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시중·지방은행 양극화 …연체율 격차↑



올해 1분기에 시중·지방은행의 순이익이 줄고 연체율이 상승했다. 특히 지방은행의 경우 조선, 자동차 등 지역경제의 기반이던 주요산업이 주춤하면서 기업대출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해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진상태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지역경기 악화는 지방은행 건전성에 치명적일 수 있다며 손실을 처리할 수 있는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인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의 1분기 순이익은 총 2조210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6% 줄었다. 전년보다 2.9%증가한 신한은행 (6181억원)을 제외한 나머지 은행은 모두 마이너스 성장세다. 국민은행은 17% 감소한 5728억원을 기록했고, 우리은행 5394억원, 하나은행 4799억원을 기록해 각각 2.0%, 24.1% 감소했다.

지방은행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구은행은 878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전년 같은기간(955억원) 대비 9.7% 가량 감소했다. 부산은행은 지난해보다 16.4% 감소한 1131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으며, 경남은행도 6.0% 줄어든 625억원을 기록했다. 4.3%, 0.4% 증가한 전북은행(260억원), 광주은행(453억원)을 제외하곤 일제히 감소한 것.

지방은행 연체율(%)/각 사



문제는 은행의 수익 감소에도 연체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수익이 가장 높던 신한은행의 연체율은 0.29%로 전 분기(0.25%)보다 0.04%포인트 오르고, 국민은행(0.23%→0.27%), 우리은행(0.31%→0.33%), 하나은행(0.25%→0.29%) 등 시중은행 연체율이 0.02~0.04%포인트 상승했다.

지방은행 연체율도 경남은행 0.74%, 전북은행 0.75%로 전분기 대비 각각 0.26%포인트, 0.07%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은행 연체율 중 가장 높던 전북은행(0.75%)의 경우 시중은행(0.29%)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연체율은 1개월 이상 원리금을 연체한 경우로, 통상 은행의 정기적인 연체채권 처리로 연말에 낮아지고, 연초에 높아진다. 계절 특성을 감안하더라도 지방은행의 연체율이 두드러지게 높다는 설명이다.

지방은행 연체율이 높은 이유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 대출이 집중돼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시중은행은 수도권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대출이 진행되지만 지방은행은 지역의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대출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수도권과 대기업에 비해 금액이 적더라도, 비중이 커 지역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방은행 기업대출 비중/각 사



실제로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방은행의 중소기업 대출비중은 대기업의 10배 이상으로, 지방은행의 중기 연체율은 0.9%에 이르렀다. 시중은행 중소기업 연체율 (0.38%)의 2배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지역경기 악화가 장기화할 경우 은행의 건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충당금 적립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구본성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신용약자인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어려움을 낮춘 것은 바람직하다"면서도 "장기적으로 지역경기가 악화할 경우 손실이 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클 수 있기 때문에 리스크관리와 충당금 적립비율을 높여 손실 흡수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