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채권·펀드

19일 만기도래 DLF, 일부 상품 손실률 98%→50%로 축소

우리은행·KEB하나은행 월별 만기 도래 DLF 현황./김정훈 의원실



상품별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 현황(8월 7일 기준). /금융감독원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 판매현황(8월 7일 기준)./금융감독원



최악의 경우 원금을 모두 날릴 위기에 처한 파생결합펀드(DLF), 파생결합증권(DLS)의 상품 만기가 오는 19일부터 돌아온다. 시한폭탄이 될 위기다. 대규모 원금 손실로 파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은행·증권사 등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를 30일부터 시작하는 국회 국정감사 전까지 발표하고 피해 분쟁 조정에 나설 예정이다. 하지만 금감원과 은행·증권사의 입장 차는 뚜렷하다. 또 은행이 김앤장을 법률자문사로 선임해 방어전에 돌입해 투자자들의 속만 타들어가고 있다.

◆DLF·DLS 50~100% 손실 예상

DLS 사태가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은 원금 회수가 아예 불가능할 수 있는 독일 국채 10년물 연동 DLS·DLF 만기가 19일부터 돌아온다는 점이다. 전체 판매액 1266억원 중 1255억원이 우리은행에서 판매됐으며 11억원이 NH투자증권에서 팔렸다.

9월 만기가 도래하는 독일 국채 연계 DLS·DLF는 약 300억원이며, 10월 300억원, 11월 600억원 규모다. 이 상품은 금리가 0.2%보다 높으면 연 3~5% 수익이 제공되지만 이보다 낮으면 원금 손실이 발생하고, 만기일 금리가 0.7% 밑으로 떨어지면 원금 전액을 날리게 된다. 지난달 이미 금리가 -0.7% 아래로 떨어져 금감원이 발표한 지난달 7일 독일 국채 연계 상품 예상손실률은 95.1%였고, 김정훈 의원실이 발표한 은행 DLF의 지난달 22일 수익률은 98.0%로 원금 전액 손실 상품이 16개나 됐다. 지난 9일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가 -0.636%를 기록한 후 13일 기준 -0.485%까지 상승하며 최근 손실 규모가 50%대까지 줄어들기는 했지만 유럽 중앙은행(ECB)이 예금금리 인하를 단행함에 따라 변동될 수 있어 19일까지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

금감원이 지난달 7일 기준 발표한 국내 금융사의 주요 해외 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F·DLS) 판매잔액은 총 8224억원 규모다. 우리은행이 401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하나은행도 3876억원을 판매해 99.1%가 은행에서 팔렸다. 은행은 DLF로 판매했으며, 증권사는 DLS로 팔았다. 국민은행·미래에셋대우·유안타증권은 정반대 구조로 설계된 상품을 팔아 수익구간에 있다. 이 상품의 89%가 개인 투자 자금으로, 사모펀드이기 때문에 최소 1억원 이상 가입조건으로 1인당 2억원 꼴이었다.

이 상품들은 영국과 미국의 이자율스와프(CMS) 금리와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를 연계한 상품이었다. 이번 달에만 만기 도래 상품이 우리은행 7건, 하나은행 1건으로 판매금액은 391억7700만원에 달한다, NH투자증권 DLS도 이달 만기가 돌아온다. 판매량이 많았던 영국·미국 CMS 금리 연계 DLF는 잔액이 6958억원으로, 지난달 7일 기준 예상손실률은 56.2%이다. 다만, 영국 DLF의 경우, 상황이 호전돼 기초자산이 되는 국채금리가 9일 0.660%에서 13일 0.760%까지 올라감에 따라 상당수 펀드가 원금을 회복했다. 영·미 CMS 연계 상품 만기는 올해 492억원, 내년 6141억원, 2022년 325억원 규모로 기간이 더 여유가 있다.

◆ 금감원·판매사 입장 차 '뚜렷'

금감원 자본시장감독국 관계자는 "문제가 된 우리은행·하나은행에 대한 현장조사는 마무리됐으며, 증권사·자산운용사 중 일부가 아직 남아 있다"며 "국감 이전에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분쟁조정위원회에서 피해 중재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은행의 불완전 판매 여부와 증권사·운용사에는 대규모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상품을 만든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보고 경위를 조사할 것"이라며 "이전에 유사상품이 수익을 냈다 해도 이번에 큰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고 말했다.

우리은행·하나은행 등 은행 측은 투자자에게 상품 설명과 수많은 서류절차를 빠짐없이 진행한 만큼 불완전 판매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해당은행의 한 관계자는 "상품에 가입한 투자자가 금융지식이 없는 분들이 아니고 이전에도 사모펀드에 가입하셨던 사람이 많다"며 "절차상 문제가 없어 금감원 조사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증권사들은 까다로운 상품 판매 절차와 고객 특성상 불완전 판매 문제는 없다고 보고, 상품 설계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금융당국 입장에는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매년 유사상품이 판매돼 왔으며, 투자자들이 돈을 벌 수 있다고 판단해 상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손실 책임도 투자자가 진다"며 "판매방법이 적절했는지 조사해야겠지만 발행사 책임까지 조사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고 말했다.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상품이 왜 단일 기초자산에만 편입했는지 들여다보고 있는데 지수가 1개면 손실 위험이 낮은 대신 수익률도 낮다"며 "지수가 3개면 1개만 떨어져도 손실이 날 수 있기 때문에 지수를 1개로 설정했을 때 더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투자자들이 이번 사태에 판매사 책임을 물어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어, 향후 소송전으로 치달을 전망이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불완전판매 문제는 없다"면서도 소송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되자 법무법인 김앤장을 법률대리인으로 선임해 사전 방어막을 쳤다. 이는 김앤장이 파생상품 사건이었던 '키코 사태' 때 한국씨티은행의 소송 대리인으로 100% 승소를 거뒀기 때문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