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57) '일보일경' 미학 구현된 '남산골 한옥마을'

지난 20일 오후 한 외국인 관광객이 남산골 한옥마을을 둘러보고 있다./ 김현정 기자



서울 남산의 북쪽 산기슭 끝자락에는 한옥이 옹기종기 모여있는 마을이 있다. 중구 필동은 과거 수도방위사령부가 있던 군사보호구역이었다. 서울시는 1989년 남산 제모습 찾기 사업을 추진하면서 해당 부지를 사들였고 1995년 남산골 한옥촌 조성 공사에 들어갔다. 시는 서울 곳곳에 흩어져 있던 전통 가옥 다섯 채를 이전해 한옥마을을 조성, 1998년 시민에게 개방했다.

◆한 걸음 뗄 때마다 눈앞에 펼쳐지는 새로운 풍경

한옥 내부 모습./ 김현정 기자



지난 20일 오후 '일보일경'(一步一景)의 미학이 구현된 남산골 한옥마을을 찾았다. 지하철 4호선 충무로역 4번 출구로 나와 남산 방향으로 5분(228m) 정도를 걸었다. 도로 양옆으로 특대형 관광버스 서너대가 줄지어 서 있었다. 깃발을 든 가이드와 열댓명쯤 돼 보이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리가 눈에 띄었다. 곧이어 '남산골 한옥마을'이라는 현판이 보였다. 남산골 한옥마을은 전통가옥 5채와 서울남산국악당, 전통정원, 서울천년타임캡슐광장 등으로 구성됐다. 정문 왼쪽에는 한옥이 밀집된 마을이 들어섰다. 남산의 북동쪽 7934㎡ 규모의 대지에는 시내에 산재된 서울시 민속자료 한옥 5채가 복원됐다.

가장 먼저 솟을대문이 인상적인 삼각동 도편수 이승업 가옥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집의 원래 위치는 청계천 근처인 중구 삼각동 36-2번지였다. 시는 경복궁 중건공사에 참여했던 도편수(목수의 우두머리) 이승업이 1860년대에 지은 집을 지금의 자리로 옮겨 재건했다. 안채에서 부엌과 안방 쪽은 반오량으로 지붕 길이를 다르게 꾸민 것이 특징이다.

20일 남산골 한옥마을을 찾은 한 시민이 관훈동 민씨 가옥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김현정 기자



이날 남산골 한옥마을을 방문한 이혜숙(52) 씨는 "동네 친구들과 놀러 나왔다"면서 "복잡한 도심 한복판에서 고풍스러운 한옥들을 볼 수 있어 좋았다"며 활짝 웃었다.

이 씨는 "한옥 앞에 안내표지판이 있긴 한데 노안이 와 글씨가 잘 안 보인다"며 "마을을 안내해주는 도우미가 있거나 설명을 큼직큼직하게 써 놨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관훈동 민씨 가옥 모습./ 김현정 기자



두 번째로 찾은 곳은 관훈동 민씨 가옥이었다. 민영휘는 종로구 관훈동 30-1번지 일대 너른 땅에 여러채의 집을 짓고 일가붙이와 함께 살았다. 1870년대 서울에서는 안채는 안방 앞쪽에 부엌을 둬서 'ㄱ자형'으로 꺾어 배치했는데 이 집은 부엌과 안방을 나란하게 놓았다. 또 고주 두 개를 세워 짠 넓고 큰 목조구조와 6칸에 달하는 부엌, 마루 밑에 뚫린 벽돌 통기구 등은 당시 일반 가옥과 다른 최상류층 주택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대학생 박종민(23) 씨는 "성씨와 당시 집의 규모를 보니 친일파의 냄새가 난다"면서 "일본 앞잡이들의 집을 복원해 관광 명소로 만드는 게 옳은 일인지 잘 모르겠다. 참 씁쓸하다"며 고개를 저었다.

지난 2010년 서울시 민속자료 제18호인 '부마도위 박영효 가옥'은 '관훈동 민씨 가옥'으로, '순정효황후 윤씨 친가'는 '옥인동 윤씨 가옥'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서울시가 2008년부터 2년간 사료조사를 실시한 결과 부마도위 박영효 가옥은 민영휘 대저택의 일부로, 순정효황후 윤씨 친가는 윤덕영의 벽수산장 일부인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시는 "두 가옥의 건립자가 대한제국~일제 강점기의 대표적 친일파이고 어느 한 인물이 아니라 집안의 여러 사람들이 공동 거주했으므로 가옥의 명칭을 이같이 수정했다"고 전했다.

관훈동 민씨 가옥은 민영익에 이어 명성황후의 총애를 받아 여흥민씨 척족들의 구심점으로 군림했던 친일파이자 일제 강점기 우리나라 최고의 부호로 손꼽히던 민영휘(1852~1935)가 1894년~1895년 청일전쟁 직후 안국동 감고당에서 옮겨간 교동(오늘날 경운동·관훈동 일대) 대저택의 일부임이 확인됐다.

옥인동 윤씨 가옥은 이완용을 능가하는 친일파로 알려진 윤덕영의 집으로 1910년 옥인동의 김수항의 청휘각터와 민규호·민태호 형제 등의 별장터였던 송석원을 사들여 만든 벽수산장의 한 부분으로 파악됐다.

서울시 문화재위원회는 "두 가옥이 상류층 가옥으로서 갖고 있는 건축사적 가치는 변동이 없으나 가옥의 역사성은 달라지는 것이므로 명칭을 변경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설명했다.

◆한옥마을은 도심에만?

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모습./ 김현정 기자



한옥마을에는 순종의 장인 해풍부원군 윤택영이 순종이 제사하러 와 머물 때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해 만든 재실도 있었다.

직장인 최모(34) 씨는 "올해 마지막 남은 연차를 털 겸해서 왔는데 볼거리가 많아 재밌다"며 "명절에 올리는 제사상이랑 큰 차이가 없어 신기했다"고 말했다.

재실은 무덤이나 사당 옆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지은 집으로 안에는 위패, 교의, 제상, 향로, 향합 등이 전시돼 있었다.

최 씨는 "북촌한옥마을은 사람들이 살고 있어서 밖에서 대문만 볼 수 있는데 여기는 마을 전체를 전시관으로 만들어놔서 마음 편히 볼 수 있어 마음에 든다"며 "신발을 벗고 안으로 들어가 샅샅이 훑어보고 싶은 데 그럴 수 없어 아쉽다"며 한숨을 쉬었다.

마지막으로 삼청동 오위장 김춘영 가옥을 찾았다. 조선 시대 말 오위장을 지낸 김춘영이 1890년 지은 집으로 평민의 주택양식을 띠고 있다. 대문간이 바로 트이지 않고 꺾어 들어가게 하고 건물을 교묘하게 조합한 점 등은 밀도가 높아지는 도시적 상황에 적응한 서울 한옥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날 한옥마을에서 만난 조모(47) 씨는 "남산골 한옥마을을 서울 각 권역에 만들어줬으면 한다"며 "사실 여기에 있는 한옥들도 다 따로 흩어져 있던 것들을 한데 모아놓은 것인데 역사적 고증 운운하며 사대문 안에만 만들 필요가 있냐"고 반문했다.

조 씨는 "은평구도 주거를 목적으로 인공으로 한옥마을을 만들어 동네 전체가 뜨고 있던데 참 부럽다"며 "젊은 사람들과 외국인 손님들이 찾는 관광명소가 전부 종로, 중구 도심에만 몰려있는데 이를 분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