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홍경한의 시시일각] 한해의 끝자락, 되돌아본 1년



2019년이 저물고 있다. 행복인지 절망의 연장인지는 모르겠으나 우린 어떻게든 살아남아 다사다난했던 한해의 끝을 지켜보고 있다. 잊으면 잊힐 듯싶어 기록하고 있다. 미술계는 어땠을까. 이곳 역시 분주했다.

올해도 아트페어의 열기는 식을 줄 몰랐다. 화랑미술제(2월)를 시작으로 아트부산(5월), 한국국제아트페어(9월), 부산국제아트페어(12월)에 이르기까지 70여개에 달하는 장터가 쉴 새 없이 열렸다. 여기다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주관하는 '작가미술장터'까지 가세하면서 미술판은 그야말로 '장사판'을 방불케 했다.

허나 그림 팔아 생활이 크게 나아졌다는 작가는 보이지 않았다. 세금까지 써가며 작가들이 직접 미술품을 판매하도록 했지만, 시장질서만 교란시켰을 뿐 대부분의 미술인들이 겪는 생활고는 변한 게 없다.

다행히 한편에선 예술가들의 창작환경 개선과 민생고 해결을 위한 시도가 이뤄졌다.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은 소득이 불안정한 예술인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금융지원사업인 '예술인생활안정자금대출' 시범사업을 지난 6월부터 시행했다. 내년엔 올해 대비 지원 대상 및 예산이 대폭 늘어난다. 돈을 뿌리는 게 반드시 정답은 아닐지라도 최소한의 자립 환경에는 도움이 될 전망이다.

작가들을 향한 지원이 다양해진 반면 전시기획자들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다. 오히려 광주·부산비엔날레 등 주요 국제행사에서 한국 기획자들의 비중은 제로에 가까워졌다. 원고료 몇 푼에 기대어 살아가는 평론가들의 형편도 개선되지 못했다. 인건비는커녕 제 돈 쓰지 않으면 다행인 독립기획자들과 무대가 없는 30~40대 젊은 비평가들, 나이 지긋한 전업비평가들은 '소속' 없는 백수에 불과한 현실을 감내해야만 했다.

그럼에도 어떤 이들은 영민하게 제 살길을 찾아 자리바꿈을 거듭했다. 공석이던 국립현대미술관장에 '근대미술사가'가 코드 및 특혜 논란 끝에 지난 2월 1일 취임했으며, '그랜드슬럼'이라도 달성하려는 양 인맥과 정치력을 무기로 미술계 주요 요직을 떠도는 철새들의 날갯짓도 일 년 내내 이어졌다. 물론 언제나처럼 실력이나 성과는 '묻지마'로 남았다.

한쪽에선 어좌에 앉아 미술계 권력이 될 때 또 다른 쪽에선 스스로를 내려놔야만 했던 비보도 있었다. 8월에 들려온 미술가그룹 '옥인콜렉티브'의 멤버 이정민, 진시우 부부작가의 갑작스러운 부고 소식도 그 중 하나였다. 그렇다고 미술계가 전년과 비교해 더 침울하거나 덜 역동적인 건 아니었다.

2017년 3월 홍라희 관장 퇴임 이후 기획전 없이 소장품 중심의 상설전만을 하고 있는 삼성미술관 리움과 달리 국공립미술관들의 몸짓은 활기찼다. 지난해 6월 호평 속에 막을 내린 개관전 이후 연일 매진 행렬을 빚은 부산현대미술관은 '레인룸'(8월 개막)으로 또 한 번 부산 문화예술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고, 3월부터 관람객을 맞아 4개월간 37만명이 다녀간 서울시립미술관의 '데이비드 호크니' 전도 관람객들의 주목을 받았다. 9월 시작된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50주년 기념전 '광장: 사회와 미술' 또한 2019년 후반부를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다.

이 밖에도 10월엔 부산비엔날레조직위원회가 격년제로 진행하는 국제미술전인 '2019 바다미술제'가 '상심의 바다'를 주제로 개막했으며, 같은 달 청주에선 공예특성화비엔날레를 표방한 청주공예비엔날레가 개최되어 기대감을 심어주었다.

그러나 공예비엔날레의 경우 회화, 조각, 설치, 영상 등이 뒤섞여 정체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공예도 미래도 안 보이는 비엔날레'라는 혹평을 받았다. 특히 1차 전시감독 공모에서 탈락한 감독이 기획위원 추천을 통해 다시 감독에 선임되는 황당한 사건에 일부 기획위원들이 반발 사퇴하는 등 불공정 시비에 휘말려 출발부터 삐걱거렸다.

기타 민중미술 계열의 전시들이 여럿 규모 있게 펼쳐졌으나 일부는 내부를 향한 침묵에 습관화된 철 지난 노스텔지어의 소환이라는 시선에서 자유롭지 못했으며, 11월 이후 공모를 실시한 국내 주요 레지던시들은 지원 작가들로 인산인해를 이뤄 작금의 우울한 경제상황을 반영했다. 하지만 동일한 시기 김환기의 대작 '우주(Universe 5-IV-71 #200)'가 한국작가로는 처음으로 경매에서 132억원에 낙찰되었다는 소식이 해외에서 타전되어 세밑 미술계를 훈훈하게 했다.

■ 홍경한(미술평론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