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오프라인 SME 디지털 확장 및 사업 스케일업에 기여

전 반기 대비 온라인·오프라인 매출 성장률, 온라인·오프라인 사업 병행 후 매출 변화. /네이버

지난해 자영업자 생존에 큰 타격을 가져온 코로나19의 맹위 속에서, 네이버 스마트스토어가 오프라인에 거점을 둔 SME(중소상공인) 사업 디지털 확장을 이끌고, 한 단계 높은 성장에 기여한 것이 확인됐다.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 최보름 교수 연구팀은 올해로 네번째 발간하는 'D-커머스 리포트 2021'에서 네이버의 온라인 커머스 서비스와 '프로젝트 꽃'을 통한 SME 지원 프로그램의 디지털 확장 효과를 분석했다.

 

올해는 스마트스토어 및 쇼핑라이브 등 기술 플랫폼을 통한 온·오프라인 SME의 성장과 경제적 효용 가치를 연구하고, 오프라인 사업자를 위한 스마트플레이스의 경제적 효용가치를 평가하는 'D-플레이스 리포트'도 첫 발간을 앞두고 있다.

 

네이버는 47만 스마트스토어를 비롯해 전국 146개 전통 시장을 담아낸 동네시장 장보기 서비스, 산지직송과 지역명물, 가구공방, 수제화거리 등 약 3만 여 개의 오프라인 매장이 입점한 쇼핑윈도 등을 통해 오프라인 SME 사업의 디지털 확장을 견인하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을 갖고 있는 스마트스토어 판매자들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75.5%가 온·오프라인 사업 병행 후 매출 성장을 경험했고, 그 중 매출이 50% 이상 급증한 판매자도 16%에 달했다. 특히 팬데믹이 극심했던 2020년 상반기 오프라인 매출은 평균 5% 하락한 반면, 같은 기간 온라인 매출 성장률은 평균 15%를 상회하며 스마트스토어를 통한 온라인 확장이 오프라인 매출 하락을 상쇄한 것으로 분석됐다.

 

오프라인의 쇼핑 경험을 온라인에 구현해낸 네이버의 새로운 서비스와 기술도구들이 경쟁력을 확보함에 따라 온라인 매출 비중을 늘리는 SME도 증가하는 추세다. 전체 매출 중 오프라인 매출원에 90% 이상을 의존하는 판매자들의 비중은 2018년 44%에서 2021년 31%로 매년 감소했으나, 온라인 매출 비중이 90% 이상인 판매자들의 비중은 25%에서 32%로 점차 확대됐다.

 

또 설문 응답 SME의 80% 이상은 온라인 확장을 위한 첫 플랫폼으로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선택했으며, 성별과 연령대, 지역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신규 고객을 확보한 SME도 90%에 이른다.

 

디지털 확장에 나선 SME들은 카테고리를 넓히며 온라인 매출 비중을 키워가는데, 62.2%는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는 '멀티호밍'을 진행한다. 특히 70% 이상이 2년 내에 평균 3.5개의 플랫폼을 활용하며 사업 규모를 확장하며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SME들의 사업 저변 확대는 고용 성장으로도 이어졌다. 2019년부터 올해까지 디지털 확장을 통해 온·오프라인 채널을 동시에 운영한 SME의 연간 고용 성장률은 각각 4%, 6%, 8%를 기록하며, 전체 산업 고용성장률을 크게 웃돌았다.

 

연구를 이끈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 최보름 교수는 "팬데믹을 겪으며 사회의 당면 과제로 떠오른 '디지털 확장'은 자영업 비중이 높은 국내 산업 구조에서 오프라인 SME의 필수 성장 요소임이 증명됐다"며 "우리 경제의 새로운 주체인 SME의 혁신 성장을 뒷받침하는 네이버 서비스와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한다면 향후에도 많은 오프라인 SME들이 안정적인 디지털 사업 확장과 성장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