장할 기회를 만들어 줄 것"이라며 "토큰증권 시장의 성장은 장기적으로 수익 다변화의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