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한국 중·고 학생 '읽기·수학·과학 성취수준 최상위'… 삶에 대한 만족도는 OECD 평균보다 낮아

- 'OECD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PISA 2018)' 결과 발표



PISA 2018 대한민국 결과 /교육부



우리나라 만15세 학생들의 읽기·수학·과학 성취도는 세계 최상위 수준이지만, 삶에 대한 만족도는 OECD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3일 9시(프랑스 파리 시각)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8 결과를 공식 발표했다.

PISA는 만 15세 학생의 읽기, 수학, 과학 소양의 성취와 추이를 국제적으로 비교하고 교육맥락변인과 성취 사이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3년 주기로 시행되는 국제 비교 연구다. 우리나라는 첫 주기인 PISA 2000부터 참여하고 있다.

이번 PISA 2018은 37개 OECD 회원국과 42개 비회원국 등 총 79개국에서 약 71만 명이 참여했다. 우리나라는 188개교 총 6876명(중학교 34개교 917명, 고교 154교 5881명, 각종학교 2교 78명)이 참여했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상위 수준의 성취를 보였고, 전 영역에서 OECD 평균보다 높은 평균 점수를 기록했다. OECD 회원국 중 읽기(514점)는 2~7위, 수학(526점)은 1~4위, 과학(519점) 3~5위로 높은 수준이었다. 앞선 평가(PISA 2015)와 비교하면 읽기는 상승, 수학은 동일, 과학은 하락했다.

읽기 영역 국제 비교 결과 에스토니아(523점) 순위가 가장 높았고, 이어 캐나다·핀란드(각 520점), 아일랜드(518점), 대한민국(514점), 폴란드(512점), 스웨덴(506점), 뉴질랜드(506점), 미국(505점), 영국(504점)이 상위 10위권에 들었다.

수학 영역에서는 일본(527점)이 가장 높았고, 이어 대한민국(526점), 에스토니아(523점, 네덜란드(519점), 폴란드(516점), 스위스(515점), 캐나다(512점), 덴마크·슬로베니아(각 509점), 벨기에(508점) 순으로 높았다.

과학 영역은 에스토니아(530점)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이어 일본(529점), 핀란드(522점), 대한민국(519점), 캐나다(518점), 폴란드(511점), 뉴질랜드(508점), 슬로베니아(507점), 영국(505점), 네덜란드·독일·호주(각 503점) 순이었다.

PISA 점수는 평균 500이고, 표준편차 100인 척도점수로 각 국가의 순위를 범위로 제공하고 있다.

OECD 회원국과 42개 비회원국을 포함해 총 79개국 영역별 국제 비교 결과에서는 3개 영역 모두에서 중국(베이징, 상하이, 장쑤성, 저장성), 싱가포르, 마카오 차례로 1~3위를 차지했다.

성별 성취도 추이를 보면, 읽기와 과학은 여학생의 점수가 높았고, 수학은 남학생 점수가 높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읽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여학생 점수가 높고, 수학과 과학은 남학생 점수가 높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영역별 성취수준 추이를 보면, 직전 평가와 비교해 상위 성취수준 비율은 모든 영역에서 소폭 증가했고, 하위 성취수준 비율의 경우 읽기는 증가했지만 수학과 과학은 감소했다.

읽기의 '즐거움', '능력 인지', '어려움 인지'에 대한 지수를 산출해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OECD 평균보다 '읽기 즐거움', '읽기 어려움 인지' 지수는 높았지만, '읽기 능력 인지' 지수는 낮았다. 읽기 능력 인지는 자신을 유능한 독자라고 생각하는지 알아보는 문항이다.

특히 우리나라 학생들은 삶에 대한 만족도가 이전 평가(PISA 2015) 대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전히 OECD 평균보다는 낮았다.

만족도 지표는 '요즘 자신의 전반적인 삶에 얼마나 만족합니까?'란 질문에 대해 0(전혀 만족하지 않음)~10(완벽히 만족함)까지의 척도로 응답한 값의 평균이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 지수(6.52)는 OECD 평균(7.04)보다 낮았다. 다만 PISA 2015 삶에 대한 만족도 지수(6.36)보다는 0.16 증가했다.

교육부는 "PISA 2018 최상위 국가 교육정책 변화와 국제적인 교육 동향을 분석해 우리나라 교육정책 추진 상황을 지속 점검할 계획"이라며 "상위권 성취 수준 유지를 위한 만춤형 학습 지원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고 평가했다.

이어 "우리나라 학생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상승한 것은 긍정적인 현상으로 이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 기울일 필요가 있다"며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방법과 평가의 개선, 다양한 교육활동 제공 등 학생들이 행복한 학교생활을 위해 더욱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PISA 2018 결과를 토대로 역량중심의 창의·융합형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계 내·외부 전문가의 논의와 후속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