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홍경한의 시시일각] 젖지 않는 비 ‘레인룸’



비는 자연생태계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지만 일상에선 종종 기피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환경오염 탓이다. 그러나 부산현대미술관에 가면 아무 걱정 없이 비를 맞을 수 있다. 우산은 필요 없다. 비가 내리지만 젖지는 않기 때문이다.

최근 화제의 전시로 주목받고 있는 '아웃 오브 컨트롤'(Out of Control)에 출품된 '레인룸'(Rain Room)은 인터렉티브 및 키네틱아트그룹 '랜덤인터내셔널'(Random International)의 작품이다. 75년생 동갑내기 독일작가인 플로리안 오트크라스와 한네스 코흐가 2005년 영국왕립예술학교 재학시절 결성했다.

랜덤인터내셔널은 전구가 달린 15개의 막대를 움직이는 장치로 만들거나, 헬륨 가스를 넣은 풍선에 모터를 달아 허공에 띄워 인간과 기술 개발 사이의 관계에 대한 탐구를 드러내는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Future Self'(2012), 'You Fade To Light'(2009)처럼 신체 동작에 반응하는 인터렉티브형 작품이 주를 이룬다. 이번 부산 전시에 선보인 '레인룸' 역시 관객의 참여를 통해 작품이 완성된다.

'레인룸'은 말 그대로 비 내리는 방이다. 어두운 공간에 들어서면 요란한 소리와 함께 세차게 쏟아지는 실제 빗줄기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모르긴 해도 분당 수백리터는 족히 넘을 양이다. 그런데 천천히 걸을 경우 물방울은 몸에 닿지 않는다. 인식용 카메라와 센서가 관람객의 동작을 감지해 빗줄기를 차단한다. 인지과학과 미적 기술이 빚은 결과이다.

일상 속 비현실성이라는, 다소 환상적인 느낌을 심어주는 '레인룸'은 도시인들의 향수를 자극함으로써 현대인들의 아련해진 추억과 잃어버린 기억을 소환한다는 게 특징이다. 잠시나마 건조한 감성을 촉촉하게 적시는 매력도 있다. 그리고 이런 특성은 '레인룸'을 화제성 있는 작품으로 끌어올리는 동력이다.

실제로 2013년 뉴욕현대미술관에 설치되었을 당시 관람객들은 서너 시간 이상 기다리길 주저하지 않을 만큼 이 작품에 열띤 호응을 보냈다. 앞서 열린 바비칸센터 커브갤러리에서의 전시는 물론, 지난해 개최된 상하이 유즈미술관이나 미국 로스앤젤레스 LA카운티미술관, 호주 무빙이미지센터 등에서의 순회전 당시에도 대중의 반응은 뜨거웠다.

국내 처음으로 공개된 부산현대미술관의 '레인룸'도 마찬가지다. 관람 시간이라야 5분 남짓 내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약을 하지 않으면 관람이 불가능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그 인기 내에는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열망이 녹아 있다. 여기에 입소문으로만 들었던 작품에 대한 호기심, 일찌감치 개인 미디어에 노출되며 주목받았던 '폭우 속 젖지 않는 기적'을 직접 체험한 이들의 경험담까지 덧대어졌다.

하지만 전제가 명확한 미증유의 이 작품이 지닌 의미는 단지 시각적 감흥에 있지 않다. '레인룸'은 상호성을 중시하는 동시대미술의 흐름을 열람케 함을 넘어 우리의 자연환경과 인간 삶의 대치성을 논한다. 기술문명 시대에서 예술과 테크놀로지의 경계까지 돌아보게 한다. 기술통제에 따른 수동적 인간화와 가공된 환경에서 실재를 찾아야 하는 안타까운 오늘마저 보여준다.

특히 '레인룸'의 핵심은 첨단을 걷는 기술과 그로 인한 환경의 변화 속에서 인간 사유의 지속성을 추구한다는 데 있다. 물리적 현상을 토대로 한 '놀랍다'와 '신기하다'와 같은 형용사에 묻혀 잘 드러나지는 않으나, 우리가 이 작품을 본다는 건 결핍과 과함을 분간하지 못했던 지난날에 시선을 돌리는 것이자, 생각 없는 인류가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에 관한 자문과 다름없다는 것이다.

■ 홍경한(미술평론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