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시세

서울 아파트값 27주째 내림세...노도강 가장 많이 떨어져

매매수급지수 70선 붕괴...거래절벽 현상 심화
'창동 주공 3단지', 5개월 만에 1억7000만원 떨어져
“시장 침체 해결위해 정부의 추가 규제 완화 대책 필요”

서울시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김대환 기자

집값 하락세와 금리 인상 기조가 겹치면서 서울 아파트값이 27주 연속 내림세를 기록했다. 노원·도봉·강북 등 외곽 지역의 하락률이 1%대에 육박하는 가운데 금리 인상 여파로 매수세가 자취를 감추며 매매수급지수는 70선이 붕괴됐다.

 

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넷째 주(28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56% 하락했다. 하락폭은 전주(-0.52%)보다 0.04%포인트 확대됐다. 지난 5월 마지막 주에 하락(-0.01%) 한 뒤 27주째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많이 떨어진 지역은 도봉구(-0.83%→-0.99%)로 방학·창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폭이 커졌다. 노원구(-0.88%→-0.95%)는 하계·중계동 구축, 강북구(-0.74%→-0.87%)는 미아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폭이 확대됐다.

 

서북권에서는 은평구(-0.61%→-0.70%)가 불광·진관·응암동 중심으로 하락폭이 확대됐다. 서남권의 경우 영등포구(-0.54%→-0.58%)는 신길·여의도동, 강서구(-0.47%→-0.51%)는 가양·등촌동 구축, 금천구(0.54%→-0.61%)는 시흥·독산동 주요 단지 위주 하락폭이 커졌다.

 

동남권에서는 하락폭이 줄었다. 강동구(-0.55%→-0.54%)는 암사·강일·고덕동 주요 단지 위주로 하락폭이 축소됐다. 잠실동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심화됐던 송파구(-0.57%→-0.48%)도 하락폭이 둔화됐다.

 

매매가격지수 변동률./한국부동산원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6.7로 전주(67.9)보다 1.2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5월 첫째 주(2일 기준) 91.1을 기록한 이후 30주째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매매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집을 팔려는 사람이, 200에 가까울수록 사려는 사람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매수심리가 극도로 위축되면서 서울 지역의 아파트 매매량은 줄어들고 미분양 주택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0월 주택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월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900건에 불과해 전년 동월(2839건)에 비하면 68.3%가 줄었다. 서울의 미분양 주택은 866가구로 전월 대비 20.4%(147가구) 증가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도봉구 창동에 위치한 '주공 3단지'는 지난달 전용면적 49㎡가 5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6월 거래가격(7억2000만원) 대비 1억7000만원 하락했다.

 

노원구 중계동에 위치한 '주공 2단지'의 경우 지난달 전용면적 44㎡가 3억9000만원에 손바뀜됐다. 지난 5월 거래가격(5억원)보다 1억1000만원 떨어졌다.

 

은평구 불광동에 위치한 '북한산현대홈타운'은 지난 7월 전용면적 84㎡가 10억원에 거래됐지만, 3개월 만에 거래가격(7억9000만원)이 2억1000만원 떨어졌다.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한 '주공 5단지'는 지난 10월 전용면적 76㎡가 22억7850만원에 거래되면서 주인이 바뀌었다. 지난 6월 거래가격인 27억5500만원과 비교하면 하락률은 17.3%(4억7650만원)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 침체를 해결하기 위해선 정부의 추가 규제 완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가 이전보다 과감한 수준의 규제 완화 대책을 통해 부동산 시장의 경착륙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연착륙 유도를 고민할 때다"라며 "소득이 낮은 계층은 대출을 받는 데 한계가 있다. 최초 주택 구입자 등 일정 기준에 부합한 주택 수요자에 대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