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네이버·보험대리점·P2P도 감독분담금 낸다…배분기준도 개선

/금융감독원

오는 2023년부터는 네이버파이낸셜이나 카카오페이 등 '빅테크'는 물론 보험대리점(GA), 온라인투자연계금융(P2P) 등도 금융감독원 분담금을 내야 한다.

 

이와 함께 기존에 면제가 적용됐던 상호금융조합에 대해서는 건별분담금 제도를 도입하며, 그간 형평성 시비가 있던 분담금 배분기준도 바뀐다.

 

금융위원회와 금감원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감독분담금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19일 밝혔다. 개정안은 다음달 29일까지 입법예고하며, 준비기간을 감안해 1년간 시행을 유예한 후 오는 2023년도 분담금 징수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관련 법률에 따라 검사 대상기관이 납부하는 감독분담금으로 운영된다. 그러나 금융업권별 감독분담금 부과기준이 지난 2007년 이후로는 바뀌지 않아 금융업계에서는 개선요구가 많았다. 빅테크나 P2P, 소액송금 등 신설업권의 경우 부담금 부과 근거가 아예 없었고, 금융업권별 변화도 반영하지 못했다.

 

먼저 원칙적으로는 모든 업권에 대해 감독분담금을 부과한다. 면제대상은 역외투자자문회사나 자본법상 회사형펀드 등 사실상 감독수요가 없는 업권에 한정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그간 규모가 영세하거나 검사빈도가 낮은 업권에 대해 분담금 부과를 광범위하게 면제해줬다"며 "실제 금감원의 감독·검사가 이루어짐에도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는 것은 수익자부담 원칙과 업권 간 형평성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네이버파이낸셜이나 카카오페이 등 전자금융사업자와 부가가치통신망(VAN) 업자, P2P, 크라우드펀딩, GA 등은 상시 감독분담금을 내야 한다.

 

영업규모가 영세하거나 감독수요가 많지 않는 업권은 건당 100만원의 건별분담금을 적용키로 했다. 상호금융조합과 해외송금, 펀드평가, 보험계리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금융감독원

금융영역 간 감독분담금 배분기준도 개선했다. 감독분담금의 수수료 성격을 보다 명확히 해 투입인력의 가중치 비중을 기존 60%에서 80%로 확대했다. 영업수익 비중은 기존 40%에서 20%로 축소된다.

 

금융영역 내에서의 분담금 배분기준도 감독수요와 분담금 부담비중이 일치하도록 부과기준을 바꿨다.

 

은행 등 기존 부과업권은 총부채 가중치를 그대로 적용한다. 빅테크 등 비금융 겸영업종은 금융부문 부채의 구분이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 총부채 대신 영업수익 가중치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전금업자 A의 영업수익이 300억원으로 은행·비은행 전체(300조원으로 가정)의 0.01%라면 영역 전체 감독분담금 1500억원의 0.01%인 1500만원을 부담하게 된다.

 

자산운용사에 대해서는 건전성 감독수요가 없는만큼 총부채 기준을 배제하고, 영업수익 단일 가중치를 적용한다. 생·손보의 경우 총부채/보험료수입 간 가중치를 기존 70대 30에서 50대 50으로 변경한다.

 

금감원 결산시 수입초과 부분은 감독분담금 납부기관에 전액 환급하도록 개편하고, 추가감독분담금 부과도 금융사고 관련 추가검사에 실제 투입되는 인원에 비례해 부과액을 산정하도록 바꿨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