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53) 3·1절과 광복절, 국가 주요 행사에 함께하는 '보신각'

지난 26일 보신각을 찾았다./ 김현정 기자



매년 12월 31일 자정 무렵이면 사람들이 구름떼처럼 몰려드는 곳이 있다. 서울 종로1가 사거리 동남쪽 모퉁이에 있는 보신각이다. 섣달 그믐날 밤, "10, 9, 8, 7, 6, 5, 4, 3, 2, 1" 카운트다운이 끝나고 '제야의 종'이 울리면 보신각을 찾은 사람들은 환호하며 새해를 맞이한다. 기쁨과 희망으로 가득 찬 새로운 시작은 한 겨울 살을 에는 추위도 잊게 만든다.

보신각은 1396년 지금의 인사동 입구인 청운교 서쪽에 '종각'으로 세워졌다. 종각은 조선시대 한성부의 도성 내 중심이 되는 곳에 종을 단 누각이다. 당시 규모는 2층, 5칸 건물이었다. 선조들은 종루에 걸린 종을 쳐 아침과 저녁 시간을 알리고 도성의 문을 여닫았다.

◆종은 왜 33번 울리나?

보신각 모습./ 김현정 기자



지난 26일 매년 새해를 함께한 종소리의 기원을 찾기 위해 보신각을 방문했다. 보신각은 서울 지하철 1호선 종각역 4번 출구 앞에 위치해 있다. 태조 5년에 처음 만들어진 보신각은 4번이나 불에 타 없어지고 8번에 걸쳐 재건됐다. 현재 건물은 1979년 8월 서울시에서 지은 것이다. 동서 5칸, 남북 5칸의 2층 누각(총면적 2881.7㎡)으로 조성됐다.

26일 시민들이 보신각 앞을 지나가고 있다./ 김현정 기자



이날 보신각 앞에서 만난 시민 박정순(59) 씨는 "인사동 가는 길에 잠깐 들렀는데 텔레비전에서 봤던 것보다 훨씬 작다"면서 "안에 들어가서 종을 보고 싶은데 문이 닫혀있어 아쉽다"며 눈살을 찌푸렸다.

원각사에 있던 보신각종은 절이 사라지고 광해군 11년(1619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다. 도성의 사대문(숭례문, 흥인지문, 숙정문, 돈의문)과 사소문(혜화문, 소덕문, 광희문, 창의문)을 일제히 열고 닫기 위해 종을 울렸다.

새벽에 치는 종을 '파루'라고 불렀는데 오경삼점(五更三點)인 오전 4시경에 33번 타종해 통금을 해제하고, 도성 8개 문을 열어 그날의 활동을 시작했다. 종을 33번 치는 것은 불교에서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구하고자 33천으로 분신했다는 신화에서 기원했다.

'인정'은 오후 10시께 통행금지를 알리기 위해 28번 치는 종이다. 타종 후 도성의 문을 닫았다. 천체를 동, 서, 남, 북의 4궁으로 가르고 이를 7등분 한 28구(區) 내 별자리수에 따라 저녁종을 28번 울렸다.

◆누구나 칠 수 있는 보신각종

'보신각 상설타종행사'에 참여한 시민들이 종을 만지며 소원을 빌고 있다./ 서울시



보신각 타종행사는 1953년부터 시작됐다. 시는 지난 15일 종로 보신각에서 광복절 기념 타종행사를 열었다. 올해 광복절 행사에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신원철 서울시의회 의장, 김영종 종로구청장, 독립유공자 후손 등 14명의 타종인사가 참여했다.

타종행사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선도 있었다. 직장인 최모(35) 씨는 "시민 성금을 모아 종을 만들었으면 모두에게 개방해야 하는 거 아니냐"며 "중요한 행사날에 높으신 분들만 종을 치는 건 공평하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보물 2호인 옛 보신각 동종은 조선 세조 14년(1468년)에 만들어졌다. 총 높이 3.18m, 입지름 2.28m, 무게 19.66t의 대형 종이다. 조선 초기 종 형태로 음통이 없고 2마리 용이 종의 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종 상단에는 보살상과 9개의 연꽃봉오리가 솟은 연곽이 있었지만 화재로 손상돼 보살상 하나만 희미하게 남아있다. 종의 어깨 부분에서 중간까지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중간 지점부터 입구 부분까지는 직선으로 연결돼 있다. 몸통에는 3줄의 굵은 띠를, 종 입구 위로는 2줄의 띠를 두르고 있다. 특히 주조 연대를 확실히 알 수 있는 명문이 남아 있어 조선 시대 귀중한 사료 중 하나로 꼽힌다.

보신각종은 오랜 세월이 흘러 몸통에 균열이 생겨 더 이상 타종할 수 없게 됐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 중이다. 지금 보신각에 걸린 종은 1985년 국민 성금을 모아 새로 만들었다. '보신각 새 종'은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112호 주철장 원광식 씨에 의해 18개월에 걸쳐 제작됐다. 총 높이 3.82m, 입지름 2.22m, 무게 19.87t으로 광복 40주년을 기념해 옛 종과 임무를 교대했다.

시는 지난 2006년부터 '보신각 상설타종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시민 누구나 보신각을 타종할 수 있는 이벤트로 참가 희망자는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