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방/외교

주한뉴질랜드 대사관, 한국전쟁을 같이 기억합니다

본지 기자인 더37벙커 문형철 기자와 도널드 (돈) 존스 대령이 5일 서울 중구 정동길 뉴질랜드 대사관에서 전투복 증정식을 갖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주한뉴질랜드 대사관



현충일을 앞둔 지난 5일 주한뉴질랜드 대사관과 뉴질랜드 무관부는 69년 전 한국전쟁(6.25) 참전을 기억하는 뜻깊은 행사를 가졌다.

뉴질랜드 대사관은 지난 5일 서울 중구 정동길 주한뉴질랜드 대사관에서 뉴질랜드 전투복을 군사문화공간 더37벙커에 증정하는 행사를 가졌다고 7일 밝혔다.

뉴질랜드군 전투복을 증정받은 더37벙커 문형철 대표(본지 기자·예비역 소령)는 지난 2014년부터 한국전쟁에 참전한 국가를 중심으로 세계 각국의 전투복 및 개인전투장비를 전시회를 열어왔다.

문 대표는 한국전쟁 당시 대한민국을 도와준 세계 각군의 현재모습을 국민들께 보여드리고 싶어 개인 사비를 털어 전시물을 사들였다. 세계 33개국 전투복과 개인전투장비를 수집한 그였지만, 개인자격으로 참전 및 의료지원 21개국을 전부 수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뉴질랜드를 비롯해 참전국 중 군대 규모가 작은 국가의 경우, 군 당국의 정식 방출품을 손에 넣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전쟁 참전국에 대한 고마움을 표현하려는 그의 노력은 여러 경로를 통해 주한뉴질랜드 대사관과 뉴질랜드 무관부에 전달됐다.

이날 주한뉴질랜드 대사관 도널드 (돈) 존스 대령(육군)은 "개인 자격으로 참전국의 현재모습을 담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며 "좋은 취지의 전시회를 열어 온 만큼 참전국의 일원으로서 뉴질랜드군의 신형 전투복(NZ MCU)을 드린다"고 말했다.

존스 대령이 전투복 증정식에 앞서 뉴질랜드군의 신형전투복(NZ MCU)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주한뉴질랜드 대사관



뉴질랜드를 비롯한 영국 연방국가들은 한국전쟁 당시 대한민국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펼쳤다.

뉴질랜드는한국전쟁 동안 6000명의 군인을 유엔군의 일원으로 파병했다. 1950년 7월말부터 1953년 휴전협정이 조인될 때까지 뉴질랜드는 8척의 함정을 교대로 투입해 작전을 펼쳤다.

포병부대와 일부 해군을 파병한 뉴질랜드는 1951년 1월 북한군과 중공군의 신정공세 이후 가평지역에서 화력지원으로 공산군의 공세를 저지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파병군인 중 45명이 전사했고, 전사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뉴질랜드군 34위의 영령은 부산 남구 유엔 기념공원에서 깊은 잠을 자고있다.

전투복 증정식에 앞서 주한뉴질랜드 대사관에 놓여진 뉴질랜드군 신형전투복(NZ MCU). 전투복 소매 왼쪽에는 뉴질랜드 국기와 유엔사마크가 부착돼 있고 오른쪽에는 한국전쟁 당시부터 내려온 검은 바탕의 흰색 키위가 부착돼 있다. 사진=주한뉴질랜드 대사관



뉴질랜드군은 여전히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역사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참전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문 대표가 증정받은 전투복 오른쪽 소매에서 참전당시 뉴질랜드군의 모습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사각형의 검정 바탕에 흰색 마름모속에 뉴질랜드의 나라새 키위가 그려진 부대마크는 한국전쟁 당시 한국에 파병된 뉴질랜드군의 상징이다. 뉴질랜드군은 지금도 한국에 파견되는 자국 군인들의 우측 소매 위에 이 부대마크를 달게한다.

군사문화공간 더37벙커는 한국전쟁 발발 70년이 되는 내년까지 참전국 중 전시물 입수가 안 된 콜롬비아와 이디오피아의 현용 전투복을 모두 갖춘 한국전쟁 기념행사를 열 계획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