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방/외교

[전문기자 칼럼]장교는 군대의 기간일까? 흔들리는 장교단

문형철 기자 자화상. 예비역 육군소령으로 군사문화 칼럼리스트로 활동 중이다.



'장교는 군대의 기간(基幹)이다.' 18년 전 사관후보생 시절 되뇌이던 '장교의 책무'의 첫머리 글귀다.

최근 청와대로 돌진한 헌병 병과 소령과 작전예규 등 비문 등재를 통째로 날려 버린 작전장교(영관급)를 군의 기간이라고 할 수 있을까. 물론 대다수의 장교들은 오늘도 자신의 현안업무에 책임감을 갖고 복무 중일 것이다.

지난 4일 전역 전 취업보도반에 편성된 육군의 헌병 병과 소령이 자신의 차량으로 청와대에 돌진했다. 군의 경찰인 '헌병' 병과 장교가 경찰에 저지되는 모습이 퍽이나 아름답다.

육군은 "해당 장교가 '정신병 환자'다 발병연도는 모른다"라며 선을 그었고, 문제의 소령은 수도방위사령부 헌병대를 벗어나 수방사 영내를 지나던 차를 얻어타고 번잡한 논현역까지 탈주했다.

단순히 정신병으로 보기엔 뭔가 찜찜하다. 나중에 확인된 사실이지만 그가 정신병이 발병한 것은 수년 전이었다. 문제가 있는 영관 장교가 '현역부적격심의'를 어떻게 피했을까.

2016년 1군단 작전장교로 보임됐다가 현재 대대장 임무를 수행하는 또 다른 영관장교는 통상 2~3급의 비밀문서로 취급되는 야전내규를 비밀관리기록부에 등재하지 않았다. 지난 2월 자체 보안감사 전까지 약 3년 간 해당부대 실무자들은 이 사실도 몰랐다. 심지어 바뀐 예규의 일부 수정된 내용들이 기존의 예규에 수정·대체되는 일들도 이어졌다. 만약 전시상황이었다면 1군단은 바뀌기 전의 야전내규로 싸웠을 것이다. 교전의 결과는 상상에 맡기겠다.

이러한 문제는 예비장교를 꿈꾸는 청년들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이미 군안팎에서 함량미달 금강석(위관 장교의 계급모양)의 유입이 시작된다는 우려가 나온다.

2003년 대전대 군사학과로 시작된 4년제(일반대학)의 군사학과는 수십배 규모로 늘었다. 대입정보포털 어디가에 따르면 군사학 관련 학과는 일반대학에 33개 학과 전문대학에 65개 학과가 개설돼 있다. 일부 대학은 관련학과를 2~3개 이상씩 개설한 경우도 있다.

문제는 이들 학과 다수의 커리큐럼이 전문성과 학문성이 결여됐다는 점이다. 장교양성과정에서 다룰 군사학이 대부분이라 전문지식인으로서의 전공은 부실하다는게 관련학과 교수들의 전언이다.

이들 학과 다수는 취업시장에 상대적으로 약자인 지방대에 몰려 있고, 과도한 제살 깎기식 경쟁도 벌어진다는 점도 큰 문제다. 더욱이 육군3사관학교는 이들 학과의 학생들을 생도 3학년 과정으로 편입학 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공세를 펼치고 있다.

월남전 당시 밀라이 마을에서 무고한 양민 수백명을 사살한 윌리엄 켈리 중위는 대학시절 낙제생이었고 졸업도 못했지만, 미육군 장교임관 평가를 통과했다. 우리 군에서 윌리엄 켈리가 태어날지도 모를 상황 아닐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