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기동향

"中, 경제 성장세 둔화에도 향후 성장세는 여전"

해외경제포커스

업종별 전력 소비량 및 산업생산, 방역정책 강도 및 확진자 수. /한국은행

최근 중국 경제의 성장흐름이 둔화되고 있지만 향후 잠재수준의 성장세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의 재정여력,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양호한 대외수요 등에 따라서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해외경제포커스 '중국경제의 둔화 속도'에 따르면 중국 경제는 헝다사태, 전력난, 고강도 방역정책 고수 등의 여파로 최근 성장흐름이 둔화된 모습이다. 헝다사태 이후 일부 부동산 개발기업의 유동성 위기 추가 발생, 당국의 부동산세 도입 움직임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9월 중하순에는 중국 내 전력난의 영향으로 제조업 생산도 부진했다. 석탄 수급 불균형으로 지방정부들이 전력 통제를 강화하면서 일부 공장의 가동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다만 최근 석탄 증산·수입 확대, 전기요금 인상 등 당국 조치에 힘입어 전력 수급 불균형이 완화됐다. 이에 따라 1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다시 기준치(50)를 상회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소비 침체는 여전했다. 중국은 위드코로나로 방역정책 기조를 완화한 여타국과 달리 무관용 원칙의 고강도 방역조치를 고수하고 있다. 때문에 소비 회복에 제약을 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향후 중국경제는 부동산부문 디레버리징(차입축소) 지속, 공동부유 정책 강화 기조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된다. 그간 부동산기업 및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한 과잉투자와 부채 누증, 공동부유 목표 추구에 따른 기업규제 강화 흐름 등이 향후 성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재정여력,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양호한 대외수요를 감안할 때 향후 잠재수준의 성장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 3월 인민은행은 중국의 향후 잠재성장률을 5.0~5.7% 수준으로 추정했다.

 

헝다사태가 부동산업계 전반의 위기로 확대되지 않도록 중국 정부가 질서 있는 구조조정도 추진하고 있다. 전력난 문제도 당국의 대응으로 점차 완화되며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여전하다는 설명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